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음 표는 20△△년도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10세 연령계층별로 보여 주는 자료이다. 각 연령계층별 경제활동참가율(1점), 고용률(2점), 실업률(2점)을 구하고 연령별 특징을 비교하고 설명(5점)하시오. <총 10점>
2. 우리나라에서는 5년 주기로 물가지수를 개편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2017년 개편의 주된 내용과 특징은 무엇인지 조사하고 설명하시오.(5점) 또한 교재의 <표 4–6> ‘소비자물가지수의 추이’를 이용하여 2013년 전년대비 증감률을 구하고, 기여도를 계산(3점)하여 어느 분류에서 상승에 기여했는지를 설명(2점)하시오. <총 10점>
3. 어느 지역 소비자의 연간 구입품목에 대한 수량과 가격이 아래의 표와 같다고 하자. 2010년을 기준년으로 하여 물가지수를 산출하고자 한다. <총 10점>
① 가중치를 계산하시오. (4점)
② 라스파이레스산식을 이용하여 2011년과 2012년의 물가지수를 산출하고 두 해의 물가상승률을 비교하고 특징을 설명하시오. (6점)
2. 우리나라에서는 5년 주기로 물가지수를 개편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2017년 개편의 주된 내용과 특징은 무엇인지 조사하고 설명하시오.(5점) 또한 교재의 <표 4–6> ‘소비자물가지수의 추이’를 이용하여 2013년 전년대비 증감률을 구하고, 기여도를 계산(3점)하여 어느 분류에서 상승에 기여했는지를 설명(2점)하시오. <총 10점>
3. 어느 지역 소비자의 연간 구입품목에 대한 수량과 가격이 아래의 표와 같다고 하자. 2010년을 기준년으로 하여 물가지수를 산출하고자 한다. <총 10점>
① 가중치를 계산하시오. (4점)
② 라스파이레스산식을 이용하여 2011년과 2012년의 물가지수를 산출하고 두 해의 물가상승률을 비교하고 특징을 설명하시오. (6점)
본문내용
다음과 같다.
기여도는 특정 품목의 변동이 전체 물가 또는 생산 변동률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가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포인트’로 표시된다. 품목별 기여도의 합계는 총지수의 증감률이 된다.
기여도 계산을 위하여 품목가충치와 전체가중치는 교재 141쪽의 [표 4-5]를 활용한다.
대분류
품목수(개)
가중치
대분류
품목수
가중치
총지수
481
1,000.0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134
139.0
교통
32
111.4
주류 및 담배
8
11.8
통신
8
59.1
의류 및 신발
34
66.4
오락 및 문화
64
53.0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
21
173.0
교육
20
103.5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
49
38.2
음식 및 숙박
42
121.6
보건
28
72.9
기타상품 및 서비스
41
50.1
엑셀을 이용하여 품목별 기여도를 계산한 결과화면은 아래와 같다.
2012년 대비 2013년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의 기여도를 품목별로 보면, 물가상승에 기여한 품목은 식료품·비주류음료(0.13), 주류·담배(0.02), 의복·신발(0.20), 주거 및 수도·광열(0.63), 가구집기·가사용품(0.01), 보건의료(0.03), 교양·오락(0.05), 교육(0.12), 외식·숙박(0.19), 기타잡비(0.02)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교통(-0.06), 통신(-0.01) 품목은 물가가 하락하여 물가상승에 부(-)적 기여를 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3. 어느 지역 소비자의 연간 구입품목에 대한 수량과 가격이 아래의 표와 같다고 하자. 2010년을 기준년으로 하여 물가지수를 산출하고자 한다. <총 10점>
① 가중치를 계산하시오. (4점)
② 라스파이레스산식을 이용하여 2011년과 2012년의 물가지수를 산출하고 두 해의 물가상승률을 비교하고 특징을 설명하시오. (6점)
품목
2010년
2011년
2012년
구입량(kg)
가격(원/kg)
구입량(kg)
가격(원/kg)
구입량(kg)
가격(원/kg)
쌀
10
4,500
10
5,500
9.5
6,500
닭고기
7.5
2,000
6.5
1,900
8
2,100
배추
7
1,000
8
1,100
5
1,300
사과
8
1,000
7
1,300
8
1,200
가중치를 계산하시오. (4점)
2010년을 기준년으로 하여 가중산술평균방법에 의한 물가지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중치를 산출해야 한다. 가중치는 기준연도의 소비지출구조, 즉 각 품목의 소비지출구성비이다. 기준연도의 소비지출액은 각 항목별 구입량(A)과 항목의 단위별 가격(B)을 곱하여 산출한 금액(C)이다. (C)를 모두 합한 합계는 (D)라고 한다. 가중치는 기준연도 소비지출액(C)를 기준연도 소비지출액의 합계금액(D)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백분비로 산출하였다.
품목
구입량(kg)
가격(원/kg)
기준연도 소비지출액(원)
가중치(%)
(A)
(B)
(A)×(B)=(C)
(C)/(D)×100
쌀
10
4,500
45,000
60.00
닭고기
7.5
2,000
15,000
20.00
배추
7
1,000
7,000
9.33
사과
8
1,000
8,000
10.67
합계<Σ(C)=(D)>
75,000
100
엑셀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화면은 아래와 같다.
라스파이레스산식을 이용하여 2011년과 2012년의 물가지수를 산출하고 두 해의 물가상승률을 비교하고 특징을 설명하시오. (6점)
전체적인 물가변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단위가 다른 품목들의 가격을 합계해야 하는데 이들은 서로 다른 거래단위별 가격이므로 가격을 단순히 합게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따라서 공통의 단위인 금액으로 바꾸어 지수화하기 위해 수량을 감안하게 된다. 기준시 수량으로 종합한 물가지수인 라스파이레스산식을 적용할 때, 2010년을 기준으로 한 2011년, 2012년의 물가지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기준년도 가중치(w0)는 번을 통해 산출하였으므로, 다음으로는 품목별가격비(pt/po)와 가격지수(pt/po×100)를 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품목
가중치(%)
2010
2011
2012
단가
가격비
가격지수
단가
가격비
가격지수
단가
가격비
가격지수
쌀
60.00
4,500
1.0
100
5,500
1.22
122.22
6,500
1.44
144.44
닭고기
20.00
2,000
1.0
100
1,900
0.95
95.00
2,100
1.05
105.00
배추
9.33
1,000
1.0
100
1,100
1.10
110.00
1,300
1.30
130.00
사과
10.67
1,000
1.0
100
1,300
1.30
130.00
1,200
1.20
120.00
위에서 계산된 결과를 토대로 2011년과 2012년의 물가지수를 산출하면 아래와 같다.
연도
쌀
닭고기
배추
사과
물가지수산출결과
가중치
가격비
가중치
가격비
가중치
가격비
가중치
가격비
2010년
60
1.00
20
1.00
9.33
1.00
10.67
1.00
100.00
2011년
60
1.22
20
0.95
9.33
1.10
10.67
1.30
116.33
2012년
60
1.44
20
1.05
9.33
1.30
10.67
1.20
132.33
아래의 식에 따라 전년대비 증감률(%)을 구해보자.
구분
2010
2011
2012
지수(2010=100)
100.0
116.33
132.33
전년비(%)
-
[(116.33/100.0)-1] × 100
[(132.33/116.33)-1] × 100
16.33
13.75
연도별 물가지수, 연도별 전년대비 증감률(전년비)및 품목별 기여도를 엑셀을 통해 계산한 결과화면은 아래와 같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해석하면, 2011년에는 전년대비 16.33% 물가가 상승했으며, 2012년에는 전년대비 13.75% 물가가 상승했다. 따라서, 2012년보다 2011년에 전년대비 물가가 더 많이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품목별 기여도 계산을 통해 물가상승에 가장 많이 기여한 품목이 쌀(2011년 13.33%p, 2012년 11.46%p)이라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2011년 물가상승에 기여도가 가장 적은 품목은 닭고기(-1.00)이며, 2012년 물가상승에 기여도가 가장 적은 품목은 사과(-0.92)이다.
기여도는 특정 품목의 변동이 전체 물가 또는 생산 변동률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가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포인트’로 표시된다. 품목별 기여도의 합계는 총지수의 증감률이 된다.
기여도 계산을 위하여 품목가충치와 전체가중치는 교재 141쪽의 [표 4-5]를 활용한다.
대분류
품목수(개)
가중치
대분류
품목수
가중치
총지수
481
1,000.0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134
139.0
교통
32
111.4
주류 및 담배
8
11.8
통신
8
59.1
의류 및 신발
34
66.4
오락 및 문화
64
53.0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
21
173.0
교육
20
103.5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
49
38.2
음식 및 숙박
42
121.6
보건
28
72.9
기타상품 및 서비스
41
50.1
엑셀을 이용하여 품목별 기여도를 계산한 결과화면은 아래와 같다.
2012년 대비 2013년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의 기여도를 품목별로 보면, 물가상승에 기여한 품목은 식료품·비주류음료(0.13), 주류·담배(0.02), 의복·신발(0.20), 주거 및 수도·광열(0.63), 가구집기·가사용품(0.01), 보건의료(0.03), 교양·오락(0.05), 교육(0.12), 외식·숙박(0.19), 기타잡비(0.02)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교통(-0.06), 통신(-0.01) 품목은 물가가 하락하여 물가상승에 부(-)적 기여를 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3. 어느 지역 소비자의 연간 구입품목에 대한 수량과 가격이 아래의 표와 같다고 하자. 2010년을 기준년으로 하여 물가지수를 산출하고자 한다. <총 10점>
① 가중치를 계산하시오. (4점)
② 라스파이레스산식을 이용하여 2011년과 2012년의 물가지수를 산출하고 두 해의 물가상승률을 비교하고 특징을 설명하시오. (6점)
품목
2010년
2011년
2012년
구입량(kg)
가격(원/kg)
구입량(kg)
가격(원/kg)
구입량(kg)
가격(원/kg)
쌀
10
4,500
10
5,500
9.5
6,500
닭고기
7.5
2,000
6.5
1,900
8
2,100
배추
7
1,000
8
1,100
5
1,300
사과
8
1,000
7
1,300
8
1,200
가중치를 계산하시오. (4점)
2010년을 기준년으로 하여 가중산술평균방법에 의한 물가지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중치를 산출해야 한다. 가중치는 기준연도의 소비지출구조, 즉 각 품목의 소비지출구성비이다. 기준연도의 소비지출액은 각 항목별 구입량(A)과 항목의 단위별 가격(B)을 곱하여 산출한 금액(C)이다. (C)를 모두 합한 합계는 (D)라고 한다. 가중치는 기준연도 소비지출액(C)를 기준연도 소비지출액의 합계금액(D)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백분비로 산출하였다.
품목
구입량(kg)
가격(원/kg)
기준연도 소비지출액(원)
가중치(%)
(A)
(B)
(A)×(B)=(C)
(C)/(D)×100
쌀
10
4,500
45,000
60.00
닭고기
7.5
2,000
15,000
20.00
배추
7
1,000
7,000
9.33
사과
8
1,000
8,000
10.67
합계<Σ(C)=(D)>
75,000
100
엑셀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화면은 아래와 같다.
라스파이레스산식을 이용하여 2011년과 2012년의 물가지수를 산출하고 두 해의 물가상승률을 비교하고 특징을 설명하시오. (6점)
전체적인 물가변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단위가 다른 품목들의 가격을 합계해야 하는데 이들은 서로 다른 거래단위별 가격이므로 가격을 단순히 합게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따라서 공통의 단위인 금액으로 바꾸어 지수화하기 위해 수량을 감안하게 된다. 기준시 수량으로 종합한 물가지수인 라스파이레스산식을 적용할 때, 2010년을 기준으로 한 2011년, 2012년의 물가지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기준년도 가중치(w0)는 번을 통해 산출하였으므로, 다음으로는 품목별가격비(pt/po)와 가격지수(pt/po×100)를 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품목
가중치(%)
2010
2011
2012
단가
가격비
가격지수
단가
가격비
가격지수
단가
가격비
가격지수
쌀
60.00
4,500
1.0
100
5,500
1.22
122.22
6,500
1.44
144.44
닭고기
20.00
2,000
1.0
100
1,900
0.95
95.00
2,100
1.05
105.00
배추
9.33
1,000
1.0
100
1,100
1.10
110.00
1,300
1.30
130.00
사과
10.67
1,000
1.0
100
1,300
1.30
130.00
1,200
1.20
120.00
위에서 계산된 결과를 토대로 2011년과 2012년의 물가지수를 산출하면 아래와 같다.
연도
쌀
닭고기
배추
사과
물가지수산출결과
가중치
가격비
가중치
가격비
가중치
가격비
가중치
가격비
2010년
60
1.00
20
1.00
9.33
1.00
10.67
1.00
100.00
2011년
60
1.22
20
0.95
9.33
1.10
10.67
1.30
116.33
2012년
60
1.44
20
1.05
9.33
1.30
10.67
1.20
132.33
아래의 식에 따라 전년대비 증감률(%)을 구해보자.
구분
2010
2011
2012
지수(2010=100)
100.0
116.33
132.33
전년비(%)
-
[(116.33/100.0)-1] × 100
[(132.33/116.33)-1] × 100
16.33
13.75
연도별 물가지수, 연도별 전년대비 증감률(전년비)및 품목별 기여도를 엑셀을 통해 계산한 결과화면은 아래와 같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해석하면, 2011년에는 전년대비 16.33% 물가가 상승했으며, 2012년에는 전년대비 13.75% 물가가 상승했다. 따라서, 2012년보다 2011년에 전년대비 물가가 더 많이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품목별 기여도 계산을 통해 물가상승에 가장 많이 기여한 품목이 쌀(2011년 13.33%p, 2012년 11.46%p)이라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2011년 물가상승에 기여도가 가장 적은 품목은 닭고기(-1.00)이며, 2012년 물가상승에 기여도가 가장 적은 품목은 사과(-0.92)이다.
추천자료
한국방송통신대학(방통대) 평생교육원의 연혁, 한국방송통신대학(방통대) 평생교육원의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방통대) 평생교육원의 설립취지, 한국방송통신대학(방통대) 평생교육원의 ...
(30점 만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정보통계학과 통계조사방법론 중간과제
『교육고전의 이해』 교재에 소개된 고전 중 1권을 선택하여 읽고, 독후감을 작성하시오. 6장...
(30점만점)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정보통계학과 데이터처리와활용 중간과제물
기초간호과학] 허혈의 발생기전 허혈이 있는 환자 간호중재 자가면역성 질환의 병태생리 기관...
다국적기업론 러시아 경제의 특징을 요약하고 한-러시아 관계에 있어 향후 한국 기업에게 어...
(30점 만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데이터시각화 중간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