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론
1. 자료수집
2. 간호문제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론
1. 자료수집
2. 간호문제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본문내용
. 간호문제
3. 간호진단
번호
간호 진단 목록
1
요의를 느끼지 못하는 것과 관련된 요정체
⑦⑧⑨⑩
2
수술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①②③③④⑤⑥
3
수술부위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⑪⑫⑬⑭⑮
▶ 요의를 느끼지 못하는 것과 관련된 요정체
간호 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소변이 마렵지 않아요”
“ 3시간 째 소변이 나오지 않아요”
“방광이 찬 것 같은 느낌이 없어요”
Bladder scan 상 277ml 측정
타진 시: 둔탁음
치골결합부위 불편감: 없음
하복부 팽만감: 없음
신장 압통: 없음
요의를 느끼지 못하는 것과 관련된 요정체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자가 배뇨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단순도뇨를 시행한다.
2. 적절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3,배뇨촉진법을 시도한다.
4. 의사의 처방에 의한 crede’s
maneuver을 시행한다.
1.요도구→요도구 바깥쪽으로 소독을 한 후 7Fr 카테터를 삽입하여 소변을 배출 한다.
2. 하루 1~2L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3.대상자가 요의를 느낄 때 즉시 화장실에 갈 수 있게 하고, 물소리를 듣게 하거나 회음부에 더운물 주머니를 대어준다.
4. 의사의 처방에 의해 시행하며 방광이 이완상태일 경우 방광부위에 손으로 압박을 가하여 배뇨되도록 한다.
1.도뇨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관을 방광에 집어넣는 것으로 배뇨장애가 있는 대상자의 소변배출을 도울 수 있다.
2. 적절한 수분 섭취는 요의를 느끼게 하여 소변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3. 배뇨촉진법은 요의를 느끼게 하여 소변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4. crede’s
maneuver 은 방광부위에 압박을 가함으로써
배뇨를 촉진시킨다.
대상자는 시간당 소변 배설량이 20~50cc 로 유지됨
대상자는 적절한 수분섭취를 하여
요의를 느낌
대상자가 스스로 소변을 볼 수 있다고 말함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 까지 자가배뇨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수술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 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왼쪽 복부부분이 뻐근해요”
“ 수술 한 부위가 결려요”
“움직일 때 마다 아파요”
V/S
BP:130/80
BT: 36.2℃
HR: 66회
RR: 20회
SPO2: 98%
NRS 통증사정 시 6점 호소함
PQRST
P통증악화요인:
수술
Q 통증의 양상:
수술부위가 결리고 뻐근해요
R 통증부위:
왼쪽복부
방사통 없음
S 통증정도:
Visual Analog Scale
0~10cm로 사정 시 6cm 호소함
T 통증지속시간:
움직일 때마다 간헐적으로 아픔
수술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완화법을 통해 통증이 감소 될 것이다.
1.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통증을 사정한다.
3.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한다.
4. PCA 사용방법을 교육한다.
1.활력징후는 1~2시간정도 안정될 때까지 15분마다 측정한다.
2. 대상자에게 0~10 점으로 점수를 측정하여 결과를 기록한다.
3.움직이거나 기침 시 베개로 수술부위를 지지해주고 음악이나 호흡 같은 이완요법을 사용한다.
4.현재 PCA 유지중이며 진통이 심할 때 8분 간격으로 버튼을 누르면 더 많은 양의 진통제가 들어간다는 것을 알려준다.
1.활력징후는 기본적인 환자의 정보를 제공하므로 필요하다.
2.통증정도를 파악하도록 대상자를 돕는 것은 합병증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통증정도를 사정하여 그에 따른 중재를 할 수 있다.
3. 통증 경감을 위해 자세변경, 수술부위 베개로지지,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4. PCA는 일정한 양의 진통제가 정맥로를 통해 지속적으로 투여되는 것으로 환자 자신이 통증을 느낄 때 진통제를 안전하게 추가투여 할 수 있고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이고 안전하다.
NRS통증 사정 시 통증 정도가 0점으로 감소되었다고 말로 표현함. (6점→3점→0점으로 변화)
대상자는 통증 없이 활동을 이행함.
(식사, 침상 이동 등)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 까지 지속적인 통증 완화법을 통해 통증이 완화될 것이다.
▶ 수술부위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 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몸이 으실으실 추워요”
“ 몸이 뜨거워요”
“열이 많이 나는 것 같아요”
V/S
BP:130/80
BT: 38.3℃
P: 74회
RR: 20회
SPO2: 97%
발열 있음
오한 chilling 있음
WBC
:16.2110E3/L
urine color
: clear pinkish
수술부위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단기목표
: 대상자는
6시간 이내에 체온이 정상범위로 유지될 것이다.
1.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고체온 징후가 나타나는지 사정한다.
2.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3. 대상자의 탈수를 예방한다.
4. 체온이 내려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1. 활력징후는 1~2시간정도 안정될 때까지 15분마다 측정하고
고체온 징후가 나타나는지 사정한다. (피부 상태, 맥박, 호흡 등을 관찰함.)
2. 처방된 Denogan 1vial+ N/S100ml에 희석하여 정맥 투여한다.
3.대상자에게 수분섭취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4.보호자에게 Tepid water massage를 교육하고 시행하도록 하고 창문을 열어 체온이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1.적절한 중재 후 체온 변화를 측정하여 호전 상태를 알 수 있고 고체온 징후를 사정하여 필요 시 그에 맞는 적절한 중재를 할 수 있다.
2. 데노간은 해열·진통·소염제로 발열이 있을 때 투여 시 해열제 작용을 한다.
3. 수분섭취를 격려시킴으로써 탈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4. Tepid water massage는
열을 내리는 데 도움을 주고 시원한 환경은 체온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
액와 체온 36.7℃으로 측정되어 정상범위를 유지함
빈맥, 홍조 등의 고체온 증상이 나타나지 않음
고체온과 관련된 합병증 증상이 나타나지 않음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 까지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고체온과 관련된 합병증 증상이 없을 것이다.
3. 간호진단
번호
간호 진단 목록
1
요의를 느끼지 못하는 것과 관련된 요정체
⑦⑧⑨⑩
2
수술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①②③③④⑤⑥
3
수술부위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⑪⑫⑬⑭⑮
▶ 요의를 느끼지 못하는 것과 관련된 요정체
간호 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소변이 마렵지 않아요”
“ 3시간 째 소변이 나오지 않아요”
“방광이 찬 것 같은 느낌이 없어요”
Bladder scan 상 277ml 측정
타진 시: 둔탁음
치골결합부위 불편감: 없음
하복부 팽만감: 없음
신장 압통: 없음
요의를 느끼지 못하는 것과 관련된 요정체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자가 배뇨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단순도뇨를 시행한다.
2. 적절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3,배뇨촉진법을 시도한다.
4. 의사의 처방에 의한 crede’s
maneuver을 시행한다.
1.요도구→요도구 바깥쪽으로 소독을 한 후 7Fr 카테터를 삽입하여 소변을 배출 한다.
2. 하루 1~2L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3.대상자가 요의를 느낄 때 즉시 화장실에 갈 수 있게 하고, 물소리를 듣게 하거나 회음부에 더운물 주머니를 대어준다.
4. 의사의 처방에 의해 시행하며 방광이 이완상태일 경우 방광부위에 손으로 압박을 가하여 배뇨되도록 한다.
1.도뇨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관을 방광에 집어넣는 것으로 배뇨장애가 있는 대상자의 소변배출을 도울 수 있다.
2. 적절한 수분 섭취는 요의를 느끼게 하여 소변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3. 배뇨촉진법은 요의를 느끼게 하여 소변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4. crede’s
maneuver 은 방광부위에 압박을 가함으로써
배뇨를 촉진시킨다.
대상자는 시간당 소변 배설량이 20~50cc 로 유지됨
대상자는 적절한 수분섭취를 하여
요의를 느낌
대상자가 스스로 소변을 볼 수 있다고 말함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 까지 자가배뇨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수술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 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왼쪽 복부부분이 뻐근해요”
“ 수술 한 부위가 결려요”
“움직일 때 마다 아파요”
V/S
BP:130/80
BT: 36.2℃
HR: 66회
RR: 20회
SPO2: 98%
NRS 통증사정 시 6점 호소함
PQRST
P통증악화요인:
수술
Q 통증의 양상:
수술부위가 결리고 뻐근해요
R 통증부위:
왼쪽복부
방사통 없음
S 통증정도:
Visual Analog Scale
0~10cm로 사정 시 6cm 호소함
T 통증지속시간:
움직일 때마다 간헐적으로 아픔
수술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완화법을 통해 통증이 감소 될 것이다.
1.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통증을 사정한다.
3.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한다.
4. PCA 사용방법을 교육한다.
1.활력징후는 1~2시간정도 안정될 때까지 15분마다 측정한다.
2. 대상자에게 0~10 점으로 점수를 측정하여 결과를 기록한다.
3.움직이거나 기침 시 베개로 수술부위를 지지해주고 음악이나 호흡 같은 이완요법을 사용한다.
4.현재 PCA 유지중이며 진통이 심할 때 8분 간격으로 버튼을 누르면 더 많은 양의 진통제가 들어간다는 것을 알려준다.
1.활력징후는 기본적인 환자의 정보를 제공하므로 필요하다.
2.통증정도를 파악하도록 대상자를 돕는 것은 합병증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통증정도를 사정하여 그에 따른 중재를 할 수 있다.
3. 통증 경감을 위해 자세변경, 수술부위 베개로지지,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4. PCA는 일정한 양의 진통제가 정맥로를 통해 지속적으로 투여되는 것으로 환자 자신이 통증을 느낄 때 진통제를 안전하게 추가투여 할 수 있고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이고 안전하다.
NRS통증 사정 시 통증 정도가 0점으로 감소되었다고 말로 표현함. (6점→3점→0점으로 변화)
대상자는 통증 없이 활동을 이행함.
(식사, 침상 이동 등)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 까지 지속적인 통증 완화법을 통해 통증이 완화될 것이다.
▶ 수술부위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 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몸이 으실으실 추워요”
“ 몸이 뜨거워요”
“열이 많이 나는 것 같아요”
V/S
BP:130/80
BT: 38.3℃
P: 74회
RR: 20회
SPO2: 97%
발열 있음
오한 chilling 있음
WBC
:16.2110E3/L
urine color
: clear pinkish
수술부위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단기목표
: 대상자는
6시간 이내에 체온이 정상범위로 유지될 것이다.
1.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고체온 징후가 나타나는지 사정한다.
2.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3. 대상자의 탈수를 예방한다.
4. 체온이 내려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1. 활력징후는 1~2시간정도 안정될 때까지 15분마다 측정하고
고체온 징후가 나타나는지 사정한다. (피부 상태, 맥박, 호흡 등을 관찰함.)
2. 처방된 Denogan 1vial+ N/S100ml에 희석하여 정맥 투여한다.
3.대상자에게 수분섭취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4.보호자에게 Tepid water massage를 교육하고 시행하도록 하고 창문을 열어 체온이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1.적절한 중재 후 체온 변화를 측정하여 호전 상태를 알 수 있고 고체온 징후를 사정하여 필요 시 그에 맞는 적절한 중재를 할 수 있다.
2. 데노간은 해열·진통·소염제로 발열이 있을 때 투여 시 해열제 작용을 한다.
3. 수분섭취를 격려시킴으로써 탈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4. Tepid water massage는
열을 내리는 데 도움을 주고 시원한 환경은 체온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
액와 체온 36.7℃으로 측정되어 정상범위를 유지함
빈맥, 홍조 등의 고체온 증상이 나타나지 않음
고체온과 관련된 합병증 증상이 나타나지 않음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 까지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고체온과 관련된 합병증 증상이 없을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폐암 케이스
신장암 케이스 스터디 (Renal cell carcinoma)
일반외과 (general surgery) case 성인간호학임상실습 - 간종양 (liver cell carcinoma)
[성인간호학] RCC (Renal cell carcinoma :신장세포암) 케이스
성인간호학 실습, 정형외과,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회전근개 파열 (Rotator Cuff Tear) ...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추간판탈출증 HIVD 성인간호학 A+ case study
[외과 실습] A+받은 papillary thyroid carcinoma(갑상선 유두암) 케이스
성인간호학 대장암외과 실습케이스스터디 자료입니다
성인간호학 급성담낭염 실습케이스 스터디 자료입니다
[A+]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chronic renal failure 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