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위축아동의 사정(위축행동을 하는 아이의 진단 및 치료)
I. 또래관계 사정
1. 또래지명법
2. 또래평정척도법
3. 또래행동기술법
II. 행동 평정척도
1. 사회적 상호작용 평정척도
2. 사회적 불안척도
3. 외로움 척도
* 참고문헌
I. 또래관계 사정
1. 또래지명법
2. 또래평정척도법
3. 또래행동기술법
II. 행동 평정척도
1. 사회적 상호작용 평정척도
2. 사회적 불안척도
3. 외로움 척도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전문가이기 때문이다. 아동용 사회성 불안 척도(Shaw, & Stone, 1988)는 사회적 불안의 감정적, 인지적, 행동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며 삼분 척도로 답하게 되어 있으며 득점 범위는 최저 0점에서 최고 20점에 이른다. 점수가 높을수록 불안이 많다. 요인분석 결과, 나타난 두 가지 주요한 요인은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문항 1, 2, 5, 6, 8, 10)과 사회적 회피와 스트레스(문항 3, 4, 7, 9)이다.
우리나라의 규준 자료는 없지만 미국의 자료에 따르면 2, 3학년의 경우 평균점수가(각각 10. 4점, 9. 9점) 4, 5, 6학년(각각 8. 9점, 7. 7점, 8. 4점)의 평균점수보다 훨씬 높았다. 학년을 무시한 채 남녀별로 비교했을 때 여아의 평균점수가(9. 8점) 남아의 평균점수(8. 3점)보다 훨씬 높았다.
<표> 아동용 사회성 불안척도
3. 외로움 척도
외로움 척도(Hymel, & Renshaw, 1984)는 아동이 지각하고 있는 외로움을 사정한다. 이 척도는 아동 스스로가 평정하므로 자기 보고식이며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8문항은 아동의 취미나 흥미와 관련되어 있으며 점수를 계산할 때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표> 외로움의 척도
이 문항들은 아동이 자신의 태도를 나타내는데 있어서 좀 더 마음의 문을 열고 편안해 지도록 돕기 위해서 포함된 문항들이다 16문항 중 10문항은 역방향으로 채점을 해야 하므로 점수 계산 시에는 1점은 5점, 5점은 1점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득점범위는 최저 16점에서 최고 8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외로움이 크다. Hymel & Renshaw(1984)이 50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이 척도를 실시한 결과 평균이 32. 5점이었고 표준편차는 11.8점이었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우리나라의 규준 자료는 없지만 미국의 자료에 따르면 2, 3학년의 경우 평균점수가(각각 10. 4점, 9. 9점) 4, 5, 6학년(각각 8. 9점, 7. 7점, 8. 4점)의 평균점수보다 훨씬 높았다. 학년을 무시한 채 남녀별로 비교했을 때 여아의 평균점수가(9. 8점) 남아의 평균점수(8. 3점)보다 훨씬 높았다.
<표> 아동용 사회성 불안척도
3. 외로움 척도
외로움 척도(Hymel, & Renshaw, 1984)는 아동이 지각하고 있는 외로움을 사정한다. 이 척도는 아동 스스로가 평정하므로 자기 보고식이며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8문항은 아동의 취미나 흥미와 관련되어 있으며 점수를 계산할 때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표> 외로움의 척도
이 문항들은 아동이 자신의 태도를 나타내는데 있어서 좀 더 마음의 문을 열고 편안해 지도록 돕기 위해서 포함된 문항들이다 16문항 중 10문항은 역방향으로 채점을 해야 하므로 점수 계산 시에는 1점은 5점, 5점은 1점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득점범위는 최저 16점에서 최고 8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외로움이 크다. Hymel & Renshaw(1984)이 50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이 척도를 실시한 결과 평균이 32. 5점이었고 표준편차는 11.8점이었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