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사회와 생활문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통사회와 생활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열린책, 1988, 388쪽 참조.
이었던 셈이다. 하여 지금도 축제(祝祭)와 제사(祭祀)는 같은 제(祭)자를 쓰고 있지 않은가.
세상은 변했고, 세상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도 많이 달라졌다. 옛사람들에게 ‘생활’이었던 것이 ‘전통’이라는 이름표를 달고 우리에게 생소하게 다가오기도 한다. 이전 세대들이 낯설게 여겼던 ‘외래문화’가 우리에게는 자연스러운 것이 되었고, ‘전통’은 오히려 먼 것이 되어버렸다. 세상은 점점 더 빠르게 변한다. 앞으로 태어나서 자라나는 우리 후대들에게 우리의 전통문화는 어쩌면 더욱더 생소한 것이 될 것이다. 그들에게 ‘이것은 좋은 것이니까’, ‘이것이 우리의 것이니까’, ‘오랫동안 이어온 전통이니까’ 무조건 지켜야 한다고 강요할 수만은 없다. 이 열린 시대에 그런 폐쇄적 교육은 통할 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문화 또한 경쟁이라는 현 사회의 구도 속에서 자유로울 수만은 없다. 전통은 그 나름대로 사람을 끌어들일 수 있는 확실한 매력을 가져야만 한다. 무엇보다 근본을 되새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지킬 것은 무엇인지, 또 바꿔야 할 것은 어떤 것인지, 버려야 할 것은 뭐가 있는지 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여 우리는 전통의 혼이 살아 숨 쉬면서도 현대는 물론 미래에도 보존될 수 있는 새로운 전통문화를 만들어 내야 할 것이다. 의무론이나 당위론 혹은 강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신바람 나게 참여할 수 있는 전통문화의 재창출. 이것이야말로 바로 지금 우리가 해야 할 몫이 아닌가 한다.
“가득 차오르는 보름달이 유난히도 밝고 아름다운만큼 아버지가 너무나도 그리운 날이다.”
  • 가격2,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5.02
  • 저작시기201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7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