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태내발달단계
I. 발아기
II. 배아기
III. 태아기
* 참고문헌
I. 발아기
II. 배아기
III. 태아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면 태아의 몸무게는 약 0. 3로 출생 시 평균 몸무게의 약 10%에 달하지만, 키는 약 30cm5. 출생 시 평균키의 50%가 넘게 된다.
7개월이 되면서 태아는 키가 약 40cm, 몸무게는 약 1.4~2.3kg이 된다. 이제 태아는 울 수 있으며, 숨을 쉬고, 삼키고, 손가락을 발 수 있고 소화도 할 수 있다. 이제부터 태아는 모체 밖으로 나와도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8개월이 되면 태아는 2.3-3.2kg정도가 되며 출생 후에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피부에 지방이 발달한다. 9개월이 되면 완전히 성장이 이루어져 몸무게는 평균 3.4kg, 키는 약 50cm정도가 된다.
임신 9개월이 되면 키는 더 이상 자라지 않으나, 출생 후 모체 밖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지방이 저장되며, 심장박동이 증가하고 신체 내 기관이 보다 활성화된다.
이러한 태내발달 기간 중 기형발생 요인이 있으면, 언제 이 요인이 태내에 영향을 주었느냐에 따라 그 시기에 생성되는 신체기관에 이상이 있게 된다. 기형발생 요인이 태내발달에 영향을 주는 시기와 신체부위를 나타낸 것이 아래의 그림이다.
<그림> 기형발생요인이 태내발달에 영향을 주는 시기
태아는 자궁 속의 환경에 국한되어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환경자극에도 반응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최근에 이루어진 한 연구에 의하면, 임신 말 6주 동안 임산부가 태아에게 같은 동화를 하루에 두 번씩 들려주었더니, 출생 후 신생아는 태내에서 들었던 동화에 다르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태아기에 들었던 동화를 들려 줄 때에는 신생아의 젖꼭지를 빠는 속도가 증가하였으나 들어 보지 못한 동화를 들려 줄 때는 변화가 없었다. 이는 태아의 청각이 출생 이전에 이미 발달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7개월이 되면서 태아는 키가 약 40cm, 몸무게는 약 1.4~2.3kg이 된다. 이제 태아는 울 수 있으며, 숨을 쉬고, 삼키고, 손가락을 발 수 있고 소화도 할 수 있다. 이제부터 태아는 모체 밖으로 나와도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8개월이 되면 태아는 2.3-3.2kg정도가 되며 출생 후에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피부에 지방이 발달한다. 9개월이 되면 완전히 성장이 이루어져 몸무게는 평균 3.4kg, 키는 약 50cm정도가 된다.
임신 9개월이 되면 키는 더 이상 자라지 않으나, 출생 후 모체 밖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지방이 저장되며, 심장박동이 증가하고 신체 내 기관이 보다 활성화된다.
이러한 태내발달 기간 중 기형발생 요인이 있으면, 언제 이 요인이 태내에 영향을 주었느냐에 따라 그 시기에 생성되는 신체기관에 이상이 있게 된다. 기형발생 요인이 태내발달에 영향을 주는 시기와 신체부위를 나타낸 것이 아래의 그림이다.
<그림> 기형발생요인이 태내발달에 영향을 주는 시기
태아는 자궁 속의 환경에 국한되어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환경자극에도 반응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최근에 이루어진 한 연구에 의하면, 임신 말 6주 동안 임산부가 태아에게 같은 동화를 하루에 두 번씩 들려주었더니, 출생 후 신생아는 태내에서 들었던 동화에 다르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태아기에 들었던 동화를 들려 줄 때에는 신생아의 젖꼭지를 빠는 속도가 증가하였으나 들어 보지 못한 동화를 들려 줄 때는 변화가 없었다. 이는 태아의 청각이 출생 이전에 이미 발달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태내기 발달단계
[영아발달] 태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태내발달단계(발아기, 배아기, 태아기), 유전(...
태내발달단계, 태내발달이상, 태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태내기 발달(태내발달단계, 태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태내환경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
[태내발달] 태내발달단계, 태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태내발달단계, 태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태내진단(태내검사)
[전 생애 발달단계] 인간발달단계 - 태내기 발달, 영아기 발달, 유아기 발달, 아동기 발달, ...
[태아의 성장과 발달] 태내발달단계
[태아기 발달] 태내발달단계, 태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유전요인, 환경요인), 태아기 ...
[태내기 발달] 태내발달단계, 임산부의 연령, 건강상태, 약물복용, 정서상태가 태아에게 미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