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관리론(MBO)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목표관리론(MBO)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표관리론(MBO)

1. MBO의 개념
2. MBO의 과정
1) 목표의 발견
2) 목표의 설정
3) 목표의 확인
4) 목표의 실행
5) 평가
3. MBO의 성공요건과 한계점
1) 성공적 운용요건
2) 운영상의 한계
(1) MBO 철학에 관한 교육실패
(2) 목표설정자에 대한 지침제공의 실패
(3) 목표설정의 곤란
(4) 단기목표의 강조
(5) 비탄력성의 위험

*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한 많은 이해와 인식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다음에는 MBO란 무엇이고, 어떻게 작용하며, 왜 행하여지고 성과를 평가함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무엇보다도 참여자들이 어떤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인가 등에 대하여 부하들에게 설명을 해주어야만 한다.
(2) 목표설정자에 대한 지침제공의 실패
MBO는 여타의 계획수립과 마찬가지로, 목표를 설정하도록 기대되는 사람에게 필요한 지침이 제공되지 않으면 실시될 수 없다. 관리자는 조직의 목표가 무엇인지, 그리고 자신의 행동들이 목표와 어떻게 일치하는지를 알아야만 한다. 만일 조직목표가 불명확(vague)하고 비현실적이며 일관성이 없다면, 결국 관리자는 목표지향적 행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3) 목표설정의 곤란 (difficulty of setting goals)
실제로 검증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기란 참으로 어려운 일로, 특히 목표들을 매분기, 매년 등의 범위에 알맞게 완급의 적정수준을 고려하여 설정하기란 더욱 어렵다. 때로 MBO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지나치게 경제적인 성과의 압박을 받는 경우 문제행동을 조장할 수도 있다.
(4) 단기목표의 강조 (emphasis on short-run goals)
대부분의 MBO 프로그램에 있어서, 관리자가 설정하는 목표는 단기적인 것으로서 1년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대개 분기별 또는 그 이하의 기간을 기준으로 정한다. 때문에 장기적인 목표에 헌신하기보다 단기목표를 강조할 위험이 분명히 존재하는 것이다.
(5) 비탄력성의 위험 (danger of inflexibility)
관리자들은 종종 목표의 변경을 주저한다. 반면에 목표들을 지나치게 자주 변경하고, 심사숙고하여 작성하고도 잘 계획된 결과를 상정하지 못한다면 목표는 더 이상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될 것이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8.08
  • 저작시기201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81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