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성 발달이론(프로이드 피아제 콜버그 반두라의 도덕성 발달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덕성 발달이론(프로이드 피아제 콜버그 반두라의 도덕성 발달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도덕성 발달이론

1. 정신분석이론

2. 인지발달이론
1)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3. 사회학습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피험자에게 가상적으로 제시된 상황일 뿐 실제적으로 피험자가 직면한 상황이 아니라는 점이다. 둘째,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은 문화적 편견을 보이기 때문에, 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는 모든 문화권에서 보편적인 현상이 아니라는 지적을 받았다. 셋째, 콜버그의 이론은 여성에 대한 편견을 포함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즉, 콜버그는 여성의 도덕적 판단에서 나타나는 대인관계 관련 요소를 평가 절하함으로써, 도덕적 추론에서 여성들이 내는 다른 목소리를 무시하고, 여성의 도덕성 발달 수준이 남성에 비해 뒤떨어지는 것으로 판단했다.
도덕성 발달의 성차를 주장한 콜버그의 이론에 대해 길리건(Gilligan)은 다른 주장을 제기하였다. 길리건에 의하면 남아는 독립적이고, 자기주장이 강하며, 성취를 지향하도록 사회화되기 때문에 도덕적 갈등 상황을 해결할 때 다른 사람의 권리, 법, 사회적 관습을 토대로 도덕적 추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도덕적 판단 수준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 중 4단계에 해당한다. 남아와 달리 여아는 양육적 이고, 배려적이며, 다른 사람의 욕구에 대한 관심을 가지도록 사회화되기 때문에 타인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도덕적 판단을 하게 된다. 이는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 중 3단계에 해당한다. 결국, 남성은 개인의 권리를 존중하는 법과 질서를 우선하는 정의 지향 도덕성(morality of justice)을 가지게 되는 반면, 여성은 타인에 대한 책임과 복지가 핵심인 배려 지향 도덕성(morality of care)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길리건은 콜버그가 주장하듯이 도덕성 발달에 성차가 존재한다기보다는 서로 다른 사회화 과정으로 인해 남성과 여성의 도덕성 발달 경로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3) 사회학습이론
초자아의 발달에 따라 도덕성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한 정신분석학자들과는 달리, 사회학습 이론가들은 아동이 처한 상황에 따라 도덕적 행동의 실행이 달라질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인지발달 이론가들의 주장처럼 도덕적 갈등 상황에 직면했을 때 아동이 보이는 도덕적 추론 수준은 도덕성 발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러나 도덕적 정서나 사고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과연 아동이 도덕적으로 판단한 대로 행동하느냐이다. 이처럼 사회학습 이론가들은 도덕적 행동의 측면에서 도덕성 발달을 연구하였다. 도덕적 행동을 사회학습 이론의 측면에서 설명한 대표적인 연구에는 하트숀과 메이(Hartshorne & May, 1930)의 연구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8-16세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거짓말하기, 속이기, 훔치기를 유도함으로써 아동의 도덕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아동이 특정 상황에서는 유혹에 저항한 반면, 다른 상황에서는 유혹에 굴복하였다. 이는 정신분석이론가들이 주장하듯이 도덕성이 안정적이고 통합적인 특성이라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상황-특정적 특성(situation-specific)이 도덕성에 내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반두라와 미셀(Bandura & Mischel) 등의 사회학습 이론가들은 도덕적 판단뿐만 아니라 도덕적 행동 역시 학습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즉 강화와 처벌, 관찰을 통해 아동은 도덕적 행동을 학습한다. 강화를 받은 행동은 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처벌받은 행동은 발생 가능성이 낮다. 직접적인 강화와 처벌 이외에도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도덕적 행동의 학습이 이루어진다.
반두라(1977)는 행위의 도덕적 기준이 학습과 모델링에 의해 설정되어야만 실제 상황에서 개인의 도덕적 행동이 수행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처럼 사회학습 이론에 의하면, 사회화가 제대로 이루어진 아동은 자신을 위해 하위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에 도달한 경우에는 자신을 보상하며, 목표에 미치지 못한 경우에는 스스로를 처벌한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4.29
  • 저작시기201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73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