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태내발달
I. 수정
II. 태내발달의 단계
1. 발아기
2. 배아기
3. 태아기
B. 태내발달의 이상
I. 염색체 이상
1. 클라인펠터 증후군
2. 다운증후군
3. 터너 증후군
II. 특정 알레르의 이상
1. 페닐케토뉴리아
2. 알비니즘
3. 시클 세포빈혈
C. 태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I. 모체의 정서상태
II. 모체의 영양상태
III. 모체의 흡연과 음주
IV. 약물복용
V. 모체의 질병
VI. 모체의 연령
VII. Rh 인자
* 참고문헌
I. 수정
II. 태내발달의 단계
1. 발아기
2. 배아기
3. 태아기
B. 태내발달의 이상
I. 염색체 이상
1. 클라인펠터 증후군
2. 다운증후군
3. 터너 증후군
II. 특정 알레르의 이상
1. 페닐케토뉴리아
2. 알비니즘
3. 시클 세포빈혈
C. 태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I. 모체의 정서상태
II. 모체의 영양상태
III. 모체의 흡연과 음주
IV. 약물복용
V. 모체의 질병
VI. 모체의 연령
VII. Rh 인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흡연은 태아에게 치명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담배를 피는 남자의 정자에서 기형적인 것이 많이 발견된다.
술의 경우, 약간씩 마시는 것은 태아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으나, 임부가 알코올 중독인 경우 태아에게도 알코올 중독증과 같은 현상을 볼 수 있는데, 그들의 특징은 세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중앙신경계통의 미성숙으로 인해 지적 발달이 원만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성격이 불안정하다. 둘째, 성장의 장애를 보여서 출생 시의 몸무게와 키가 평균치에 미달한다. 셋째, 얼굴모양에 이상이 있는데, 특히 턱 모양이 정상인과 다른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태아는 워낙 작아서 조그만 태내환경의 변화에도 손상받기 쉬우므로 가능하면 흡연이나 음주를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V. 약물복용
최근에 임부가사용하는 약물이 태아에게 절대적으로 해롭다는 사실이 밝혀져 임신 중에는 되도록 약을 먹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과거에는 임부들의 정서안정 이나 또는 치료 목적으로 신경안정제 같은 약을 의사들이 처방해 주었는데, 그 부작용이 1960년대부터 밝혀지기 시작했다.
탈리도마이드(thalidomide)라는 수면제를 복용한 임부에게서 많은 기형아가 출생되었다. 이들 기형아들은 아주 짧은 쓸모없는 팔이나 손을 가지고 태어났거나 아니면 사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오직 임신 초기에만 일어난다.
이외에도 키니네는 귀머거리의 아이를 갖게 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항생제도 태아에게 해롭다고 본다. 먹는 피임약을 복용하던 부인이 1-2일 잊어버리고 안 먹어서 임신이 되었을 경우, 이를 모르고 계속 피임약을 먹는다면 태아에게 심한 장해를 초래할 수 있다. 마리화나나 헤로인 같은 환각제 또는 마약의 복용은 태아에게 좋지 않다. 그 밖의 어떠한 약이라도 임신 중에는 함부로 먹지 말고 의사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V. 모체의 질병
임부가 질병을 않게 되면 태아에게도 영향을 끼친다. 특히 임신초기에 풍진, 유행성 감염, 볼거리(mumps) 등을 않으면 태아가 기형이 되기 쉽다. 풍진이라는 병은 보통 성인에게 생기는 가벼운 정도의 질병이지만, 임신 중에 이 병에 걸리면 태아에. 해를 입힐 확률이 높아서 임신 4주내에 이 병에 걸리면 50% 가량의 아기가 귀머거리, 심장장애, 백내장, 정신박약 등의 신체적 결함을 가지고 태어난다.
Cottey와 Jessop에 의하면 임신 3개월 내에 감기에 걸리면 7.4%, 6개월 내에는 4.3%, 9개월 내에는 2.0%의 기형아 출산율을 보였다고 한다.
임질이나 매독은 태아에게 치명적이어서 기형아의 출산 가능성이 높다. 임부가 임질을 가볍게 않고 있을 때는 별 이상을 안 나타낼 수 있으나, 출산과정에서 임질균이 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때 출산 직후 신생아에게 페니실린을 몇 방울눈에 떨어뜨리면 시각장애를 방지 할 수 있다.
당뇨병은 태아의 성장을 자극시켜서 임신기간 중에 예상되는 정상적 크기보다는 훨씬 더 큰 아기를 낳게 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된다.
임부가 결핵에 걸린 경우에는 태아가 결핵균에 감염되어 태어나는 아기가 결핵균을 갖고 태어난다. 임부의 질병은 아니지만 X광선도 태아에 큰 영향을 주므로, 임신 중에 골반에 X선을 오랫동안 쬐게 되면 조산이나 유산, 사산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여러 모체의 질병이 태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시기는 각 신체기관이 형성되는 임신 초기이며, 여러 기관이 다 형성된 후의 영향은 이에 비하여 훨씬 적다.
VI. 모체의 연령
임부가 35세 넘어서 출산을 하는 경우 의학적으로 노산(老産)이라고 한다. 노산인 경우 생산기능의 약화로 태아에게 여러 장애를 가져올 수 있다. 대체적으로 자연유산이 많고 임신중독증 현상을 볼 수 있으며, 산도가 굳어져 분만시간이 길어 난산이 되기 쉽다. 뿐만 아니라 임부의 생명까지도 빼앗아간다.
미숙아의 출생 가능성도 35세 이상의 산모에서 높았고, 다운증후군은 산모의 연령에 따라 급격히 증가한다. 즉 30세 이전의 산모에게서 다운증후군의 아이를 갖는 확률은 1000명 중 1명인 데 비해 40세에는 100명에 1명이고, 45세가 되면 45명에 1명이다.
양수검사는 임신 14주내지 16주 사이에 하는 것으로 어머니의 뱃속에 주사기를 넣어 양수를 뽑아낸다. 양수 속에는 태아에서 떨어진 세포가 있는데, 이 세포속의 염색체를 가지고 다운증후군과 같은 유전이상을 알 수 있고, 태아의 성별을 파악할 수 있다. 다행히 양수천자법에 의하여 예진(豫診)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아기의 탄생은 사전에 막을 수 있게 된다.
<그림> 어머니의 연령과 다운증후군을 가진 아이의 출산 가능성
VII. Rh인자
Rh 혈액형은 우성 열성의 법칙에 따라 결정되는 데, 財쪘을 결정하는 알레르의 하나만 우성인 경우에는 Rh+형이 되고, 알레르 두 개 모두 열성인 경우는 Rh-형이 된다. 그러므로Rh-형인 사람은 전체 인구의 1% 정도로 아주 드물다.
Rh형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경우는 Rh+형과 Rh-형의 혈액이 섞일 경우이다. Rh+혈액을 받은 Rh-형의 사람은 그 혈액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항체(抗體)를 형성하여 烈1+를 거부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임부의 혈액형이 Rh-이고 태아의 혈액형이 Rh+인 경우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즉 태아와 모체 사이의 직접적인 혈액의 교환은 없으나, 때때로 태아의 혈액이 임부의 순환계로 들어가는 수가 있는데, 이런 경우 R형인 모체의 혈액은 Rh+형에 대처하기 위해 항체를 만들며, 이것이 태아의 혈액 속에 들어가서 적혈구를 파괴하여 태아를 죽게 한다. 설사 태아가 죽지 않는다 하더라도 대개의 경우 정신박약아가 된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술의 경우, 약간씩 마시는 것은 태아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으나, 임부가 알코올 중독인 경우 태아에게도 알코올 중독증과 같은 현상을 볼 수 있는데, 그들의 특징은 세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중앙신경계통의 미성숙으로 인해 지적 발달이 원만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성격이 불안정하다. 둘째, 성장의 장애를 보여서 출생 시의 몸무게와 키가 평균치에 미달한다. 셋째, 얼굴모양에 이상이 있는데, 특히 턱 모양이 정상인과 다른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태아는 워낙 작아서 조그만 태내환경의 변화에도 손상받기 쉬우므로 가능하면 흡연이나 음주를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V. 약물복용
최근에 임부가사용하는 약물이 태아에게 절대적으로 해롭다는 사실이 밝혀져 임신 중에는 되도록 약을 먹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과거에는 임부들의 정서안정 이나 또는 치료 목적으로 신경안정제 같은 약을 의사들이 처방해 주었는데, 그 부작용이 1960년대부터 밝혀지기 시작했다.
탈리도마이드(thalidomide)라는 수면제를 복용한 임부에게서 많은 기형아가 출생되었다. 이들 기형아들은 아주 짧은 쓸모없는 팔이나 손을 가지고 태어났거나 아니면 사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오직 임신 초기에만 일어난다.
이외에도 키니네는 귀머거리의 아이를 갖게 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항생제도 태아에게 해롭다고 본다. 먹는 피임약을 복용하던 부인이 1-2일 잊어버리고 안 먹어서 임신이 되었을 경우, 이를 모르고 계속 피임약을 먹는다면 태아에게 심한 장해를 초래할 수 있다. 마리화나나 헤로인 같은 환각제 또는 마약의 복용은 태아에게 좋지 않다. 그 밖의 어떠한 약이라도 임신 중에는 함부로 먹지 말고 의사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V. 모체의 질병
임부가 질병을 않게 되면 태아에게도 영향을 끼친다. 특히 임신초기에 풍진, 유행성 감염, 볼거리(mumps) 등을 않으면 태아가 기형이 되기 쉽다. 풍진이라는 병은 보통 성인에게 생기는 가벼운 정도의 질병이지만, 임신 중에 이 병에 걸리면 태아에. 해를 입힐 확률이 높아서 임신 4주내에 이 병에 걸리면 50% 가량의 아기가 귀머거리, 심장장애, 백내장, 정신박약 등의 신체적 결함을 가지고 태어난다.
Cottey와 Jessop에 의하면 임신 3개월 내에 감기에 걸리면 7.4%, 6개월 내에는 4.3%, 9개월 내에는 2.0%의 기형아 출산율을 보였다고 한다.
임질이나 매독은 태아에게 치명적이어서 기형아의 출산 가능성이 높다. 임부가 임질을 가볍게 않고 있을 때는 별 이상을 안 나타낼 수 있으나, 출산과정에서 임질균이 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때 출산 직후 신생아에게 페니실린을 몇 방울눈에 떨어뜨리면 시각장애를 방지 할 수 있다.
당뇨병은 태아의 성장을 자극시켜서 임신기간 중에 예상되는 정상적 크기보다는 훨씬 더 큰 아기를 낳게 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된다.
임부가 결핵에 걸린 경우에는 태아가 결핵균에 감염되어 태어나는 아기가 결핵균을 갖고 태어난다. 임부의 질병은 아니지만 X광선도 태아에 큰 영향을 주므로, 임신 중에 골반에 X선을 오랫동안 쬐게 되면 조산이나 유산, 사산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여러 모체의 질병이 태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시기는 각 신체기관이 형성되는 임신 초기이며, 여러 기관이 다 형성된 후의 영향은 이에 비하여 훨씬 적다.
VI. 모체의 연령
임부가 35세 넘어서 출산을 하는 경우 의학적으로 노산(老産)이라고 한다. 노산인 경우 생산기능의 약화로 태아에게 여러 장애를 가져올 수 있다. 대체적으로 자연유산이 많고 임신중독증 현상을 볼 수 있으며, 산도가 굳어져 분만시간이 길어 난산이 되기 쉽다. 뿐만 아니라 임부의 생명까지도 빼앗아간다.
미숙아의 출생 가능성도 35세 이상의 산모에서 높았고, 다운증후군은 산모의 연령에 따라 급격히 증가한다. 즉 30세 이전의 산모에게서 다운증후군의 아이를 갖는 확률은 1000명 중 1명인 데 비해 40세에는 100명에 1명이고, 45세가 되면 45명에 1명이다.
양수검사는 임신 14주내지 16주 사이에 하는 것으로 어머니의 뱃속에 주사기를 넣어 양수를 뽑아낸다. 양수 속에는 태아에서 떨어진 세포가 있는데, 이 세포속의 염색체를 가지고 다운증후군과 같은 유전이상을 알 수 있고, 태아의 성별을 파악할 수 있다. 다행히 양수천자법에 의하여 예진(豫診)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아기의 탄생은 사전에 막을 수 있게 된다.
<그림> 어머니의 연령과 다운증후군을 가진 아이의 출산 가능성
VII. Rh인자
Rh 혈액형은 우성 열성의 법칙에 따라 결정되는 데, 財쪘을 결정하는 알레르의 하나만 우성인 경우에는 Rh+형이 되고, 알레르 두 개 모두 열성인 경우는 Rh-형이 된다. 그러므로Rh-형인 사람은 전체 인구의 1% 정도로 아주 드물다.
Rh형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경우는 Rh+형과 Rh-형의 혈액이 섞일 경우이다. Rh+혈액을 받은 Rh-형의 사람은 그 혈액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항체(抗體)를 형성하여 烈1+를 거부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임부의 혈액형이 Rh-이고 태아의 혈액형이 Rh+인 경우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즉 태아와 모체 사이의 직접적인 혈액의 교환은 없으나, 때때로 태아의 혈액이 임부의 순환계로 들어가는 수가 있는데, 이런 경우 R형인 모체의 혈액은 Rh+형에 대처하기 위해 항체를 만들며, 이것이 태아의 혈액 속에 들어가서 적혈구를 파괴하여 태아를 죽게 한다. 설사 태아가 죽지 않는다 하더라도 대개의 경우 정신박약아가 된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경영학]인터넷 쇼핑몰에서의 구매자 가치중심 분석,쇼핑몰분석,쇼핑몰경영
맞벌이부모의 배경적 변인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연구 설계)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발달 레포트
아동건강교육4B) 2011년 이후 영유아건강관련 기사, 논문 1개 요약, 유아교육현장에서의 건강...
외국의 자원봉사활동의 긍정적인 부분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자원봉사활동을 체계화 시키고 활...
태내발달의 내용 중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 어떤 요인이 영아발달...
브론펜브레너(브론펜브렌너/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이론에 대해 5가지 체계를 순서대로 ...
태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정리하고 자신의 의견을 기술.
태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정리하고 자신의 의견을 기술 : 태내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