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조선 중기 대표 성리학자
10만 양병설 주장, 국론 통일 등 개혁 제시
벼슬에서 물러난 후 제자 양성에 힘씀
시조로 <고산구곡가>를 지음
[서사] 1수
高山九曲潭(고산구곡담)을 살이 몰으든 이,
誅茅卜居(주모복거)니 벗님네 다 오신다.
어즙어, 武夷(무이)를 想像(상상)고 學朱子(학주자)를 하리라.
10만 양병설 주장, 국론 통일 등 개혁 제시
벼슬에서 물러난 후 제자 양성에 힘씀
시조로 <고산구곡가>를 지음
[서사] 1수
高山九曲潭(고산구곡담)을 살이 몰으든 이,
誅茅卜居(주모복거)니 벗님네 다 오신다.
어즙어, 武夷(무이)를 想像(상상)고 學朱子(학주자)를 하리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