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경계선 : 분명한, 경직된, 혼란한
1. 분명한 경계선
2. 경직된 경계선
3. 혼란한 경계선
* 참고문헌
1. 분명한 경계선
2. 경직된 경계선
3. 혼란한 경계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을 경우, 부모에게 불충한다고 느낄 수 있다. 이들은 아마 어떤 감정이 자신의 진짜 감정이며, 어떤 감정이 다른 사람의 것인지를 분간하지 못할 것이다. 또한 자녀들은 혼자서는 편안함을 느끼지 못할 것이며, 가족 외의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는데 어려움을 가질 것이다. 이런 자녀들이 결혼하여 집을 떠나 새 배우자와 협상하고 조정을 할 때, 그리고 배우자와 보완적인 관계를 발전시킬 때,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은 여전히 자신의 근원가족과 매우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면서, 특히 배우자가 근원가족에게 경험한 정도의 지원과 관심을 제공해 주지 않을 경우, 계속해서 근원가족에 기대어 지원과 관심을 요청할 것이다. 이러한 가족의 자녀들은 너무 오랫동안 너무 어리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자녀들은 성숙함에 따라 당연히 발생해야 하는 발달적 과도기가 없고 성장하는 자녀에게 필요한 책임감과 자율성을 더 많이 부여하기 위해 가족 구조를 조정하고 변화시키려는 노력도 없다.
<그림> 가족구조 도식의 상징적 기호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그림> 가족구조 도식의 상징적 기호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