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2018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취마와 예술] (서평) 정준영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책세상 2003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2018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취마와 예술] (서평) 정준영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책세상 2003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책의 개요
1. 대중들이 스포츠에 열광하는 이유
2. 스포츠는 다양한 의미들로 채워져 있다.
Ⅱ. 책의 내용에 대한 평가
1. 돈과 직결되는 스포츠
2. 스포츠와 이데올로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고 있는 스포츠의 공정성에 대한 문제 제기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바이다.
3) 스포츠 이데올로기 : 자발성
일반적으로 스포츠는 자발적인 활동으로 인식된다. 스포츠에 참여함으로써 인간은 통제된 본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그렇다면 프로 스포츠인들은 모두 개인의 자발적 선택에 의해 스포츠인이 된 것일까? 실제로 하층민들일수록 출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스포츠인 경우가 많다. 이들은 성공을 위해 스포츠라는 길을 선택하며, 그 중 극히 일부만 성공적인 스포츠인으로 거듭날 수 있다. 그리고 치열한 경쟁에서 낙오한 대다수는 다시금 하층 계급에서 쓸쓸한 삶을 살아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그렇다면 프로 스포츠인을 제외하고 스포츠 활동에 임하는 대중들은 모두 자발적 활동의 일환으로 운동을 하고 있는 것일까? 이는 사회문화적 분위기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몸매 기준이 존재하는 사회에서 사람들은 해당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강제적으로 스포츠에 임하곤 한다. 예를 들어, 날씬한 몸매가 미의 기준이 되는 사회에서 많은 이들은 해당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비자발적으로 스포츠에 참여하기도 한다. 물론 대다수의 사람들은 자발적으로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스포츠에서 자발성이라는 가치가 완전히 훼손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갈수록 스포츠가 개인의 자발적인 선택이 아닌 사회적으로 존재하는 묵시적 강요에 의한 활동이 된다면 언젠가는 자발성이라는 가치조차 잃어버릴 가능성이 높다.
Ⅲ. 결론
지금까지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에서 언급되는 내용과 그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정리해봤다. 책을 통해 나는 그동안 인식하지 못했던 스포츠 이면에 숨겨진 이데올로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사회에서 스포츠가 돈, 정치, 헤게모니, 성, 저항 등의 가치와 결부할수록 스포츠는 본연의 가치인 순수성과 공정성을 잃을 가능성이 높다. 스포츠 본연의 가치가 훼손되고 있는 실제 사례들을 살펴보면서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그렇다면 앞으로 스포츠는 어떠한 변화가 필요할까? 이러한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회구성원의 대다수가 책에서 언급되고 있는 문제의식을 공유해야 할 것이다. 언젠가 스포츠가 다시금 순수성, 공정성, 자발성이라는 본연의 가치를 지키는 활동이 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 정준영,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책세상, 2003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5.17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94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