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영역별 지도법 - 역할놀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과 영역별 지도법 - 역할놀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정하여 수행하게 된다. 역할을 재연할 때에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시도되고, 새로운 역할 수행자에 의해 상황이 재해석되며, 첫 번째 주어졌던 역할과는 다른 각도에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른 학생들에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재연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러 차례 실시할 수 있다.
실연과 토론을 번갈아가면서 진행된다.
교사는 토론을 이끌고, 역할 수행자를 선정하며, 놀이를 언제 끝내야 할지를 결정하고,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아이디어를 선택할 수 있다.
⑧후속 토론 및 평가(Discuss and evaluate)
토론과 평가를 통하여 학생들이 해결책을 받아들일 준비를 하더라도 교사는 그 결론이 가능한가를 계속 질문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해결책을 찾도록 유도한다. 이에 학생들은 새로운 질문에 대한 현실적인 생활에서의 해결책을 찾기 위해 생각하고 토론을 진행한다.
⑨경험 공유의 일반화(Share experience and generalize)
이 단계에서는 ‘문제 상황을 실제 경험과 현존 문제에 관련시키기’, ‘행동의 일반 원칙 탐색하기’, 등의 활동들이 이루어진다. 단, 일반화를 위해서는 많은 경험이 필요하기에 결과를 즉각적으로 일반화할 것을 기대하지는 말아야 한다. 따라서 교사는 아동들이 역할놀이 경험을 오래 하고 난 다음에, 문제 상황에 대한 접근 방법을 일반화하고 그들의 접근 방법의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도록 토론활동을 구성해야 한다.
이상 역할놀이 단계별로 교사가 고려할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이 단계를 따라서 역할놀이를 진행할 때에 교사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에 유의해야 한다.
교사가 놀이를 규칙에 따라 정확히 진행하는 것 자체를 목적으로 한다면 학생의 자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역할놀이의 성격이 퇴색될 수 있다.
학생들이 역할놀이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역할놀이의 9가지 단계들 중에서 몇 개의 단계만을 수행하고, 이후 역할놀이 수업에 익숙해지면 나머지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학생들이 역할놀이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한 명의 주요 역할 수행자만이 있는 역할놀이에서 시작하여, 두 명의 역할 수행자와 대안적 해결책, 다수의 역할 수행자와 복잡한 상황, 가치관, 사회적 이슈 등을 다루는 상황 등의 순서로 역할놀이의 난이도를 높여갈 수 있다.
40분이라는 수업 시간 내에서 역할놀이 수업을 제대로 진행하기 어렵기에 교사의 효율적이고 융통적인 수업 운영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서,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좀더 탐구할 필요가 있거나, 여러 가지 대안과 해결 방법을 탐구해야 하는 경우에는 토론과 재연을 위하여 수업 시간을 더 연장할 수 있다.
역할놀이를 진행하다 보면 자칫 산만해지거나 내용이 없는 수업이 될 수도 있기에 교사는 약속을 정해서 학생들을 통제하고, 적절한 발문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수업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교사는 권위적으로 진행하기보다는 아동 스스로가 놀이의 규칙에 따라 자기 규제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질문 : 국어과에서만 있는 9가지 모형인가?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7.21
  • 저작시기201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64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