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0.382
0.117
-0.818
0.150
-0.879
0.183
-1.412
0.217
-1.848
0.250
-2.182
0.283
-2.353
0.317
-3.000
0.350
-3.394
0.383
-3.529
0.417
-4.455
<포물체운동 y축 방향>
포물체운동의 y축 방향 가속도는 -10,961m/이다.
질문 : 두 물체의 운동을 비교하면, 매 순간 두 물체의 높이는 어떠한가?
이 결과의 의미는 무엇인가?
토의 : 거의 일치한다.
자유낙하운동과 포물체운동 모두 y축의 방향으로는 중력의 영향만을 받는다. 따라서 y축 방향으로의 높이는 같게 된다.
질문 : 포물체는 수평(x축) 방향으로 어떤 운동을 하는가?
토의 : 위의 실험에서는 공기저항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가속도가 약 0.74으로 나왔지만 이론상으로는 등속도 운동을 한다.
[실험 3] - 포물체 운동
첫 번째(m)
두 번째(m)
세 번째(m)
이론값(m)
1.182
1.226
1.237
1.212
1.289
1.290
1.297
1.399
1.059
1.059
1.080
1.212
이 실험은 포물체의 발사 각도와 이동거리의 관계를 확인하는 실험이다. 포토게이트를 사용하여 포물체의 발사 속도를 측정하고, 줄자를 사용하여 낙하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로부터 이론상의 와 실제의 값을 비교해야 한다.
에서의 오차값은 각각 0.030m, 0.014m, 0.025m이고 에서의 오차값은 각각 0.110m, 0.109m, 0.102m이다. 에서의 오차값은 각각 0.153m, 0.153m, 0.132m이다.
질문 : 실험결과, 수평 도달 거리 가 최대가 되는 발사각 는 얼마인가?
이는 이론적인 결과와 일치하는가?
토의 : 발사각이 일 때 수평 도달 거리 가 가장 길다.
이는 이론적인 결과와 일치한다.
6. 결과분석
5. 실험결과와 같이 기재하였음.
7. 토의 및 건의사항
5. 실험결과와 같이 기재하였음.
*오차의 발생 원인
1. 공기저항이 있을 수 있다. (실험 1,2,3)
2. 피켓펜스를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떨어뜨리지 못하고, 기울여서 떨어뜨렸다. (실험 1)
3. 프로그램이 공을 인식할 때 공의 중심을 인식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실험 2,3)
8. 참고문헌
http://phylab.yonsei.ac.kr/
한국 표준 과학 연구원
University Physics, 13th edition by Young&Freedom
0.117
-0.818
0.150
-0.879
0.183
-1.412
0.217
-1.848
0.250
-2.182
0.283
-2.353
0.317
-3.000
0.350
-3.394
0.383
-3.529
0.417
-4.455
<포물체운동 y축 방향>
포물체운동의 y축 방향 가속도는 -10,961m/이다.
질문 : 두 물체의 운동을 비교하면, 매 순간 두 물체의 높이는 어떠한가?
이 결과의 의미는 무엇인가?
토의 : 거의 일치한다.
자유낙하운동과 포물체운동 모두 y축의 방향으로는 중력의 영향만을 받는다. 따라서 y축 방향으로의 높이는 같게 된다.
질문 : 포물체는 수평(x축) 방향으로 어떤 운동을 하는가?
토의 : 위의 실험에서는 공기저항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가속도가 약 0.74으로 나왔지만 이론상으로는 등속도 운동을 한다.
[실험 3] - 포물체 운동
첫 번째(m)
두 번째(m)
세 번째(m)
이론값(m)
1.182
1.226
1.237
1.212
1.289
1.290
1.297
1.399
1.059
1.059
1.080
1.212
이 실험은 포물체의 발사 각도와 이동거리의 관계를 확인하는 실험이다. 포토게이트를 사용하여 포물체의 발사 속도를 측정하고, 줄자를 사용하여 낙하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로부터 이론상의 와 실제의 값을 비교해야 한다.
에서의 오차값은 각각 0.030m, 0.014m, 0.025m이고 에서의 오차값은 각각 0.110m, 0.109m, 0.102m이다. 에서의 오차값은 각각 0.153m, 0.153m, 0.132m이다.
질문 : 실험결과, 수평 도달 거리 가 최대가 되는 발사각 는 얼마인가?
이는 이론적인 결과와 일치하는가?
토의 : 발사각이 일 때 수평 도달 거리 가 가장 길다.
이는 이론적인 결과와 일치한다.
6. 결과분석
5. 실험결과와 같이 기재하였음.
7. 토의 및 건의사항
5. 실험결과와 같이 기재하였음.
*오차의 발생 원인
1. 공기저항이 있을 수 있다. (실험 1,2,3)
2. 피켓펜스를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떨어뜨리지 못하고, 기울여서 떨어뜨렸다. (실험 1)
3. 프로그램이 공을 인식할 때 공의 중심을 인식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실험 2,3)
8. 참고문헌
http://phylab.yonsei.ac.kr/
한국 표준 과학 연구원
University Physics, 13th edition by Young&Freed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