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근현대사나 상하이영화 또한 특색있는 흐름과 색채를 가지고 있다. 또 상하이는 난징조약 이후 개항되었기에 서양과의 교류 또한 빈번하였고 이를 통해 모던 상하이라는 타이틀 또한 얻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들을 거쳐왔기에 상하이는 중국 근현대사의 집약이라고도 표현한다. 물론 이러한 곳에서 탄생한 영화가 평범할리도 없다. 영화와 도시 연구를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연구하고 윗부분에 언급한 상하이인과 이주민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한다면 상하이를 보다 심도 깊게 이해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상하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우리나라 근현대사적인 부분도 대입해본다면 더욱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개항을 통한 실질적인 변화나 동서양의 혼합적인 특색이 대두되는 부분을 중점으로 연구한다면 상당히 큰 성과가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한국대중문화와 중국대중문화
[논문] 사이버 공간에서의 교육심리학의 역할: 상담영역을 중심
남북문화교류
[중국영화][중국의 영화][중국영화산업][중국영화제작][중국영화배급][중국영화산업 개선 정...
중국의 지역별 영화산업(영화시장), 중국영화산업(중국영화시장)의 세대구분, 중국영화산업(...
[재일동포][재일교포][동포][교포][민족교육]재일동포의 사회적 의미, 재일동포의 형성과 분...
[세세계의풍속과문화]세계 속의 <한류> 현상
한중문화교류(한국과 중국 문화교류)와 교류현황, 한중문화교류(한국과 중국 문화교류)와 시...
(중국문화산책 공통) 상하이의 역사를 주요 시기별로 나누어 개괄하고 상하이 시내의 볼거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