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가족치료의 주요 모델들
2) 사티어의 성장 모델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가족치료의 주요 모델들
2) 사티어의 성장 모델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각, 비유, 역할극, 재구성, 가족도표 등을 많이 사용하였다.
사티어가 주로 사용하였고, 가장 효과적이며 적용이 용이한 기법 가운데 재정의는 내담자나 가족의 세상에 대한 내면의 준거틀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치료적 전략으로 행동, 감정, 사고에 어떠한 긍정, 기존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 사고, 판단의 준거틀이 변화함으로써 사실이 변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의미와 가치판단이 변하게 되는 것이다. 가족치료기법으로써 재정의 기법은 감정, 행동, 생각에 영향을 주는 내면의 판단기준과 사고의 틀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부정적 측면을 보던 것에서 긍정적 측면을 보고,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함으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기법이다. 이 기법을 사용하여 나의 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료에 적용한다면, 나의 가족 구성원들이 각자 가지고 있는 부정적 측면과 그것을 바탕으로 사고하던 것들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여 가족 내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가족조각은 특정한 시기의 어려웠던 사건을 선정하고, 정서적인 가족관계를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신체적으로 상징화하기 위하여 사람이나 대상물들을 배열하는 것이다. 가족 구조 내에서 가지고 있는 위치를 배열하는 것이다. 각 가족 구성원들이 말없이 행위와 감정을 표현하는 몸짓과 공간적 관계를 나타내도록 함으로써 살아있는 초상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가족들이 이와 같은 경험을 하는 것은 가시적인 장면에서 생각을 정리하고 투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가족조각을 통해 나의 가족이 평상시에 서로가 서로를 어떻게 생각하고, 어떤 존재로 여기고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으며, 우리 가족 구성원이 희망하고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어떤 변화가 가능할지에 관하여 깨닫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결론
가족 형태의 다양화는 개인의 선택에 의해 초래된 것이라기보다 사회의 구조 및 가치관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였다. 산업화와 도시화, 저출산과 노인인구 증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활성화 등을 가족의 다양성에 영향을 준 사회적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다양한 가족의 문제에 개입해서 가족 구성원들과 증상을 가진 내담자로 하여금 인간 본질과 가족기능에 맞는 치료를 함으로 역기능적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출처 및 참고문헌
채수경. 「경험적 가족치료를 통한 역기능가정의 치료 V.Satir 성장 모델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사티어가 주로 사용하였고, 가장 효과적이며 적용이 용이한 기법 가운데 재정의는 내담자나 가족의 세상에 대한 내면의 준거틀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치료적 전략으로 행동, 감정, 사고에 어떠한 긍정, 기존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 사고, 판단의 준거틀이 변화함으로써 사실이 변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의미와 가치판단이 변하게 되는 것이다. 가족치료기법으로써 재정의 기법은 감정, 행동, 생각에 영향을 주는 내면의 판단기준과 사고의 틀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부정적 측면을 보던 것에서 긍정적 측면을 보고,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함으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기법이다. 이 기법을 사용하여 나의 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료에 적용한다면, 나의 가족 구성원들이 각자 가지고 있는 부정적 측면과 그것을 바탕으로 사고하던 것들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여 가족 내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가족조각은 특정한 시기의 어려웠던 사건을 선정하고, 정서적인 가족관계를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신체적으로 상징화하기 위하여 사람이나 대상물들을 배열하는 것이다. 가족 구조 내에서 가지고 있는 위치를 배열하는 것이다. 각 가족 구성원들이 말없이 행위와 감정을 표현하는 몸짓과 공간적 관계를 나타내도록 함으로써 살아있는 초상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가족들이 이와 같은 경험을 하는 것은 가시적인 장면에서 생각을 정리하고 투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가족조각을 통해 나의 가족이 평상시에 서로가 서로를 어떻게 생각하고, 어떤 존재로 여기고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으며, 우리 가족 구성원이 희망하고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어떤 변화가 가능할지에 관하여 깨닫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결론
가족 형태의 다양화는 개인의 선택에 의해 초래된 것이라기보다 사회의 구조 및 가치관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였다. 산업화와 도시화, 저출산과 노인인구 증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활성화 등을 가족의 다양성에 영향을 준 사회적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다양한 가족의 문제에 개입해서 가족 구성원들과 증상을 가진 내담자로 하여금 인간 본질과 가족기능에 맞는 치료를 함으로 역기능적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출처 및 참고문헌
채수경. 「경험적 가족치료를 통한 역기능가정의 치료 V.Satir 성장 모델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추천자료
[사회과학] 라디오 프로그램 모니터링-세상의 모든 음악, 김미숙입니다
[A+] 경영통제, Management control - 경영통제의 기초방법, 효율적 경영통제시스템, 계획과 ...
슈퍼스타K시즌4,슈퍼스타K4,슈퍼스타K마케팅전략,맞춤형서비스사례,서바이벌오디션프로그램,...
슈퍼스타K4,슈퍼스타마케팅전략,오디션프로그램,슈퍼스타시즌4,노래오디션.PPT자료
원전-르네상스시대의 대위기
닌텐도DS 마케팅전략분석과 닌텐도 기업분석 및 닌텐도DS 성공법칙 및 향후전략
닌텐도DS(Nintendo DS) 마케팅 4P,STP전략분석과 마케팅 성공전략분석 및 닌텐도DS의 성공법...
의료관광 - 한국의 의료관광은?.pptx
시민사회와 NGO - 멸종위기 동물, NGO 그리고 정부 (쓰촨 자이언트판다 보호 구역, 수원환경...
고용보험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