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의 정의
2. 우리나라 아동을 바라보는 흐름의 변화
1) 전통사회에서의 아동
2) 현대사회의 아동
3. 문화적 관점에서 미래의 아동상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아동의 정의
2. 우리나라 아동을 바라보는 흐름의 변화
1) 전통사회에서의 아동
2) 현대사회의 아동
3. 문화적 관점에서 미래의 아동상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될 것이다. 아동기가 예전보다는 더 나은 방향으로, 성인과 아동이 함께 성장하고 발전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제도적으로 확립되어 갈 때 우리 사회는 한층 진보와 번영의 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아동기에 대해 우리 사회는 무엇인가를 채워 주거나 채워가야 하며, 우리는 이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할 것이다.
4. 나의 의견
오늘날의 사회를 돌아보면, 누구나 경쟁 속의 성공과 영광을 얘기하며 아동은 학교에서는 많은 교과목을 배워야 하고, 시간표는 가득 차 있으며 방과 후에도 피아노, 컴퓨터, 테니스 등 다른 것을 또 배워야 하고 주말이나 방학에는 또 다른 학습을 해야 한다. 이것이 과연 근심 걱정이 없는 아동기라 할 수 있을까?아동이 하는 일에 있어 잘 해내야 한다는 압박감들은 증가하고 있다. 부모들은 자신의 자녀들이 하는 모든 일에서 최고가 되도록 압력을 준다. 종종 아동의 능력을 벗어나는 성과를 요구하기도 한다. 이는 처음에는 매우 효과적일지 모르나 종국에는 아동이 폭발하도록 이끌지 모른다. 모든 것을 척척 해내는 엘리트라는 것은 사실 불필요한 짐과 같은 것이고 결국 진실로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오지도 않는다. 그럼에도, 부모들의 관점은 여전히 아동은 아동기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부모는 지금의 아동기에 대해 우려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지금의 아동들이 기본적인 생존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고 아동이 먹는 음식이나 입는 옷 등에 있어 물질적 풍요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아동은 그렇게 제공되는 것들에 고마움을 느끼지는 않는다. 때문에, 총체적교육(holisticeducation)과 삶의 형성기로서의 아동기의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고, 부모들은 점진적으로 아동의 자율성을 더 많이 부여하고 자신의 속도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여전히 아동기라고 불릴만한 진실한 것들은 남아있다고 생각한다. 아동기를 이루는 가장 근본적인 요소로서의 순수함과 근심걱정 없는 것은 오늘의 아동에게도 주요 영역이어야 한다. 따라서 점증하는 스트레스에도 불구하고, 아동은 자기 성장의 시간을 지닐 수 있어야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우리나라 아동을 바라보는 흐름의 변화를 기술하고 문화적 관점에서 미래의 아동상을 제시해 보았다. 한국 사회의 아동기 발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외국의 아동기 연구에 비해 국내의 연구는 아직은 활발하지 못하고 관련한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의 역사 속에서 아동기의 모습은 어떠했는지, 근대적 아동기 개념은 어떤 계기로 출현하였고 확장되어갔는지, 한국적 아동기는 어떻게 이해되고 방향을 잡을 때 밝은 미래사회를 담보해 갈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김춘경, 『아동학 개론』, 학지사, 2010.
노명희 외 , 『아동복지론』, 정민사, 2014.
장화정, 『아동권리 인식도 조사』,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6.
민진홍, 『아동인권 관련 국제조약이 국내 아동복지제도에 미친 영향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논문, 2011.
4. 나의 의견
오늘날의 사회를 돌아보면, 누구나 경쟁 속의 성공과 영광을 얘기하며 아동은 학교에서는 많은 교과목을 배워야 하고, 시간표는 가득 차 있으며 방과 후에도 피아노, 컴퓨터, 테니스 등 다른 것을 또 배워야 하고 주말이나 방학에는 또 다른 학습을 해야 한다. 이것이 과연 근심 걱정이 없는 아동기라 할 수 있을까?아동이 하는 일에 있어 잘 해내야 한다는 압박감들은 증가하고 있다. 부모들은 자신의 자녀들이 하는 모든 일에서 최고가 되도록 압력을 준다. 종종 아동의 능력을 벗어나는 성과를 요구하기도 한다. 이는 처음에는 매우 효과적일지 모르나 종국에는 아동이 폭발하도록 이끌지 모른다. 모든 것을 척척 해내는 엘리트라는 것은 사실 불필요한 짐과 같은 것이고 결국 진실로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오지도 않는다. 그럼에도, 부모들의 관점은 여전히 아동은 아동기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부모는 지금의 아동기에 대해 우려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지금의 아동들이 기본적인 생존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고 아동이 먹는 음식이나 입는 옷 등에 있어 물질적 풍요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아동은 그렇게 제공되는 것들에 고마움을 느끼지는 않는다. 때문에, 총체적교육(holisticeducation)과 삶의 형성기로서의 아동기의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고, 부모들은 점진적으로 아동의 자율성을 더 많이 부여하고 자신의 속도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여전히 아동기라고 불릴만한 진실한 것들은 남아있다고 생각한다. 아동기를 이루는 가장 근본적인 요소로서의 순수함과 근심걱정 없는 것은 오늘의 아동에게도 주요 영역이어야 한다. 따라서 점증하는 스트레스에도 불구하고, 아동은 자기 성장의 시간을 지닐 수 있어야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우리나라 아동을 바라보는 흐름의 변화를 기술하고 문화적 관점에서 미래의 아동상을 제시해 보았다. 한국 사회의 아동기 발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외국의 아동기 연구에 비해 국내의 연구는 아직은 활발하지 못하고 관련한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의 역사 속에서 아동기의 모습은 어떠했는지, 근대적 아동기 개념은 어떤 계기로 출현하였고 확장되어갔는지, 한국적 아동기는 어떻게 이해되고 방향을 잡을 때 밝은 미래사회를 담보해 갈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김춘경, 『아동학 개론』, 학지사, 2010.
노명희 외 , 『아동복지론』, 정민사, 2014.
장화정, 『아동권리 인식도 조사』,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6.
민진홍, 『아동인권 관련 국제조약이 국내 아동복지제도에 미친 영향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논문, 201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