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인지 발달의 이론
I. 인지발달이론
II. 사회학습이론
III. 귀인이론
* 참고문헌
I. 인지발달이론
II. 사회학습이론
III. 귀인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의 반응이 낮은 합의성(다른 사람은 랩 음악에 열광하지 않으며), 낮은 독특성(그가 다른 음악에도늘 열광하며), 높은 일관성(그가 이전에도 랩 음악에 열광했다면)을 나타낸 경우에는 그 자극(랩 음악)에 대한 그의 반응(열광)은 그의 성향 탓이라고 귀인된다. 반면 높은 합의성(다른 사람들도 열광하며), 높은 독특성 (그가 다른 음악에는 열광하지 않으며), 높은 일관성 (그가 이전에도 랩 음악에 열광했으면)의 경우에는 그의 반응은 그 자극(랩 음악) 탓이라고 귀인된다. 또 낮은 합의성 (다른 사람은 랩 음악에 열광하지 않으며), 높은 독특성 (그가 다른 음악에는 열광하지 않으며), 낮은 일관성 (그가 이전에는 랩 음악에 열광하지 않았으면)의 경우는 그의 반응이 특정한 상황(랩 음악회 구경 중) 탓이라고 귀인된다.
Kelley(1973)는 사람들이 행동 원인을 추론하는 데 있어서 합의성, 독특성, 일관성의 세 가지 정보가 불충분할 때는 사람들이 중다충분도식 (multiple Sufficient causes)과 중다필요도식(multiple necessary causes)과 같은 인과도식을 사용한다고 하였다. 중다충분도식이란 어떤 행동이 일어나기에 충분한 원인이 두 가지 이상 있는 것을 말한다. 중다충분도식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는 삭감원리(discounting principle)와 증가원리(additive principle)가 사용된다. 삭감원리란 어떤 행동을 일으킬만한 충분한 내적 원인이 있는데 또 다른 외적 원인이 더해지면 원래 주어진 내적 원인의 역할이 감소된다는 원리를 말한다. 예를 들면 공부를 하려고 하는데 어머니가 공부하라고 시키면 공부하기가 싫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조작기 아동은 인과귀인을 할 때 삭감원리를 사용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유치원 아동들은 스스로 장난감을 치우려고 하는데 엄마가 장난감을 치우라고 시키면 스스로 장난감을 치우려고 하던 내적 동기가 줄어든다고 생각하지 못하고 오히려 더 치우고 싶어진다고 생각하는 증가오류(augmentation error)를 범한다는 것이다.
증가원리는 회생이나 제재, 위험, 손실을 무릅쓰고 어떤 행동이 일어났을 때 그 행동의 내적 동기가 더 강하게 추론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매 외적인 압력은 내적 동기가 더 강력하게 작용했다는 인상을 고조시킨다.
중다필요도식은 어떤 행동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둘 이상의 원인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으로 따라서 한 행동이 일어나면 둘 이상의 원인이 추정된다.
Jones와 Davis(1965)의 일치성 추론 이론은 한 사람의 행동 선택에 의해서 그 사람의 성향을 추론하는 것인데 그 사람의 행위와 그 사람의 성향을 추론한 것 간의 일치성의 정도를 고려한다. 이때 한 사람이 자신이 선택한 행동으로 인해 얻게 되는 결과가 그 사회 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질수록 그 선택된
행동과 추론된 그 사람의 성향 간에 일치성이 높은 것으로 본다. 예를 들어 전재산의 반을 기부한 사람이 만원을 기부한 사람보다 자선심이 있는 것으로 추론되는데 앞 사람의 행동은 보통 사람들이 바람직하지 않게 여기는 효과(예 : 가난해지는 것)를 가져 오기 때문에 자선 행동과 그 사람의 성향은 일치한다고 추론된다.
Weiner(1974)의 성패귀인 모델에서는 어떤 사람이 어떤 한 과제 및 그와 유사한 과제에서 일관성 있게 성공할 때 그것은 그 사람의 능력으로 귀인되며, 과제의 난해함에 귀인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 그 과제에 얼마나 잘 했는가 하는 정보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어느 한 과제에서 다른 사람들이 모두 실패했을 경우 어떤 사람이 그 과제에서 실패하면 그 실패는 과제의 난해함에 귀인된다. 행운에 귀인하는 것은 성패의 패턴에 일관성이 없고 신체적인 분발에 따라 수행이 달라질 때, 노력이 인과적인 요인으로 밝혀질 경우이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Kelley(1973)는 사람들이 행동 원인을 추론하는 데 있어서 합의성, 독특성, 일관성의 세 가지 정보가 불충분할 때는 사람들이 중다충분도식 (multiple Sufficient causes)과 중다필요도식(multiple necessary causes)과 같은 인과도식을 사용한다고 하였다. 중다충분도식이란 어떤 행동이 일어나기에 충분한 원인이 두 가지 이상 있는 것을 말한다. 중다충분도식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는 삭감원리(discounting principle)와 증가원리(additive principle)가 사용된다. 삭감원리란 어떤 행동을 일으킬만한 충분한 내적 원인이 있는데 또 다른 외적 원인이 더해지면 원래 주어진 내적 원인의 역할이 감소된다는 원리를 말한다. 예를 들면 공부를 하려고 하는데 어머니가 공부하라고 시키면 공부하기가 싫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조작기 아동은 인과귀인을 할 때 삭감원리를 사용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유치원 아동들은 스스로 장난감을 치우려고 하는데 엄마가 장난감을 치우라고 시키면 스스로 장난감을 치우려고 하던 내적 동기가 줄어든다고 생각하지 못하고 오히려 더 치우고 싶어진다고 생각하는 증가오류(augmentation error)를 범한다는 것이다.
증가원리는 회생이나 제재, 위험, 손실을 무릅쓰고 어떤 행동이 일어났을 때 그 행동의 내적 동기가 더 강하게 추론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매 외적인 압력은 내적 동기가 더 강력하게 작용했다는 인상을 고조시킨다.
중다필요도식은 어떤 행동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둘 이상의 원인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으로 따라서 한 행동이 일어나면 둘 이상의 원인이 추정된다.
Jones와 Davis(1965)의 일치성 추론 이론은 한 사람의 행동 선택에 의해서 그 사람의 성향을 추론하는 것인데 그 사람의 행위와 그 사람의 성향을 추론한 것 간의 일치성의 정도를 고려한다. 이때 한 사람이 자신이 선택한 행동으로 인해 얻게 되는 결과가 그 사회 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질수록 그 선택된
행동과 추론된 그 사람의 성향 간에 일치성이 높은 것으로 본다. 예를 들어 전재산의 반을 기부한 사람이 만원을 기부한 사람보다 자선심이 있는 것으로 추론되는데 앞 사람의 행동은 보통 사람들이 바람직하지 않게 여기는 효과(예 : 가난해지는 것)를 가져 오기 때문에 자선 행동과 그 사람의 성향은 일치한다고 추론된다.
Weiner(1974)의 성패귀인 모델에서는 어떤 사람이 어떤 한 과제 및 그와 유사한 과제에서 일관성 있게 성공할 때 그것은 그 사람의 능력으로 귀인되며, 과제의 난해함에 귀인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 그 과제에 얼마나 잘 했는가 하는 정보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어느 한 과제에서 다른 사람들이 모두 실패했을 경우 어떤 사람이 그 과제에서 실패하면 그 실패는 과제의 난해함에 귀인된다. 행운에 귀인하는 것은 성패의 패턴에 일관성이 없고 신체적인 분발에 따라 수행이 달라질 때, 노력이 인과적인 요인으로 밝혀질 경우이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전제,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자아정체감, 에릭슨 심리사...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자아정체감 정의와 자아정체감 필요성,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슨)의 이론적 배경,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슨)과 자아정체감, 심리...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슨) 배경,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슨) 성격,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
에릭슨의 생애,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기본가정,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특성, ...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슨)의 자아정체감 개념과 자아정체감 발달,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기본전제와 특성,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자아정체감과 ...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 특징,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 발달,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
청소년기 발달이론 중 정신분석이론과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을 각각 간략히 설명하고 비교하여...
[사회복지 정책론]사회복지정책 발달이론에 대해 정리하고 각 이론의 장, 단점을 비교 설명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