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격이론
I. Hippocrates의 성격이론
II. Kant의 유형이론
III. Sheldon의 성격이론
IV. Kretschmer의 성격이론
V. Jung의 성격이론
VI. Dilthey의 성격이론
VII. Eysenk의 성격이론
VIII. Spranger의 성격이론
IX. Landsteiner의 성격이론
X. Adler의 성격이론
XI. James의 성격이론
XII. Guilford의 성격이론
XIII. Froom의 성격이론
XIV. Freud의 성격이론
* 참고문헌
I. Hippocrates의 성격이론
II. Kant의 유형이론
III. Sheldon의 성격이론
IV. Kretschmer의 성격이론
V. Jung의 성격이론
VI. Dilthey의 성격이론
VII. Eysenk의 성격이론
VIII. Spranger의 성격이론
IX. Landsteiner의 성격이론
X. Adler의 성격이론
XI. James의 성격이론
XII. Guilford의 성격이론
XIII. Froom의 성격이론
XIV. Freud의 성격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실을 중요시한다. 그리고 감각적 유물론적 비관적 비종교적 결정론적 다원론적 회의적인 성격을 가진다.
XII. Guilford의 성격 이론
Guilford는 성격이란 특성으로 한 개인이 다른 사람과 어떤 면을 구별할 수 있고 비교적 지속적인 행동이라 주장하였다. 그리고 성격을 분류하여 자극으로서의 정의, 종합적 정의, 통합적 정의, 전체성을 강조한 정의, 적응적 정의 등의 다섯 가지로 나누었다. 그는 특성을 정의하여 특성을 한 개인이 다른 사람과 다른 어떤 면을 구별할 수 있고, 비교적 지속적 행동이다. 또한 성격 구성은 태도, 흥미, 욕구와 같은 동기적 특성(Motivational traits), 신체적 조직(Morphology)및 신체 생리(Physiology)와 같은 신체적 특성, 능력에 관련되는 적성 그리고 보다 유전적인 특성인 기질 등이 인격을 구성한다고 보았다.
XIII. Froom의 성격 이론
Froom은 성격을 정신 작용면에 기초를 두고 생활의 장면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아 다음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로 저축 경향(Hoarding orientation)이다. 저축 경향이란 인간이 자기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절약하고 저축하며 소비를 하지 않는 성격으로 강박적인 청결, 완고성, 강직성, 질서가 있고 정연한 성품을 말한다. 둘째로 수용 경향이다. 수용 경향(Receptive orientation)은 의뢰심이 강하여 다른 사람의 원조를 강하게 기대하고 요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성격이 낙천적이고 우호적이지만 자기가 의지하고 있는 집단이나 권위로부터 거절을 받을 때에는 심히 불안하고 안정성이 없다. 이러한 특성은 봉건 사회나 종속적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 많다. 그리고 부모가 자식을 너무 지나치게 사랑할 때에는 이러한 성격이 나타나게 된다. 셋째로 착취 경향(Exploitative orientation)이다.
착취 경향은 일반적으로 남의 것이라면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소유물과 가치를 뺏는 데서 만족을 느낀다. 예를 들어 한 여성을 사랑해도 질투심으로 그 여자를 사랑하는 경향의 성격이다. 이 형의 인생관은 회의, 냉소, 질투, 잔혹한 것이 특색이다. 넷째로 생산 경향이다.
생산 경향(Productive orientation)은 바람직한 성격으로써 자기능력과 가능성에 자신감을 가지고 실현하는 사람이다. 이 성격의 소유자는 자기의 생에 충실하며 이를 발전시키고 사회발전을 위해서 노력한다. 다섯째로 시장 경향이다. 시장 경향(Marketing orientation)은 현대 사회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으며 마치 상품의 포장을 상품의 내용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것처럼 인간의 본성보다 표면적인 것을 중요시하는 경향이다. 그 특성은 자신을 타인이 요구하는 어느 경향이라도 적응시켜 나갈 수 있는 성격이다. 그러므로 성격이 뚜렷하지 못하고 때때로 환경의 변화에 따른 행동을 하므로 이중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XIV. Freud의 성격 이론
Freud는 정신 분석학적 입장에서 인간의 성적 만족의 근원적 수단에 따라서 유아기의 성적 발달의 4단계인 구강기(Oral stage, 0~1세), 항문기(Anal stage, 2-3세), 남근기(Phallic stage, 4~7세), 생식기(Genital stage)로 나누었다. 이는 리비도(Libido)를 중심으로 발달의 특징을 분류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구강기의 특성은 입에서 얻는 쾌락이 주가 되어 먹는 것으로 그에 따라 성격 특성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항문기는 음식물이 소화된 후에 직장 말단에 잔여물이 쌓이게 되고 항문 활약근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반사적으로 이를 배출한다. 이 압력의 조정에 따라 성격 특성이 나타나는 것이다. 남근기는 성기의 기능과 관련하여 성적인 감정과 공격적인 감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수음과 환상의 쾌락과 자가 발정적 활동을 수반하는 어린이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를 나타내어 근친 상간적 욕망의 현상을 가져서 성격 특성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생식기에는 전생식기의 애정 추구는 자기의 성격 내부에서 자애적 행동으로 충족시킨다. 즉 사춘기 이후에 있어서 성격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Freud는 의식 구조적인 입장에서 원본능(Id), 자아(Ego), 초자아(Super ego)로 나누어 성격 이론을 전개하였다. \"그 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원본능은 내적 자극과 외적 자극에 의하여 일어나는 흥분 또는 긴장을 즉각적으로 발산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쾌락 원칙(Pleasure principle)의 지배를 받고 정신력의 근원으로서 활동하여 자아를 지배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로 자아는 원본능이 원하는 대로 행하는 기능을 가지나 쾌락 원칙이 아닌 현실 원칙(Reality principle)의 지배를 받고 있다.
이 현실 원칙이 성격의 근본적 기능을 가져서 현실을 이해하고 판단력을 갖게 하고 지각, 기억, 사고, 행동 등의 과정을 규정한다는 것이다. 셋째로 초자아는 현실적이 아니라 이상적이며 가치 추구의 기능으로 도덕적 양심의 역할로서 인간 행동을 지배하여 자아를 조정하고 원본능을 누르는 일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원본능과 자아 그리고 초자아가 조화를 이루고 있을 때 원만한 성격을 가져서 사회 적응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이상심리학 - V. Mark Durand, David H. Barlow 저 / 정경미 외 5명 역 / 사회평론아카데미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지심리학 / 하코다 유지, 츠즈키 타카시 외 2명 저 / 한국뇌기반교육연구소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XII. Guilford의 성격 이론
Guilford는 성격이란 특성으로 한 개인이 다른 사람과 어떤 면을 구별할 수 있고 비교적 지속적인 행동이라 주장하였다. 그리고 성격을 분류하여 자극으로서의 정의, 종합적 정의, 통합적 정의, 전체성을 강조한 정의, 적응적 정의 등의 다섯 가지로 나누었다. 그는 특성을 정의하여 특성을 한 개인이 다른 사람과 다른 어떤 면을 구별할 수 있고, 비교적 지속적 행동이다. 또한 성격 구성은 태도, 흥미, 욕구와 같은 동기적 특성(Motivational traits), 신체적 조직(Morphology)및 신체 생리(Physiology)와 같은 신체적 특성, 능력에 관련되는 적성 그리고 보다 유전적인 특성인 기질 등이 인격을 구성한다고 보았다.
XIII. Froom의 성격 이론
Froom은 성격을 정신 작용면에 기초를 두고 생활의 장면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아 다음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로 저축 경향(Hoarding orientation)이다. 저축 경향이란 인간이 자기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절약하고 저축하며 소비를 하지 않는 성격으로 강박적인 청결, 완고성, 강직성, 질서가 있고 정연한 성품을 말한다. 둘째로 수용 경향이다. 수용 경향(Receptive orientation)은 의뢰심이 강하여 다른 사람의 원조를 강하게 기대하고 요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성격이 낙천적이고 우호적이지만 자기가 의지하고 있는 집단이나 권위로부터 거절을 받을 때에는 심히 불안하고 안정성이 없다. 이러한 특성은 봉건 사회나 종속적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 많다. 그리고 부모가 자식을 너무 지나치게 사랑할 때에는 이러한 성격이 나타나게 된다. 셋째로 착취 경향(Exploitative orientation)이다.
착취 경향은 일반적으로 남의 것이라면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소유물과 가치를 뺏는 데서 만족을 느낀다. 예를 들어 한 여성을 사랑해도 질투심으로 그 여자를 사랑하는 경향의 성격이다. 이 형의 인생관은 회의, 냉소, 질투, 잔혹한 것이 특색이다. 넷째로 생산 경향이다.
생산 경향(Productive orientation)은 바람직한 성격으로써 자기능력과 가능성에 자신감을 가지고 실현하는 사람이다. 이 성격의 소유자는 자기의 생에 충실하며 이를 발전시키고 사회발전을 위해서 노력한다. 다섯째로 시장 경향이다. 시장 경향(Marketing orientation)은 현대 사회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으며 마치 상품의 포장을 상품의 내용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것처럼 인간의 본성보다 표면적인 것을 중요시하는 경향이다. 그 특성은 자신을 타인이 요구하는 어느 경향이라도 적응시켜 나갈 수 있는 성격이다. 그러므로 성격이 뚜렷하지 못하고 때때로 환경의 변화에 따른 행동을 하므로 이중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XIV. Freud의 성격 이론
Freud는 정신 분석학적 입장에서 인간의 성적 만족의 근원적 수단에 따라서 유아기의 성적 발달의 4단계인 구강기(Oral stage, 0~1세), 항문기(Anal stage, 2-3세), 남근기(Phallic stage, 4~7세), 생식기(Genital stage)로 나누었다. 이는 리비도(Libido)를 중심으로 발달의 특징을 분류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구강기의 특성은 입에서 얻는 쾌락이 주가 되어 먹는 것으로 그에 따라 성격 특성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항문기는 음식물이 소화된 후에 직장 말단에 잔여물이 쌓이게 되고 항문 활약근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반사적으로 이를 배출한다. 이 압력의 조정에 따라 성격 특성이 나타나는 것이다. 남근기는 성기의 기능과 관련하여 성적인 감정과 공격적인 감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수음과 환상의 쾌락과 자가 발정적 활동을 수반하는 어린이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를 나타내어 근친 상간적 욕망의 현상을 가져서 성격 특성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생식기에는 전생식기의 애정 추구는 자기의 성격 내부에서 자애적 행동으로 충족시킨다. 즉 사춘기 이후에 있어서 성격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Freud는 의식 구조적인 입장에서 원본능(Id), 자아(Ego), 초자아(Super ego)로 나누어 성격 이론을 전개하였다. \"그 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원본능은 내적 자극과 외적 자극에 의하여 일어나는 흥분 또는 긴장을 즉각적으로 발산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쾌락 원칙(Pleasure principle)의 지배를 받고 정신력의 근원으로서 활동하여 자아를 지배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로 자아는 원본능이 원하는 대로 행하는 기능을 가지나 쾌락 원칙이 아닌 현실 원칙(Reality principle)의 지배를 받고 있다.
이 현실 원칙이 성격의 근본적 기능을 가져서 현실을 이해하고 판단력을 갖게 하고 지각, 기억, 사고, 행동 등의 과정을 규정한다는 것이다. 셋째로 초자아는 현실적이 아니라 이상적이며 가치 추구의 기능으로 도덕적 양심의 역할로서 인간 행동을 지배하여 자아를 조정하고 원본능을 누르는 일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원본능과 자아 그리고 초자아가 조화를 이루고 있을 때 원만한 성격을 가져서 사회 적응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이상심리학 - V. Mark Durand, David H. Barlow 저 / 정경미 외 5명 역 / 사회평론아카데미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지심리학 / 하코다 유지, 츠즈키 타카시 외 2명 저 / 한국뇌기반교육연구소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프로이드][프로이트][정신분석이론][Freud][성격발달이론][프로이드이론][정신분석][성격발...
[성격심리학] 성격이론 분석 및 사례적용 레포트 (2012년 추천 우수)
정신분석이론의 성격발달 단계와 관련하여 본인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어린시절의 성...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성격심리학 이론 - 피아제,...
정신건강1공통) 성격이론 3가지를 비교하여 설명, 성격측정 검사 3가지에 대해 설명하시오 - ...
[정신건강공통]성격이론 3가지를 비교하여 설명하고 성격측정 검사 3가지에 대해 설명하시오-...
정신분석 상담이론의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성격이론의 차이점과 교육적 시사점을 설명 [상담]
심리학입문)1) 성격 이론을 하나 이상 인용하고, 2) 그 이론을 뒷받침하는 과학적 연구결과를...
2018년 교육심리학] 1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 설명+콜버그 도덕성발달단계이론 교육적...
상담심리학)정신분석 상담이론의 Freud와 Erikson의 성격이론의 차이점과 교육적 시사점을 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