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심계항진, 구역, 구토, 식욕부진
-주의 : 갑상선 기능 항진증
9.Ucerax
-중추신경용약
-수술전후 및 신경증에서의 불안, 피부질환에 수반하는 소양,두드러기
-용량 : 피부과-10~20mg tid
소아-0.6 mg/kg q6hr
-부작용: 졸음, 현기,권태,구갈, 위장장애
10.Smecta suspension
-지사제,소화기관용약
-적응증: 급만성 설사, 식도,위 십이지장, 장관질환 관련 통증
-용량 : 20ml tid~qid 식간복용 (소아 6개월 이하 10ml bid, 6개월 이상 10ml tid)
-부작용 :변비
-주의 :흡착성이 있어 타약물과 병용시 시간간격두고 복용
-금기 : 유전성 질환인 페닐케톤뇨증
11. bioflor-s
-정장제,소화기관 용약, 호모균 제제
-적응증 : 과민성 대장증후군, 항생제 및 화학요법제 투여에 의한 장내 이상질환
-용량 : 1~2cap tid (공복,식사 15분전), 소아 1cap tid
12. tylenol suspension
-해열진통제
-감기로 인한 발열, 동통, 두통
-용량 : 소아 30~40mg.kg/day
-부작용 : 혈소판감소, 빈혈, 구역, 구토, 식욕부진, 발진, 간독성 등
< 간호사정 및 수행,평가 >
#2. 분비물 과다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Dx : Pneumonia URL
-가습기 사용 -v/s ;112 - 26 - 38.2℃
-증가된 분비물로 인해 비정상적인 호흡음을 보임(호흡음이 거칠다.)
-투약: copan,prospan syrup, zaditen, ventolin sol 복용중
▷주관적 자료 :
-“기침이 계속나고 가래가 있어서 계속 그렁거리고 열이 많이 나요”
간호목표
▷장기 - 환아는 분비물 없이 기도청결 상태를 유지한다.
▷단기 -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없다.
- 효율적으로 기침을 해서 객담을 배출한다.
간호계획
-매시간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호흡깊이, 호흡음, 호흡수 사정)
-필요시 산소를 공습하고 ABGA결과를 관찰한다.
-흉부물리요법 및 체위배액을 교육하고 실시한다.
-안정을 취하고 가급적 말을 하는 것을 줄이도록 한다.
-폐확장이 잘 되도록 반좌위를 취하도록 하고, 오른쪽 흉부가 아래를
향하게 눕도록 한다.
-분비물 액화를 위해 수분권장을 한다.(미지근한 물)
-가습기를 환자 가까이에 제공한다.
-청색증, 호흡곤란, 저산소증과 혼돈 등 상태가 나빠지고 있지않나
증상을 잘 관찰한다.
-호흡이 심해지지 않는 범위에서 운동을 교육한다
간호수행
-3시간 간격으로 호흡을 사정함.(호흡깊이,호흡음, 호흡수 사정)
-안정을 취하도록 하고 말을 가급적 하지 않게 교육함.
-기침시 등을 지지하여 효과적으로 기침하도록 해서 객담배출을 하도록함
-수분 권장함. 미지근한 물을 자주 먹도록 교육함.
-가습기를 환자 가까이에 제공하였다.
-누울시 오른쪽 흉부가 아래를 향하게 하도록 교육함. 반좌위 취하도록함
-흉부물리 요법 및 체위배액법을 교육하고 실시하였음.
이론적근거
-반좌위가 폐확장이 가장 잘되는 체위이며 환측부위가 일측성일 경우
환부가 아래를 향하도록 해서 눕는 것이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함.
-흉부물리요법, 가습기, 미지근한 물이 객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함.
평가
-9/30 “오늘 기침 한번밖에 안했어요. 목도 안아파요”라고 환아가 말함
-9/30 Zadin, ventolin sol D/C , Copan bid,prospan tid 만 복용함
-호흡음이 처음 입원시보다 부드러워 짐.
-“기침과 가래 나오는 횟수가 많이 죽어들었어요”라고 부모가 말함.
-9/30 퇴원함.
# 1. 감염으로 생긴 고체온과 관련된 비효육적인 체온조절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Dx : Pneumonia URL
-CRP 1.79↑ -Mycoplasma Ab (+) -HBsAb (+) -RBC 4.32↓ -Hct 34.7↓
-지속적으로 정상범위 이상의 체온상승
-v/s 112-26-38.2℃(24일 38.2℃/25일 38.1℃/26일 38.1℃)
-투약:타이레놀(해열제) 9cc prn ,alporin(항생제),klaricid dry susp.
▷주관적 자료
-몸을 만져보니 뜨겁고 약간 붉어져 있다.아이가 축쳐져있다.
-“3일전부터 열이 올라서 떨어지질 않아요”라고 어머니가 말함.
간호목표
▷장기 - 체온지 정상범위로 유지된다.
▷단기 - 고열증상이 일주일 내로 사라진다.
- 감염의 징후가 없다.
간호계획
- BT 매시간 마다 측정함.(피부색, 맥박, 호흡수 확인, 관찰)
-오한이 있으면 담요 덮어주고, 오한이 사라지면 옷을 벗기고 미지근한
물로 닦아준다.
-필요시 해열제 투여한다. 효과를 사정한다.
-시원한 환경을 유지한다.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구강으로 수분섭취하도록 하고,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공급하도록 권장.
간호수행
-BT를 3시간 마다 측정하였고, 고체온시 보고함
-고열시 옷벗기고 미온수로 닦아줌
-필요시 타이레놀(해열제) 9cc po medi 하고 효과를 사정함.
-고열시 시원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함.
-수분 섭취를 권장하고 보호자에게 단백질과 탄수화물 섭취를 권장함.
이론적근거
-열소실이 있을수 있으므로 피부색과 맥박, 호흡수를 잘 관찰하여야함.
-해열제 투여가 가장 확실하고 신속한 방법이다.
-신진대사증과와 조직파괴로 인한 발열상태에서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요구가 증가한다.
-고열 환자는 불안정한 자극에 민감함으로 소음을 줄이고 휴식 환경을
조성하도록 한다.
평가
-29일부터 정상 체온 범위를 유지하였다.(29일 36.4℃,30일 36.0℃)
-29일부터 tyrenol D/C됨.
-고열의 증상이 사라짐 (피부의 열이 사라짐)
-30일 퇴원함.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하2 (수문사)
-성인간호학 하2(수문사)
-아동 간호 진단 (현문사)
-아동간호 임상매뉴얼 (수문사2001)
-임상간호 메뉴얼(현문사)
-간호진단과 계획 (이은옥,서문자 외. 서울대 출판부 1999)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기본간호실습서 (현문사)
-인하대 병원 임상실습 지침서 참고.
<참고사이트>
폐렴 - 엠파스,네이버, 두산백과사전
-주의 : 갑상선 기능 항진증
9.Ucerax
-중추신경용약
-수술전후 및 신경증에서의 불안, 피부질환에 수반하는 소양,두드러기
-용량 : 피부과-10~20mg tid
소아-0.6 mg/kg q6hr
-부작용: 졸음, 현기,권태,구갈, 위장장애
10.Smecta suspension
-지사제,소화기관용약
-적응증: 급만성 설사, 식도,위 십이지장, 장관질환 관련 통증
-용량 : 20ml tid~qid 식간복용 (소아 6개월 이하 10ml bid, 6개월 이상 10ml tid)
-부작용 :변비
-주의 :흡착성이 있어 타약물과 병용시 시간간격두고 복용
-금기 : 유전성 질환인 페닐케톤뇨증
11. bioflor-s
-정장제,소화기관 용약, 호모균 제제
-적응증 : 과민성 대장증후군, 항생제 및 화학요법제 투여에 의한 장내 이상질환
-용량 : 1~2cap tid (공복,식사 15분전), 소아 1cap tid
12. tylenol suspension
-해열진통제
-감기로 인한 발열, 동통, 두통
-용량 : 소아 30~40mg.kg/day
-부작용 : 혈소판감소, 빈혈, 구역, 구토, 식욕부진, 발진, 간독성 등
< 간호사정 및 수행,평가 >
#2. 분비물 과다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Dx : Pneumonia URL
-가습기 사용 -v/s ;112 - 26 - 38.2℃
-증가된 분비물로 인해 비정상적인 호흡음을 보임(호흡음이 거칠다.)
-투약: copan,prospan syrup, zaditen, ventolin sol 복용중
▷주관적 자료 :
-“기침이 계속나고 가래가 있어서 계속 그렁거리고 열이 많이 나요”
간호목표
▷장기 - 환아는 분비물 없이 기도청결 상태를 유지한다.
▷단기 -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없다.
- 효율적으로 기침을 해서 객담을 배출한다.
간호계획
-매시간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호흡깊이, 호흡음, 호흡수 사정)
-필요시 산소를 공습하고 ABGA결과를 관찰한다.
-흉부물리요법 및 체위배액을 교육하고 실시한다.
-안정을 취하고 가급적 말을 하는 것을 줄이도록 한다.
-폐확장이 잘 되도록 반좌위를 취하도록 하고, 오른쪽 흉부가 아래를
향하게 눕도록 한다.
-분비물 액화를 위해 수분권장을 한다.(미지근한 물)
-가습기를 환자 가까이에 제공한다.
-청색증, 호흡곤란, 저산소증과 혼돈 등 상태가 나빠지고 있지않나
증상을 잘 관찰한다.
-호흡이 심해지지 않는 범위에서 운동을 교육한다
간호수행
-3시간 간격으로 호흡을 사정함.(호흡깊이,호흡음, 호흡수 사정)
-안정을 취하도록 하고 말을 가급적 하지 않게 교육함.
-기침시 등을 지지하여 효과적으로 기침하도록 해서 객담배출을 하도록함
-수분 권장함. 미지근한 물을 자주 먹도록 교육함.
-가습기를 환자 가까이에 제공하였다.
-누울시 오른쪽 흉부가 아래를 향하게 하도록 교육함. 반좌위 취하도록함
-흉부물리 요법 및 체위배액법을 교육하고 실시하였음.
이론적근거
-반좌위가 폐확장이 가장 잘되는 체위이며 환측부위가 일측성일 경우
환부가 아래를 향하도록 해서 눕는 것이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함.
-흉부물리요법, 가습기, 미지근한 물이 객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함.
평가
-9/30 “오늘 기침 한번밖에 안했어요. 목도 안아파요”라고 환아가 말함
-9/30 Zadin, ventolin sol D/C , Copan bid,prospan tid 만 복용함
-호흡음이 처음 입원시보다 부드러워 짐.
-“기침과 가래 나오는 횟수가 많이 죽어들었어요”라고 부모가 말함.
-9/30 퇴원함.
# 1. 감염으로 생긴 고체온과 관련된 비효육적인 체온조절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Dx : Pneumonia URL
-CRP 1.79↑ -Mycoplasma Ab (+) -HBsAb (+) -RBC 4.32↓ -Hct 34.7↓
-지속적으로 정상범위 이상의 체온상승
-v/s 112-26-38.2℃(24일 38.2℃/25일 38.1℃/26일 38.1℃)
-투약:타이레놀(해열제) 9cc prn ,alporin(항생제),klaricid dry susp.
▷주관적 자료
-몸을 만져보니 뜨겁고 약간 붉어져 있다.아이가 축쳐져있다.
-“3일전부터 열이 올라서 떨어지질 않아요”라고 어머니가 말함.
간호목표
▷장기 - 체온지 정상범위로 유지된다.
▷단기 - 고열증상이 일주일 내로 사라진다.
- 감염의 징후가 없다.
간호계획
- BT 매시간 마다 측정함.(피부색, 맥박, 호흡수 확인, 관찰)
-오한이 있으면 담요 덮어주고, 오한이 사라지면 옷을 벗기고 미지근한
물로 닦아준다.
-필요시 해열제 투여한다. 효과를 사정한다.
-시원한 환경을 유지한다.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구강으로 수분섭취하도록 하고,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공급하도록 권장.
간호수행
-BT를 3시간 마다 측정하였고, 고체온시 보고함
-고열시 옷벗기고 미온수로 닦아줌
-필요시 타이레놀(해열제) 9cc po medi 하고 효과를 사정함.
-고열시 시원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함.
-수분 섭취를 권장하고 보호자에게 단백질과 탄수화물 섭취를 권장함.
이론적근거
-열소실이 있을수 있으므로 피부색과 맥박, 호흡수를 잘 관찰하여야함.
-해열제 투여가 가장 확실하고 신속한 방법이다.
-신진대사증과와 조직파괴로 인한 발열상태에서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요구가 증가한다.
-고열 환자는 불안정한 자극에 민감함으로 소음을 줄이고 휴식 환경을
조성하도록 한다.
평가
-29일부터 정상 체온 범위를 유지하였다.(29일 36.4℃,30일 36.0℃)
-29일부터 tyrenol D/C됨.
-고열의 증상이 사라짐 (피부의 열이 사라짐)
-30일 퇴원함.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하2 (수문사)
-성인간호학 하2(수문사)
-아동 간호 진단 (현문사)
-아동간호 임상매뉴얼 (수문사2001)
-임상간호 메뉴얼(현문사)
-간호진단과 계획 (이은옥,서문자 외. 서울대 출판부 1999)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기본간호실습서 (현문사)
-인하대 병원 임상실습 지침서 참고.
<참고사이트>
폐렴 - 엠파스,네이버, 두산백과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