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H case stud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DH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본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슴쓰림, 설사
3V #3
페니실린계 항생제
빌리루빈 증가, 혈중 alkaline phosphatase(AL-P) 증가
1A #1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쇽 증상(흉내고민, 냉한, 호흡곤란)
6) 간호과정
간호진단
1. 기도 내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간호사정
호흡시마다 ‘그륵그륵’ 거리는 분비물 끓는 소리가 들림.
Ventilation 시행 중
간호목표
(기대결과)
- 그르렁거리는 소리의 호흡음이 감소될 것이다.
- 대상자는 기도 내 분비물이 감소하여 정상적인 기도 개방을 유지한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대상자에게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 거담제를 투여하고 효과 및 부작용을 사정한다.
기관지 분비물을 액화시키고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켜 분비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필요시마다 흡인하고 기도는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한다.
부동으로 인한 기침반사의 상실, 폐렴 때문에 생긴 축적된 분비물을 자주 흡인한다.
측위나 반복위로 체위를 자주 변경한다.
secretion이 한곳에 과다하게 고이는 것을 방지한다.
E-tube유지하고 ventilator를 적용하고 있다면, 가습기에 적당한정도의 증류수와 온도를 유지하도록 자주 관찰한다.
기관지 분비물이 묽게 하여 배출이 용이 하도록 적절한 습도를 유지한다
Ventilation 상태를 사정한다.
ABGA를 확인한다.
수액을 공급한다.
가래를 묽게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타진한다.
타진하여 분비물이 쉽게 분리될수 있도록 한다.
간호 평가
- 그르렁거리는 소리의 호흡음이 감소되었다
- 대상자는 기도 내 분비물이 감소하여 정상적인 기도 개방을 유지했다.
간호진단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사정
수술명(Operation) : craniectomy c HR, Lt
부동상태로 스스로 감염에 대처하지 못하는 상태임.
간호목표
(기대결과)
- 대상자에게 감염의 징후(농성분비물, 발적, 체온상승)가 나타나지 않는다
- 삽관 remove시까지 삽관부위에 감염sign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일반진단혈액 (CBC) 와 CRP 수치를 사정한다.
WBC는 현재의 감염상태를 알려주는 지표로 정상 수치는 5,000~1,000이다. 특히 급성 감염 시 증가한다.
항생제의 반응검사를 한다.
약물에 과민반응을 실행함으로써 약물에 대한 부작용을 줄 일 수 있다.
감염 증상을 사정한다.
국소적 감염의 증상인 발적, 부종, 열감, 통증, 이환된 부위의 기능상실 등을 관찰하고 발열, 림프부종, 호흡과 맥박의 상승등과 같은 전신적 감염증상을 알아본다.
Urin bag, Line 등을 정기적으로 교체하고 단단히 고정한다.
유치 도뇨관은 최소 2주에 한번씩 교체를 해주고 정맥 line은 적어도 3일에 한번 교체를 해준다.urine bag의 위치는 방광의 아래부분에 있게 고정을 한다.
모든 처치에 앞 서 손씻기를 한다.
무균술을 적용함으로써 감염을 예방한다.
침습적 catheter가 삽입된 부위를 Povidone-Iodine용액으로 드레싱한다
포비돈 아이오딘은 상처 부위의 감염 예방과 치료를 위한 살균 소독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간호 평가
- 대상자에게 체온상승이 나타났다.
시간 날짜
날짜
8시
37.5
37.2
37.4
37.4
38.2
10시
37.0
37.2
38.1
37.8
37.2
12시
36.5
36.2
37.3
37.3
36.9
14시
37.2
36.8
38.5
36.3
36.8
간호진단
3. 장기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간호사정
mental state : Drowsy(GCS)
기저귀 착용 중
부동된 자세 유지로 체중으로 인한 피부압박이 있음
간호목표
(기대결과)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로 지속적으로 피부통합성이 잘 유지된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피부를 건조하고 깨끗하게 한다.
청결하게 유지함으로써 세균의 감염으로 인 한 손상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position change를 q 2hr 한다
1) 장시간 한 부위만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여 손상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2) 압박으로 인해 말초신경이 차단되어 산소와 영양소가 조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시간은 최소 2시간으로 알려져 있다.
적절한 영양과 비타민을 제공한다.
영양이 충분치 못한 세포는 쉽게 손상받기 때문에 단백질과 열량, 영양부족인 사람들은 욕창의 위험이 있다.
1) 비타민 C가 부족하면 모세혈관이 약해져 혈액순환이 좋지 않다.
2) 단백질 결핍은 음질소균형과 전해질 불균형, 불충분한 열량 섭취, 피부손상의 소인이 된다.
침구류를 주름없이 관리하고 피부에 마찰이 적도록 베개를 대준다.
구김으로 인한 피부손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적당한 습도를 제공한다.
장시간의 습기는 피부손상을 가져 온다
마사지를 한다.
마사지는 혈액순환을 도와 욕창을 예방한다.
air matress를 깔아준다.
체중을 분산시켜 욕창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간호 평가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로 지속적으로 피부통합성이 잘 유지되었다(날짜 기간)
Ⅳ. 참고문헌
http://onegate.co.kr/gospel/bbs/bbs/board.php?bo_table=healht&wr_id=42 건강복음
http://www.hidoc.co.kr/Webservice/Iframe/iframe.aspx?MODE=VIEW¤tpage=82&srno=2407&ContentType=3 하이닥
http://ko.wikipedia.org/wiki/%ED%8F%AC%EB%B9%84%EB%8F%88-%EC%95%84%EC%9D%B4%EC%98%A4%EB%94%98 위키백과
http://www.primary-surgery.org/ps/vol2/html/sect0209.html
http://drjokc.tistory.com/entry/SDH-EDH-CT
http://clinicclinic2.cafe24.com/clncl-mdcne/nrsrgry/hd_injry.htm
http://kor.mdhealthresource.com/disability-guidelines/epidural-hematoma
이대희, 임상신경학-제 5장 두부외상.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4.26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70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