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I. 감각운동기(0~2세)
1. 제1단계 : 반사운동기(출생~1개월)
2. 제2단계 : 제1차 순환반응기(1~4개월)
3. 제3단계 : 제2차 순환반응기(4~8개월)
4. 제4단계 : 제2차 순환반응의 협응기(8~12개월)
5. 제5단계 : 제3차 순환반응기(12~18개월)
6. 제6단계 : 심적 표상기(18~24개월)

II. 전조작기(2~7세)

III. 구체적 조작기(7~11, 12세)

IV. 형식적 조작기(12세 이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체나 감각을 대신해서 이미지나 언어를 사용하여 생각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이 시기는 특정의 사물을 다른 사물(물건, 이미지, 언어 등)로 바꾸어 표현하는 상징 기능의 발달로 소꿉놀이나 가게 놀이 등의 상징놀이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어머니 흉내를 내기도 하고 나뭇잎이 반찬으로, 작은 돌을 밥으로 생각하며 놀기도 한다.
이 시기에서 볼 수 있는 또 하나의 특징은 직관적 사고이다. 그래서 어떤 시각자극이 제시되면 그 자극의 한 부분만을 주목하여 그것을 그 자극의 본질인 것으로 착각하는 현상을 보이기도 하고, 모든 것을 자신의 관점에서 외재(外界)를 인지하는 자기중심적 사고를 보이기도 하다.
III. 구체적 조작기 (7-11, 12세)
이 시기의 특징은 크게 2가지이다. 하나는 전조작기에서 보였던 직관적 사고로부터의 탈피이다. 직관적 사고의 탈피라고 하는 것은 자기중심적 사고의 탈피와 사물은 형태가 바뀌어도 그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 즉 보존 개념의 획득을 의미한다.
보존 개념의 획득은 곧 가역성의 개념(원래대로 하면 이전과 동일하게 된다)과 상보성의 개념(물의 수면이 올라갔지만 이전보다 컵의 폭이 좁아졌다), 동일성의 개념(더 넣거나 빼거나 하지 않았기 때문에 같다)의 획득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 하나의 특징은 이 시기부터 인과 관계의 개념 획득으로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이해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이전의 단계에서는 물 컵에 돌을 넣으면 돌이 무겁기 때문에 수면이 올라간다고 생각하지만, 이 단계에 들어서면 돌이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에 수면이 올라간다고 정확한 대답을 하게 된다.
IV. 형식적 조작기 (12세 이후)
이 시기에 들어서면 가설 연역적 사고가 가능하게 되면서 사물이나 상황을 직접 보거나 듣거나 접촉하지 않아도 머릿속으로 과제를 생각하면서 가설을 세워 논리적으로 문제를 풀어 나간다. 예를 들어 '강물이 언덕 위로 올라온다고 생각해보자.
그러면 우리 마을이 어떻게 될까? '라고 생각하면서 현실적으로 있을 수 있는 이런 저런 상상을 하게 된다.
또한 이 시기부터는 고도의 논리적인 사고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A는 B보다 키가 크다. 그러나 A는 C보다 키가 작다. '는 사실을 알게 되면 B와 C의 관계에 대한 언급이 없어도 'B는 C보다 키가 작다. '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는 능력, 소위 'transitivity'의 사고력을 갖추게 된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5.26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02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