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I. 주요개념

II. 발달단계
1) 1단계 : 신뢰감 대 불신감(0~1세)
2) 2단계 : 자율성 대 수치심과 회의감(1~3세)
3) 3단계 : 주도성 대 죄책감(3~5세)
4) 4단계 : 근면성 대 열등감(6~11세)
5) 5단계 : 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12~19세)
6) 6단계 : 친밀감 대 고립감(20~25세)
7) 7단계 : 생산성 대 침체성(25~65세)
8) 8단계 : 자아통합감 대 절망감(65~사망)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라는 일곱 번째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생산성이란 자녀를 낳고 기르며 사회 경제적 부나 명예를 축적하는 것을 말한다. 문화의 창조와 전수과정에서 신세대는 성인에게, 성인들은 신세대에게 의존한다. 이 시기에 다른 성인들과 원만한 관계가 성취되면서 배려심이 생기지만, 생산성의 확립에 실패하면 자기도취에 빠지며 타인에 대한 배려가 없어진다. 이로 인해 인간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고 사회 경제적 정체라는 중년기의 위기를 맞게 되며 인생에 대해 허무감을 갖고 절망하게 된다.
8. 8단계 : 자아통합감 대 절망감(65-사망)
마지막 8단계는 노년기로서, 자아통합을 이루고 절망감의 위기를 극복하는 단계이다. 통합감이란 인생을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며, 인생에 대한 통찰과 관조로 자신의 유한성을 인정하고 죽음까지도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생의 전 과정을 종합, 평가하여 자신의 삶에 대해 의미 있고 만족스럽게 인식하면 과거를 겸허하게 받아들이게 되고, 후회될 때는 인생을 혐오하거나 절망감에 빠지게 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4.15
  • 저작시기201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59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