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on 또는 Anrep 효과(예 ; homometric autoregulation), treppe현상 또는 상기 현상과 관계없이 수축촉진상태가 변화할 때 증가한다.
Anrep 효과는 갑자기 대동맥 또는 좌심실압의 증가시 심근섬유가 신전 후 수 회의 박동을 한 후에나 심실기능이 향상되는 현상을 뜻한다. 이는 수축과정의 더욱 빠른 활성화, 그에 따른 증가된 힘과 증가된 수축속도에 의한 증가된 수축력으로 생기는 현상이다.
Homometric autoregulation은 초기에 증가된 심실이완기말 용적과 둘레가 심박출량이 증가함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단지 몇 분간만 작용하게 된다.
Treppe 현상은 힘과 빈도의 관계로 계단효과 또는 Bowditch 현상으로 불리고 있는데, 심박수가 갑자기 증가하면 수축력이 점차 증가하는 현상이다. 근원섬유의 칼슘 감수성의 변화와 활동자 칼슘의 변화에 의해 생긴다.
Woodworth 현상은 역계단 효과로서 심비트 사이의 휴지기가 길어지면 수축력이 증가한다. 수축력이 증가하면 이완기말 용적이 같아도 수축기말용적이 감소하면서 박출계수가 증가한다. 저산소증, 산증, 심근병, 경색, 칼슘 또는 음성변력작용제 등과 같은 약물투여 시 수축력이 감소한다.
5) 유순도(compliance)
확장기말압력의 변화에 대한 이완기말용적의 비선형 변화를 뜻한다. 이완기충만속도는 심박출량의 주요 인자로 유순도가 감소하면 감소하게 된다.
심근수축력이 정상이라 할지라도 관상동맥질환, 비후성심근병, cardiac tamponade, 고혈압성 심장병 등이 있으면 이완기충만이 억제되어 심박출량이 감소된다.
Anrep 효과는 갑자기 대동맥 또는 좌심실압의 증가시 심근섬유가 신전 후 수 회의 박동을 한 후에나 심실기능이 향상되는 현상을 뜻한다. 이는 수축과정의 더욱 빠른 활성화, 그에 따른 증가된 힘과 증가된 수축속도에 의한 증가된 수축력으로 생기는 현상이다.
Homometric autoregulation은 초기에 증가된 심실이완기말 용적과 둘레가 심박출량이 증가함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단지 몇 분간만 작용하게 된다.
Treppe 현상은 힘과 빈도의 관계로 계단효과 또는 Bowditch 현상으로 불리고 있는데, 심박수가 갑자기 증가하면 수축력이 점차 증가하는 현상이다. 근원섬유의 칼슘 감수성의 변화와 활동자 칼슘의 변화에 의해 생긴다.
Woodworth 현상은 역계단 효과로서 심비트 사이의 휴지기가 길어지면 수축력이 증가한다. 수축력이 증가하면 이완기말 용적이 같아도 수축기말용적이 감소하면서 박출계수가 증가한다. 저산소증, 산증, 심근병, 경색, 칼슘 또는 음성변력작용제 등과 같은 약물투여 시 수축력이 감소한다.
5) 유순도(compliance)
확장기말압력의 변화에 대한 이완기말용적의 비선형 변화를 뜻한다. 이완기충만속도는 심박출량의 주요 인자로 유순도가 감소하면 감소하게 된다.
심근수축력이 정상이라 할지라도 관상동맥질환, 비후성심근병, cardiac tamponade, 고혈압성 심장병 등이 있으면 이완기충만이 억제되어 심박출량이 감소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