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사 ) 독일 표현주의 영화에 대해 논하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사 ) 독일 표현주의 영화에 대해 논하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표현주의의 특징
2) 독일 표현주의 영화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또한 그가 시청 서기로 근무하지 않았다는 사실, 그리고 슈바베 이모에게 돈을 빌렸다는 사실을 알고 의욕을 상실하고 몸져눕는다. 은행출납계원과 로렌츠는 본인의 자아 내부와 허상이 대립하면서 주체의 정상적인 가족의 삶에 침투하여 분열과 해체의 주범이 된다.
신체적 특이성을 지니는 비인격체의 예로 <골렘>을 살펴보면 골렘은 인간의 몸과 유사하지만 진흙으로 만들어진 진흙인간이며 말을 하지 못한다. 그는 물 떠다 나르기, 청소 등 게토 마을의 일꾼으로서 임무를 충실히 하고 왕실의 무너지는 벽을 받들어 사람들을 구했다. 그에게는 이러한 수동적이면서 한편으로 자의적인 노력이 있었으나 그는 결과적으로 플로리안을 죽이고 자신의 창조주의 딸인 미리암을 납치하여 게토 전체에 불을 질러 난동을 피운다. 결국 그는 인격체 집단에 적응하지 못하는 이질적인 존재로 게토와 성 전체의 인물들에게 공포감을 주고 마을을 파괴하는 존재이다.
여성 기계인간이 등장하는 <메트로폴리스>의 경우 마리아가 인간 또는 기계인간으로 두 개의 정체성을 지닌다. 그녀는 지상세계의 부르주아의 삶을 살고 있는 프레더의 삶에 침범하여 아무것도 모르는 그에게 지하세계를 체험하게 함으로써 아버지인 프레더젠과의 갈등을 유발시킨다. 또한 지하세계에서 열심히 일하던 노동자들을 교란시킨다. 그리고 과학자인 로트방에게는 그가 사랑했던 여인인 죽은 헬의 모습을 닮았다는 이유로 기계마리아를 만드는 계기를 제공한다. 마리아는 지하세계의 노동자들과 지상세계의 모든 사람들의 평범한 삶을 통째로 흔드는 주역이다. 김진. 「표현주의 영화의 이원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4. 참고
결론
표현주의자들은 표현주의 영화의 카니발적인 인물에 자신 혹은 사회를 투사함으로써 공포를 드러냈다. 이는 관객성으로 이어졌으며 인물의 꿈 또는 허구 속 표현을 체험하면서 유토피아, 그리고 환상적인 것을 갈구했다. 이와 같이 표현주의 영화는 등장인물 개인의 분열된 자아로 존재하거나 타자화하여 개인의 내면을 분출하기도 하며, 독일 사회의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리고 주체와 수용자를 현실과 허구, 꿈과 환상, 내면과 외면, 이성과 감성, 과거와 미래의 다양한 대립양상으로 이끈다.
출처 및 참고문헌
김진. 「표현주의 영화의 이원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4.
독일 표현주의의 회화와 영화 연구 :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을 중심으로, 서영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6.04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19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