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독립영화 <최악의 하루>
1) 독립영화 <최악의 하루> 소개
2) 감상문
2. 독립영화와 상업영화의 차이점 분석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독립영화 <최악의 하루>
1) 독립영화 <최악의 하루> 소개
2) 감상문
2. 독립영화와 상업영화의 차이점 분석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성상민(2015.08.20.). [ACT! 94호 이슈와 현장] 독립영화와 자본 사이 ② 독립영화, 그리고 독립적 유통, ACT! 94호 이슈와 현장
문정현 감독의 말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에서 독립영화는 매우 어려운 환경 속에서 나름의 명맥을 유지해왔다. 많은 이들이 노력한 결과 독립영화만을 상영하는 상영관 등이 생겼지만 이곳에서도 흥행 가능성이 높은 영화들이 상영되고 있어 독립영화의 실험성과 예술성이라는 본질이 훼손될 수 있다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들을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의 독립영화가 지속가능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더 많은 고민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Ⅲ. 결론
자본으로부터 독립되어 있지만 동시에 자본의 압박 없이도 독립영화를 만들고 상영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독립영화를 만드는 수많은 제작진과 배우들은 우리나라영화 산업의 미래 주역이 될 것이다. 이들이 현실적인 문제들로 인해 영화 제작을 포기하게 된다면 우리나라 영화 산업의 미래는 어둡다고 할 수밖에 없다. 독립영화가 보다 나은 환경에서 제작되고 상영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객들의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수많은 독립영화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취미활동의 일환으로 상업영화뿐만 아니라 독립영화를 보는 관객들이 늘어날수록 독립영화의 환경은 개선될 수 있다. 최근에는 독립영화에 대한 관심이 많은 관객들 가운데 소액 투자 등을 통해 독립영화 제작에 자본을 보태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 사회에서 독립영화가 보다 강하게 뿌리 내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번 보고서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본 김종관 감독의 <최악의 하루>는 독립영화 중에서도 많은 관객을 동원한 흥행작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도 우리 사회에서 더 많은 독립영화들이 <최악의 하루>와 같이 대중에 관심을 받고 흥행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 김정락 외 8명 저(2016), 취미와 예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박창욱(2017.02.13.). 지난해 1인당 연간 평균 영화 관람 4.2회... 세계 2위권 해당. 뉴스1
- 이동진(2016.08.22). [이동진의 어바웃 시네마] ‘최악의 하루’ 그 하루는 이제 지나갔다. 다음영화
- 성상민(2015.08.20.). [ACT! 94호 이슈와 현장] 독립영화와 자본 사이 ② 독립영화, 그리고 독립적 유통, ACT! 94호 이슈와 현장
문정현 감독의 말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에서 독립영화는 매우 어려운 환경 속에서 나름의 명맥을 유지해왔다. 많은 이들이 노력한 결과 독립영화만을 상영하는 상영관 등이 생겼지만 이곳에서도 흥행 가능성이 높은 영화들이 상영되고 있어 독립영화의 실험성과 예술성이라는 본질이 훼손될 수 있다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들을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의 독립영화가 지속가능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더 많은 고민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Ⅲ. 결론
자본으로부터 독립되어 있지만 동시에 자본의 압박 없이도 독립영화를 만들고 상영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독립영화를 만드는 수많은 제작진과 배우들은 우리나라영화 산업의 미래 주역이 될 것이다. 이들이 현실적인 문제들로 인해 영화 제작을 포기하게 된다면 우리나라 영화 산업의 미래는 어둡다고 할 수밖에 없다. 독립영화가 보다 나은 환경에서 제작되고 상영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객들의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수많은 독립영화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취미활동의 일환으로 상업영화뿐만 아니라 독립영화를 보는 관객들이 늘어날수록 독립영화의 환경은 개선될 수 있다. 최근에는 독립영화에 대한 관심이 많은 관객들 가운데 소액 투자 등을 통해 독립영화 제작에 자본을 보태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 사회에서 독립영화가 보다 강하게 뿌리 내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번 보고서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본 김종관 감독의 <최악의 하루>는 독립영화 중에서도 많은 관객을 동원한 흥행작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도 우리 사회에서 더 많은 독립영화들이 <최악의 하루>와 같이 대중에 관심을 받고 흥행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 김정락 외 8명 저(2016), 취미와 예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박창욱(2017.02.13.). 지난해 1인당 연간 평균 영화 관람 4.2회... 세계 2위권 해당. 뉴스1
- 이동진(2016.08.22). [이동진의 어바웃 시네마] ‘최악의 하루’ 그 하루는 이제 지나갔다. 다음영화
- 성상민(2015.08.20.). [ACT! 94호 이슈와 현장] 독립영화와 자본 사이 ② 독립영화, 그리고 독립적 유통, ACT! 94호 이슈와 현장
키워드
추천자료
취미와예술 B형) 독립영화 한 편을 감상한 후 감상문을 쓰시오.
[취미와예술 B형] 독립영화 한 편을 감상하신 후 감상문을 써 주십시오(님아 그강을 건너지마오)
(취미와예술 B형) 독립영화 댄스타운 감상문-영화의 제작진, 내용 등 개요 간략히 정리, 상업...
(취미와예술 B형) 독립영화 무산일기 감상문-영화의 제작진, 내용 등 개요 간략히 정리, 상업...
[취미와예술 B형] 독립영화 철의 꿈 감상 - 영화의 제작진, 내용 등 개요 간략히 정리, 상업...
[취미와예술][독립영화][똥파리][똥파리감상문][취미로서의 영화: 영화란 무엇인가?]에 나오...
[취미와예술][독립영향][워낭소리][독립영화와상업영화의차이점] 취미로서의 영화: 영화란 무...
(취미와예술 B형)교재 7장 [취미로서의 영화: 영화란 무엇인가?]에 나오는 독립영화에 대한 ...
[방통대 2018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취미와 예술] 서비스 투어리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