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유병률
II. 진단
III. 임상 양상
IV. 감별 진단
V. 경과와 예후
VI. 치료
1. 심리치료
2. 약물치료
* 참고문헌
II. 진단
III. 임상 양상
IV. 감별 진단
V. 경과와 예후
VI. 치료
1. 심리치료
2. 약물치료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 두어야 한다. 치료자는 환자의 자기파괴 행동을 조절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들은 인간적인 접촉을 회피하려고 하기 때문에 계속 직면하게 함으로써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들에게 불안이나 죄책감 같은 부정적인 정서에 직면케 하는 것은 반항과 저항만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중심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추상적으로 사고하고 다른 사람의 입장도 고려할 수 있는 정상적인 사고기능을 개발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시에 환자에게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진단이 내려졌다는 사실을 밝히고 치료에 참여해 줄 것을 명확히 요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들은 충동조절, 의사소통, 정서조절, 좌절에 대한 인내, 반응지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행동치료가 요구되며 효율적인 자기주장 훈련도 도움이 된다.
반사회성 성격장애 환자는 병원과 같이 신체적 거동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에서는 치료에 잘 따르는 편이며 다른 환자에게서 동료의식을 느낄 때에는 변화에 대한 동기를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교도소에 있는 것보다 자조집단이 치료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
2. 약물치료
불안, 분노, 우울 증상을 다루기 위해서 약물 치료를 사용하지만 환자가 이미 약물 남용 상태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용량을 잘 조절해야 한다. 환자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을 보이면 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와 같은 약물이 유용하다. 충동적 행동의 조절에 항경련제인 카바마제핀(carbamazepine)이나 발포레이트(valporate)등이 유용하다.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는 베타아드레날린 작용제가 사용될 수 있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이들은 인간적인 접촉을 회피하려고 하기 때문에 계속 직면하게 함으로써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들에게 불안이나 죄책감 같은 부정적인 정서에 직면케 하는 것은 반항과 저항만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중심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추상적으로 사고하고 다른 사람의 입장도 고려할 수 있는 정상적인 사고기능을 개발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시에 환자에게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진단이 내려졌다는 사실을 밝히고 치료에 참여해 줄 것을 명확히 요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들은 충동조절, 의사소통, 정서조절, 좌절에 대한 인내, 반응지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행동치료가 요구되며 효율적인 자기주장 훈련도 도움이 된다.
반사회성 성격장애 환자는 병원과 같이 신체적 거동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에서는 치료에 잘 따르는 편이며 다른 환자에게서 동료의식을 느낄 때에는 변화에 대한 동기를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교도소에 있는 것보다 자조집단이 치료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
2. 약물치료
불안, 분노, 우울 증상을 다루기 위해서 약물 치료를 사용하지만 환자가 이미 약물 남용 상태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용량을 잘 조절해야 한다. 환자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을 보이면 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와 같은 약물이 유용하다. 충동적 행동의 조절에 항경련제인 카바마제핀(carbamazepine)이나 발포레이트(valporate)등이 유용하다.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는 베타아드레날린 작용제가 사용될 수 있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