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인심리학적 상담모델의 상담의 기법에 대해 서술하시오
I. 즉시성
II. 격려
III. 마치 ~처럼 행동하기
IV. 자기모습의 파악
V. 질문
VI. 내담자의 수프에 침 뱉기
VII. 악동 피하기
VIII. 단추 누르기 기법
IX. 역설적 의도
X. 심상 만들기
XI. 과제설정과 이행
XII. 숙제 주기
* 참고문헌
I. 즉시성
II. 격려
III. 마치 ~처럼 행동하기
IV. 자기모습의 파악
V. 질문
VI. 내담자의 수프에 침 뱉기
VII. 악동 피하기
VIII. 단추 누르기 기법
IX. 역설적 의도
X. 심상 만들기
XI. 과제설정과 이행
XII. 숙제 주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그 행동의 결과에 대한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것이 역설적 의도의 논리다. 내담자의 저항에 반대하지 않고 오히려 동참함으로써 그 행동을 덜 매력 적으로 만들어 버린다. 증상은 내담자의 눈에도 어리석은 것으로 보이게 될 것이다. 더구나 내담자가 과장된 방식으로 문제에 직면했을 때, 그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다른 방식을 할 수가 있게 된다.
X. 심상 만들기
아들러는 간결한 말로 내담자들을 묘사하기를 좋아했는데, 예를 들면, \"왕이 된 거지\"라는 말이 있다. 다른 아들러 학파들도 비슷하게 내담자들에게 간략한 심상을 부여하는데, 이는 \"하나의 그림이 천 마디의 말만큼이나 가치가 있다.\"는 금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심상을 기억하면서 내담자는 자신의 목표들을 상기할 수 있으며, 그 후의 단계에서 자신을 비웃는데 그 심상을 사용하는 것을 배울 수 있다. \'슈퍼맨\'이라고 명칭이 붙여진 과도한 야망을 지닌 한 내담자는 어느 날 그의 셔츠 단추를 끄르기 시작했다. 상담자가 질문을 하자 내담자는 웃으면서 \"그러면 당신은 커다란 \'S\'자가 쓰여진 나의 푸른 셔츠를 볼 수 있을 거예요.\"라고 대답했다.
신경증적 방어를 시각적 장면으로 상상해 보는 것은 내담자에게 그의 행동이 얼마나 어리석은 가를 명백히 하고 구체화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될 수 있다. 역설적 의도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장면 상상하기는 내담자에게 위협적인 사회적 상황에 관련되기 시작할 때의 그 우스꽝스러운 장면을 상상해 보도록 요구하는 것이다.
XI. 과제설정과 이행
상담자와 내담자는 때때로 문제에 대한 특별한 행동들을 계획한다. 선택이 이루어질 때, 상담자와 내담자는 선택을 이행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결정한다. 만약 그 과제가 간단하고 성공할 확률이 매우 높으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상담자가 쉽게 내담자에게 용기를 줄 수 있게 해 준다. 만약 내담자가 성공하지 못하면, 상담자와 내담자는 더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
XII. 숙제 주기
내담자가 과제를 달성하도록 돕기 위해서, 아들러 학파는 숙제를 내준다. 숙제는 대개 치료회기 동안에 충분히 해낼 수 있는 것들이다. 상담자가 내담자의 인생에 직접적으로 끼어들지 않기 위해서 숙제는 주의 깊게 내준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X. 심상 만들기
아들러는 간결한 말로 내담자들을 묘사하기를 좋아했는데, 예를 들면, \"왕이 된 거지\"라는 말이 있다. 다른 아들러 학파들도 비슷하게 내담자들에게 간략한 심상을 부여하는데, 이는 \"하나의 그림이 천 마디의 말만큼이나 가치가 있다.\"는 금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심상을 기억하면서 내담자는 자신의 목표들을 상기할 수 있으며, 그 후의 단계에서 자신을 비웃는데 그 심상을 사용하는 것을 배울 수 있다. \'슈퍼맨\'이라고 명칭이 붙여진 과도한 야망을 지닌 한 내담자는 어느 날 그의 셔츠 단추를 끄르기 시작했다. 상담자가 질문을 하자 내담자는 웃으면서 \"그러면 당신은 커다란 \'S\'자가 쓰여진 나의 푸른 셔츠를 볼 수 있을 거예요.\"라고 대답했다.
신경증적 방어를 시각적 장면으로 상상해 보는 것은 내담자에게 그의 행동이 얼마나 어리석은 가를 명백히 하고 구체화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될 수 있다. 역설적 의도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장면 상상하기는 내담자에게 위협적인 사회적 상황에 관련되기 시작할 때의 그 우스꽝스러운 장면을 상상해 보도록 요구하는 것이다.
XI. 과제설정과 이행
상담자와 내담자는 때때로 문제에 대한 특별한 행동들을 계획한다. 선택이 이루어질 때, 상담자와 내담자는 선택을 이행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결정한다. 만약 그 과제가 간단하고 성공할 확률이 매우 높으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상담자가 쉽게 내담자에게 용기를 줄 수 있게 해 준다. 만약 내담자가 성공하지 못하면, 상담자와 내담자는 더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
XII. 숙제 주기
내담자가 과제를 달성하도록 돕기 위해서, 아들러 학파는 숙제를 내준다. 숙제는 대개 치료회기 동안에 충분히 해낼 수 있는 것들이다. 상담자가 내담자의 인생에 직접적으로 끼어들지 않기 위해서 숙제는 주의 깊게 내준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