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실케이스 여성간호학 실습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만실케이스 여성간호학 실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론

1. 자료수집
2. 간호문제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본문내용

출되는 양수의 양과 형태를 감시한다.
3. 태아심음, 전자태아감시를 하여 태아상태를 관찰한다.
4.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질 검사와 내진은 자주하지 않는다.
간호수행
1. 활력징후 측정 시 정확하게 측정한다.
2. 매 시간마다 양수의 양과 형태를 관찰한 후 기록한다.
3. 매 시간마다 태아의 상태를 평가하고 태아 활동과 태아 심음을 기록한다.
4. 필요시 질 검사와 내진을 한다.(소실과 개대 측정 시)
이론적 근거
1. 활력징후는 기본적인 환자의 정보를 제공하므로 필요하다. 감염발생 시 혈압, 호흡수, 맥박, 체온이 상승된다.
2. 감염의 증상이 있으면 양수의 색깔이 변한다.
3. 태동의 감소는 태아위험상태의 전구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4. 질 검사와 내진은 감염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자주하지 않고 필요시 엄격한 무균술을 지켜서 시행한다.
평가
분만 전 V/S BP: 120/80mmHg, PR: 84회/min, RR: 20회, BT: 36.5℃, FHT: 140회/min 이고 WBC: 10.08로 감염증상 없고 양수 clear하게 지속적으로 누출되고 있다.
▶ 불안으로 인한 제왕절개와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첫 아이라서 제왕절개 하는 게 너무 무서워요”
“임신 주수를 다 채우지 못하고 분만하면 제 아이에게 문제가 되지 않나요?”
객관적 자료
- cardiotocography 검사 결과
: FHR 150bam, moderate,
variability reactive NTZ (+)
: Count:10-20 torr 3-4 ,
irregular interval polling(+)
간호진단
불안으로 인한 제왕절개와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불안과 질문이 감소 될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분만 전 까지 안정된 모습을 보일 것이다.
간호계획
1. 제왕절개에 대해 산모가 가지고 있는 지식수준을 파악 한다.
2. cardiotocography 검사를 시행한다.
3. 제왕절개 수술이나 궁금한 것에 대한 질문을 하도록 돕는다.
간호수행
1. 산모가 가지고 있는 지식수준을 파악한 후 제왕절개 수술 준비를 위한 간호와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을 한다.
2. 수술 전 태아의 상태가 건강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cardiotocography 검사 결과를 통해서)
3. 환자의 질문에 따라 치료적 의사소통으로 적절한 답을 한다.
이론적 근거
1. 산모의 지식수준을 파악 한 후 그에 맞게 교육을 하여 이해를 돕는다.
2. 태동의 감소는 태아위험상태의 전구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3. 질문에 대한 적절한 답을 해줌으로써 불안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평가
대상자의 지식수준에 따라 적절한 교육을 하고 질문에 대한 답을 통해 대상자는 처음 왔을 때보다 안정을 취하고 있다.
▶ NRS 5점으로 나타나는 수술부위와 관련된 통증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복부에 우리한 통증이 있어요”
“조금만 움직여도 너무 아파요”
객관적 자료
- 분만직후 V/S
BP: 120/80mmHg
PR: 88회/min
RR: 18회/min
BT: 37.0℃
- NRS 5점호소함
간호진단
NRS 5점으로 나타나는 수술부위와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통증 완화법을 통해 통증이 감소될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지속적인 통증 완화법을 통해 통증이 완화될 것이다.
간호계획
1.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통증을 사정한다.
3.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한다.
4. PCA 사용방법을 교육한다.
간호수행
1. 활력징후는 1~2시간동안 안정될 때까지 15분마다 측정한다.
2. 대상자에게 0~10점으로 점수를 측정하여 결과를 기록한다.
3. 움직이거나 기침 시 베개로 수술 부위를 지지해주고 음악이나 호흡 같은 이완요법을 사용한다.
4. 현재 IV PCA 유지중이며 진통이 심할 때 버튼을 누르면 더 많은 양의 진통제가 들어간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론적 근거
1. 활력징후는 기본적인 환자의 정보를 제공하므로 필요하다.
2. 통증정도를 파악하도록 대상자를 돕는 것은 합병증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통증정도를 사정하여 그에 따른 중재를 할 수 있다.
3. 통증 경감을 위해 자세변경, 수술부위 베개로지지하기, 이완요법을 지도한다.
4. 최근에는 3~4시간마다 진통제를 투여하거나 PCA가 처방되기도 한다.(경막관을 통해 진통제를 투여하기도 했음)
평가
대상자는 자가 진통조절제와 적절한 통증 완화요법을 통해 NRS 사정 시 2점을 호소하여 통증이 경감되었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올바른 모유수유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유방이 아프고 부은 것 같아요 ”
객관적 자료
- NRS 2점호소함
간호진단
비효과적 모유수유로 나타나는 무경험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올바른 모유수유 법을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올바른 수유방법을 알고 성공적인 모유수유를 수행한다.
간호계획
1.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수준을 파악한다.
2. 유방울혈이 있는지 사정한다.
3. 통증을 호소하면 얼음 팩이나 처방된 약을 투여한다.
4. 유방울혈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방법을 교육한다.
간호수행
1. 산모의 지식수준을 파악 한 후 그에 맞게 교육을 하여 이해를 돕는다.
2. 유방 사정 후 유방울혈이 있으면 유방마사지를 해준다.
3. 울혈이 되어 통증이 심한 경우는 진통제를 복용하거나 통증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얼음찜질을 한다.
4. 유방울혈이 생기지 않도록 올바른 모유수유 전 후 관리방법을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1. 산모의 지식수준을 올바르고 성공적인 모유수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2. 유방마사지를 하면 유방안의 혈액순환을 돕고, 울혈이나 부종이 없어지고, 유선 발달에도 도움이 된다. (유두 마사지를 하기 전에 기저부 마사지를 먼저 해준다.)
3. 얼음 팩을 대면 불편감이 줄어들고 부기를 가라앉혀 준다.
4. 올바른 모유수유 방법을 알고 모유수유를 하면 유방울혈이 생길 가능성이 줄어든다.
평가
대상자는 올바른 모유수유 방법을 알고 성공적인 모유수유를 하여 유방사정 시 유방울혈이 다시 생기지 않았다.
▶비효과적 모유수유로 나타나는 무경험과 관련된 지식부족
  • 가격2,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9.04.21
  • 저작시기201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6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