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공적인 국제 전략적 제휴의 운영기법
I. 파트너 선정상의 유의점
1. 양립성
2. 파트너의 능력
3. 제휴의 몰입성
4. 성공적인 국제 제휴에 대한 실증연구
II. 성공적인 국제합작투자와 전략적 제휴의 운영기법
* 참고문헌
I. 파트너 선정상의 유의점
1. 양립성
2. 파트너의 능력
3. 제휴의 몰입성
4. 성공적인 국제 제휴에 대한 실증연구
II. 성공적인 국제합작투자와 전략적 제휴의 운영기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획득하고 더욱 축적해왔기 때문이다.
전략적 제휴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서로가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고 동시에 장점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 계속적인 학습(learning)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제휴의 성공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어느 기업이 더 빨리 학습을 할 수 있는가, 즉 자신의 약점을 얼마나 짧은 시간 동안에 만회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자신의 장점을 얼마나 계속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가의 문제로 귀결된다. 즉 학습능력이 뛰어난 기업들은 제휴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보다 높고, 학습능력이 뒤떨어진 기업들은 전략적 제휴에서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일본기업이 전략적 제휴를 통해 성공한 사례는 학습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Hamel과 Doz, Prahalad는 일본과 구미쪽 기업 간의 전략적 제휴를 살펴보고 일본 기업이 구미의 기업보다 훨씬 많은 것을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얻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에 따르면 일본 기업은 문화적으로 원래 좋은 학생의 기질이 있기 때문에 열심히 배우려는 태도로 임하였고, 서구 기업들은 우즐한 마음으로 일본 기업에게 한 수 가르쳐 준다는 태도로 제휴에 임하였기에 좋은 선생의 역할만 하였다고 표현한다.
넷째, 제휴를 성공적으로 이끌려면 조직 전체적으로 전략적 제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조직상의 핵심역량을 개발하여야 한다. 전략적 제휴의 경영에는 최고경영자뿐만이 아니라 기업의 중간관리층이나 하부에 있는 엔지니어와 기술자들 간에 활발한 정보교환과 원활한 협조체제를 수행하기 위한 관리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는 최고경영자뿐만이 아니라 중간관리층, 그 이하 실제 기술이전과 공동개발, 판매를 담당하는 엔지니어와 영업부 직원들도 그 제휴의 목적이 무엇이고 현재의 제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를 주지하고 있어야 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전략적 제휴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서로가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고 동시에 장점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 계속적인 학습(learning)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제휴의 성공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어느 기업이 더 빨리 학습을 할 수 있는가, 즉 자신의 약점을 얼마나 짧은 시간 동안에 만회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자신의 장점을 얼마나 계속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가의 문제로 귀결된다. 즉 학습능력이 뛰어난 기업들은 제휴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보다 높고, 학습능력이 뒤떨어진 기업들은 전략적 제휴에서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일본기업이 전략적 제휴를 통해 성공한 사례는 학습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Hamel과 Doz, Prahalad는 일본과 구미쪽 기업 간의 전략적 제휴를 살펴보고 일본 기업이 구미의 기업보다 훨씬 많은 것을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얻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에 따르면 일본 기업은 문화적으로 원래 좋은 학생의 기질이 있기 때문에 열심히 배우려는 태도로 임하였고, 서구 기업들은 우즐한 마음으로 일본 기업에게 한 수 가르쳐 준다는 태도로 제휴에 임하였기에 좋은 선생의 역할만 하였다고 표현한다.
넷째, 제휴를 성공적으로 이끌려면 조직 전체적으로 전략적 제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조직상의 핵심역량을 개발하여야 한다. 전략적 제휴의 경영에는 최고경영자뿐만이 아니라 기업의 중간관리층이나 하부에 있는 엔지니어와 기술자들 간에 활발한 정보교환과 원활한 협조체제를 수행하기 위한 관리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는 최고경영자뿐만이 아니라 중간관리층, 그 이하 실제 기술이전과 공동개발, 판매를 담당하는 엔지니어와 영업부 직원들도 그 제휴의 목적이 무엇이고 현재의 제휴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를 주지하고 있어야 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