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문헌고찰
2. 간호력
3. 약물
4. 간호진단 3개
2. 간호력
3. 약물
4. 간호진단 3개
본문내용
변비 □Loose □설사 □점액변 □기타
대변색깔 ■Normal □Melena □Hematochezia □녹색변 □회색변
- 배변횟수 2(일) 1(회정도)
양 Morderate
● 배뇨양상
양상 : ■정상 □빈뇨 □핍뇨 □혈뇨 □긴급뇨 □ 요실금
소변색 : Yellowish(노란색)
횟수 : 3~4(회정도)
plan)
1. NPO, hydration
2. IV anti
2. 임상 검사
혈액검사
1)CBC, Diff. count (Stat)
항목
정상치
날짜
날짜
날짜
임상적 의의
WBC
4.0 ~ 10.0
6.74
9.61
20.16
증가: 세균감염, 백혈병
감소: 재생불량성 빈혈, 바이러스성 감염 조혈성 질환
SEG
50.0 - 75.0
56.8
62.2
83.2
증가 : 세균감염질환
MONO
2.0 - 9.0
9.8
9.8
7.8
증가: 세균감염, 백혈병
감소: 재생불량성 빈혈, 바이러스성 감염 조혈성 질환
EOSINO
1.0 - 5.0
1.3
0.7
0.1
알레르기 질환이나 기생충 감염에서 증가한다.
NEUT
1.90 - 8.00
3.83
5.98
16.76
다형핵 백혈구 중 호중구로 생체 방어기능
PT sec
10.0 - 13.0
13.6
13.7
11.5
빠름: 심장질환이 발병할 위험인자
느림: 지혈과정 문제
PT %
75 - 115 %
64.5
63.5
92.6
증가: 심장질환 발병 위험인자
감소: 지혈과정 문제
PT INR
0.90 - 1.20
1.22
1.23
1.03
빠름: 심장질환 발병 위험인자
느림: 지혈과정 문제
항목
정상치
날짜
날짜
날짜
임상적 의의
Total CO2
22 - 30
21.2
19.8
23.5
가스교환에 이상이 생기면 체내 CO2농도가 변함.
생화학검사
면역화학검사
항목
정상치
날짜
날짜
날짜
임상적 의의
CRP
0.3 이하
4.5
2.9
대표적인 급성기 반응물질
→ 염증(감염, 자가면역질환 등)이나 조직손상(외상, 수술, 심근경색, 종양)에 반응하여 양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물질
3. 약물
상품명(성분명)
용량/용법
효능/효과
부작용
inj. 10g
다음 환자의 비타민 결핍 예방
- 외과수술시, 중증화상, 골절 및 기타 외상
- 중증감염증, 혼수상태
쇽, 아나필락시양 증상
ing. 50mg
혐기성균에 의한 다음질환 패혈증 및 균혈증, 뇌농양, 괴저성폐염, 골수염, 산욕기패혈증, 골반농양
상복부통, 구역, 구토, 설사, 구강점막염, 백혈구감소증, 호중구 감소
inj.4mp
신장 및 요로감염증, 임질 등 생식기 감염증, 복막염, 담낭염, 담관염 등 위장관감염증
불쾌감, 구내이상감, 천명, 발진, 두드러기, 홍반, 발적, 복통, 빈번한 설사
tab. 100mg
신우신염, 방광염, 임균성요도염, 바토린선염, 바토린선농양, 종기, 종기증, 옹종, 단독
쇽, 아나필락시양, 발진, 두드러기, 홍반, 가려움, 대장염
간호진단
1.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몸이 불덩이 같이 뜨거워요.”
“입이 마르네요. 자꾸 갈증이 나요”
객관적
자료
BT : 37.5℃
식은땀을 흘림.
간호목표
(기대결과)
대상자는 5시간 이내에 정상체온으로 회복할 것이다.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고체온 증상을 보이지 않을 것이다.
간호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발한 후 린넨을 교환한다.
수행
린넨에 묻은 땀으로 인해 체온이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활력징후를 1시간 마다 측정했다.
수행
(37.5℃→36.9℃→36.2℃)
전신적인 상태의 변화를 확인한다.
적절한 수분섭취를 권유한다.
수행
(1500ml의 수분섭취를 권유했다.)
열이 지속되면 탈수현상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수분을 공급한다.
간호 평가
- 3시간 후 체온이 36.2℃로 측정
대변색깔 ■Normal □Melena □Hematochezia □녹색변 □회색변
- 배변횟수 2(일) 1(회정도)
양 Morderate
● 배뇨양상
양상 : ■정상 □빈뇨 □핍뇨 □혈뇨 □긴급뇨 □ 요실금
소변색 : Yellowish(노란색)
횟수 : 3~4(회정도)
plan)
1. NPO, hydration
2. IV anti
2. 임상 검사
혈액검사
1)CBC, Diff. count (Stat)
항목
정상치
날짜
날짜
날짜
임상적 의의
WBC
4.0 ~ 10.0
6.74
9.61
20.16
증가: 세균감염, 백혈병
감소: 재생불량성 빈혈, 바이러스성 감염 조혈성 질환
SEG
50.0 - 75.0
56.8
62.2
83.2
증가 : 세균감염질환
MONO
2.0 - 9.0
9.8
9.8
7.8
증가: 세균감염, 백혈병
감소: 재생불량성 빈혈, 바이러스성 감염 조혈성 질환
EOSINO
1.0 - 5.0
1.3
0.7
0.1
알레르기 질환이나 기생충 감염에서 증가한다.
NEUT
1.90 - 8.00
3.83
5.98
16.76
다형핵 백혈구 중 호중구로 생체 방어기능
PT sec
10.0 - 13.0
13.6
13.7
11.5
빠름: 심장질환이 발병할 위험인자
느림: 지혈과정 문제
PT %
75 - 115 %
64.5
63.5
92.6
증가: 심장질환 발병 위험인자
감소: 지혈과정 문제
PT INR
0.90 - 1.20
1.22
1.23
1.03
빠름: 심장질환 발병 위험인자
느림: 지혈과정 문제
항목
정상치
날짜
날짜
날짜
임상적 의의
Total CO2
22 - 30
21.2
19.8
23.5
가스교환에 이상이 생기면 체내 CO2농도가 변함.
생화학검사
면역화학검사
항목
정상치
날짜
날짜
날짜
임상적 의의
CRP
0.3 이하
4.5
2.9
대표적인 급성기 반응물질
→ 염증(감염, 자가면역질환 등)이나 조직손상(외상, 수술, 심근경색, 종양)에 반응하여 양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물질
3. 약물
상품명(성분명)
용량/용법
효능/효과
부작용
inj. 10g
다음 환자의 비타민 결핍 예방
- 외과수술시, 중증화상, 골절 및 기타 외상
- 중증감염증, 혼수상태
쇽, 아나필락시양 증상
ing. 50mg
혐기성균에 의한 다음질환 패혈증 및 균혈증, 뇌농양, 괴저성폐염, 골수염, 산욕기패혈증, 골반농양
상복부통, 구역, 구토, 설사, 구강점막염, 백혈구감소증, 호중구 감소
inj.4mp
신장 및 요로감염증, 임질 등 생식기 감염증, 복막염, 담낭염, 담관염 등 위장관감염증
불쾌감, 구내이상감, 천명, 발진, 두드러기, 홍반, 발적, 복통, 빈번한 설사
tab. 100mg
신우신염, 방광염, 임균성요도염, 바토린선염, 바토린선농양, 종기, 종기증, 옹종, 단독
쇽, 아나필락시양, 발진, 두드러기, 홍반, 가려움, 대장염
간호진단
1.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몸이 불덩이 같이 뜨거워요.”
“입이 마르네요. 자꾸 갈증이 나요”
객관적
자료
BT : 37.5℃
식은땀을 흘림.
간호목표
(기대결과)
대상자는 5시간 이내에 정상체온으로 회복할 것이다.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고체온 증상을 보이지 않을 것이다.
간호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발한 후 린넨을 교환한다.
수행
린넨에 묻은 땀으로 인해 체온이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활력징후를 1시간 마다 측정했다.
수행
(37.5℃→36.9℃→36.2℃)
전신적인 상태의 변화를 확인한다.
적절한 수분섭취를 권유한다.
수행
(1500ml의 수분섭취를 권유했다.)
열이 지속되면 탈수현상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수분을 공급한다.
간호 평가
- 3시간 후 체온이 36.2℃로 측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