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사회의 개념
-사회의 규범을 지켜야 하는 이유
Ⅲ결론
Ⅳ참고문헌
Ⅱ본론
-사회의 개념
-사회의 규범을 지켜야 하는 이유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늦게 전학을 가서 아이들과 조금 서먹한 상태였는데 한 번 생일 파티를 하고 그날 같이 어울려 노는 과정에서 어색함 들이 많이 사라졌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처럼 사회에 존재하는 사회적 규범을 지키고 따르는 것만으로 사회 구성원들과의 관계를 보다 원만하고 친밀하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 한 가지 우리가 사회규범을 지켜야하는 중요한 이유는 사회적 규범을 지키기 않았을 때 찾아올 혼란, 질서의 파괴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말 단순하게 생각했을 때 타인을 살해하는 행위가 법적으로 제재되지 않았다고 생각해보자. 정말 사회 구성원 누구나 살인의 위협을 매일 느끼며 살아야 할 것이고 범죄율이 급격히 늘어나고 우리의 사회가 무법지대가 될 것이 불 보듯 뻔한 일이다. 내 생각에는 이 세상을 살아가는 누구도 다른 사람의 손에 의해 죽임을 당하고 싶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살인이 범법행위라는 사회적 규범은 모든 사람들이 저항할 수 없는 규범으로 성립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설사 누군가를 죽이고 싶은 마음이 들더라도 나는 누군가에게 죽고 싶지 않기 때문에 그러한 규범 자체에 반대를 할 수 없는 것이다.
살인이라는 극단적인 예시를 들기는 했지만 사회적 규범은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우리에게 질서를 부여하고 보다 안전한 삶을 살도록 도와준다고 생각한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나가는 사람을 먼저 내보내고 그 뒤에 탑승을 하는 하나의 습관적인 행동이 있다. 이 또한 하나의 사회적 규범에 해당하는데 어떻게 보면 매우 사소한 행동양식이다. 하지만 지키지 않았을 때 분명 탑승하는 승객과 하차하는 승객 사이에 충돌이 생길 것이고 사람이 많은 시간대에는 다치는 이들이 발생할 위험도 존재한다.
이렇듯 사회적 규범을 우리가 지키고 지켜야 하는 이유는 사회에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질서들을 유지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한다.
Ⅲ결론
본론에서 사회의 정의와 사회적 규범의 필요성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았다. 우리는 모두 사회 구성원으로써 살아간다. 어디 외딴 섬에 들어가 혼자 사는 것이 아니라면 아무리 사람을 만나지 않는 이들도 하나의 사회를 이루고 있을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건강하고 건전한 사회를 만들어나가고 존재하는 다양한 규범들을 이해하고 지켜나가야 한다. 그래야 지만이 그 사회에 속한 우리 역시 더욱 나은 삶을 추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Ⅳ참고문헌
믹스 베버, 사회학의 기초개념, 문예출판사, 2017
또 한 가지 우리가 사회규범을 지켜야하는 중요한 이유는 사회적 규범을 지키기 않았을 때 찾아올 혼란, 질서의 파괴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말 단순하게 생각했을 때 타인을 살해하는 행위가 법적으로 제재되지 않았다고 생각해보자. 정말 사회 구성원 누구나 살인의 위협을 매일 느끼며 살아야 할 것이고 범죄율이 급격히 늘어나고 우리의 사회가 무법지대가 될 것이 불 보듯 뻔한 일이다. 내 생각에는 이 세상을 살아가는 누구도 다른 사람의 손에 의해 죽임을 당하고 싶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살인이 범법행위라는 사회적 규범은 모든 사람들이 저항할 수 없는 규범으로 성립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설사 누군가를 죽이고 싶은 마음이 들더라도 나는 누군가에게 죽고 싶지 않기 때문에 그러한 규범 자체에 반대를 할 수 없는 것이다.
살인이라는 극단적인 예시를 들기는 했지만 사회적 규범은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우리에게 질서를 부여하고 보다 안전한 삶을 살도록 도와준다고 생각한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나가는 사람을 먼저 내보내고 그 뒤에 탑승을 하는 하나의 습관적인 행동이 있다. 이 또한 하나의 사회적 규범에 해당하는데 어떻게 보면 매우 사소한 행동양식이다. 하지만 지키지 않았을 때 분명 탑승하는 승객과 하차하는 승객 사이에 충돌이 생길 것이고 사람이 많은 시간대에는 다치는 이들이 발생할 위험도 존재한다.
이렇듯 사회적 규범을 우리가 지키고 지켜야 하는 이유는 사회에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질서들을 유지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한다.
Ⅲ결론
본론에서 사회의 정의와 사회적 규범의 필요성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았다. 우리는 모두 사회 구성원으로써 살아간다. 어디 외딴 섬에 들어가 혼자 사는 것이 아니라면 아무리 사람을 만나지 않는 이들도 하나의 사회를 이루고 있을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건강하고 건전한 사회를 만들어나가고 존재하는 다양한 규범들을 이해하고 지켜나가야 한다. 그래야 지만이 그 사회에 속한 우리 역시 더욱 나은 삶을 추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Ⅳ참고문헌
믹스 베버, 사회학의 기초개념, 문예출판사, 2017
추천자료
[인간과 사회 B형] 사회학에서 이야기하는 “사회”의 개념은 무엇인지 적고, 그 사회의 구성원...
인간과사회B형 ) 사회학에서 이야기하는 “사회”의 개념은 무엇인지 적고 그 사회의 구성원으...
인간과사회B형 ) 사회학에서 이야기하는 “사회”의 개념은 무엇인지 적고 그 사회의 구성원으...
인간과사회B형 ) 사회학에서 이야기하는 “사회”의 개념은 무엇인지 적고 그 사회의 구성원으...
인간과사회B형 2018 사회학에서 이야기하는“사회”의 개념은 무엇인지 적고 그 사회의 구성원...
[인간과 사회 B형] 사회학에서 이야기하는 “사회”의 개념은 무엇인지 적고 그 사회의 구성원...
인간과 사회)사회학에서 이야기하는 “사회”의 개념은 무엇인지 적고 그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
인간과사회 =) 사회학에서 이야기하는 “사회”의 개념은 무엇인지 적고 그 사회의 구성원으로...
인간과사회 B형 =) 사회학에서 이야기하는 “사회”의 개념은 무엇인지 적고 그 사회의 구성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