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cending Colon Cancer(상행결장암) 성인간호학 A+ Case Study 자료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scending Colon Cancer(상행결장암) 성인간호학 A+ Case Study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부작용을 관찰한다.
→ 진통제는 통증을 감소시킨다.
② 통증이 있을 시 환자의 손을 잡아주고 지지해준다.
→ 심리적인 안정은 통증완화에 도움이 된다.
③ 위를 증진시키는 간호(비약물적 통증완화법: 체위변경, 심상요법, 이완요법, 전환요법 등)를 수행한다.
→ 숨을 깊게 들이쉬거나, 이완되는 장면을 상상하게 하는 것은 통증을 경감시킨다. (예: 조용한 숲속을 상상하게 하는 것)
④ 편안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 편안하고 쾌적한 환경은 대상자가 심리적인 안정을 취하여 통증을 경감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⑤ 베개를 이용하여 동통부위를 적절히 지지해주고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 통증부위를 지지하고 편안한 자세를 취하는 것은 통증완화에 효과가 있다.
교육적
계획
① 통증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환자에게 통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통증의 원인, 통증의 지속시간 등).
→ 환자가 통증에 대한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② 통증이 심해질 때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 간호사가 환자 상태에 대해 빠르게 인지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간호 중재가 가능하다.
③ 통증이 심해질 때 통증을 줄일 수 있는 호흡법을 교육한다.
→ 적절한 호흡법으로 대상자 스스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④ PCA(patient-controlled analgesia)의 활용도를 사정하고 환자와 보호자에게 PCA
작동법에 대하여 교육하고 격려한다.
→ PCA를 통해서 대상자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다.
#1 수술과 관련된 통증
#2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진단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주관적 자료
“ 수술하고 나서 온 몸에 이것저것 달려있는데 괜찮은거죠?”
객관적 자료
Robot-RHC(right hemicolectomy) 시행 함 (2018-8-31)
Foley catheter 유지 중
Jackson Pratt drain 유지 중 (color : bloody)
IV catheter 유지 중
Lab 결과
검사
정상범위
8/30
pre op.
8/31
op.
9/1
POD #1
WBC
4.0~10.0
6.76
12.65▲
10.89▲
CRP
~<0.30
0.21
1.47▲
4.17▲
Neutrophil
(%)
35~75
52.1
69.9▲
77.3▲
간호
계획
단기
목표
대상자는 2일 후,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대상자는 3일 후, 침습적 시술 부위에 삼출물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WBC와 CRP 수치가 정상적으로 돌아올 것이다.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① 감염 증상을 사정한다.
→ 감염 증상을 사정함으로써 감염을 예측하고 중재를 할 수 있다.
② 매 4시간 간격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 수술 후 체온 상승은 감염의 징후를 나타낸다.
③ 대상자의 임상검사 수치(혈액검사수치)를 확인한다. (WBC)
→ 백혈구 수치의 증가는 감염의 증상을 나타낸다. 눈에 띄게 WBC의 수가 감소하는 경우는 비타민과 amino의 심각한 결핍이나 극심한 쇠약의 결과를 의미한다.
④ JP bag통한 배액이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 배액이 잘 되지 않고 정체될 경우 세균이 번식할 수 있다.
치료적
계획
① 침습적 처치가 있는 부위를 매일 사정한다.
→ 침습 처치 부위를 매일 사정함을 통해 감염의 징후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다.
② 처방된 항생제가 있다면 투여한다.
→ 항생제는 감염의 위험을 줄여준다.
③ 환자와 접촉하기 전, 후에 손을 씻는다.
→ 의료진의 손을 통해서 균이 잘 전파되며 손 씻기로 이를 예방할 수 있다.
④ 국소 감염의 증상/징후를 파악하기 위해 수술 부위를 관찰한다.
→ 수술부위의 상태(bleeding, woozing)은 감염의 징후를 나타낸다.
⑤ foley catheter는 교체기간에 맞게 교체한다.
→ 요로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⑥ 매24 ~ 48시간 간격 혹은 기관에 정책에 따라 정맥주사튜브를 교환하고 주사부위를 간호한다.
→ 주사부위의 infection 위험이 있다.
교육적
계획
① 감염의 증상과 징후에 대해 교육한다.
→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알고 조기에 대처할 수 있다.
② 보호자에게 유치도뇨관과 관련한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 유치도뇨관은 요로감염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관리하는 방법을 통해 예방해야한다.
③ 환의와 시트를 깨끗이 하도록 교육한다.
→ 환의와 시트는 청결히 함으로써 감염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간호진단
장 절제식이와 관련된 지식부족
주관적 자료
“밥은 뭐 먹어야 해요?”
“내가 잘 못 먹어서 배가 아픈가?”
객관적 자료
Robot-RHC(right hemicolectomy) 시행 함 (2018-8-31)
식이관리에 대해 궁금해 하는 모습을 보임
간호
계획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장 절제식이에 대해 2가지 이상을 진술할 수 있다.
대상자는 2일 이내 장 절제식이에 대한 질문이 2개 이하로 줄어든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대상자가 교육받은 내용에 대해 5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교육 요구도를 사정한다.
→ 대상자가 어떤 교육을 필요로 하는지 알기 위함이다.
② 장 절제식이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 대상자의 지식 정도를 사정함으로써 필요한 교육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치료적
계획
① 식스트레스가 되는 자극을 피하도록 한다.
→ 스트레스는 통증을 유발한다.
② 단백질 반찬은 충분히 섭취하도록 한다.
→ 충분한 단백질 공급은 정상 세포의 회복 속도가 빨라지도록 한다.
③ 장에 자극이 되는 맵거나 짠 식이는 피하도록 한다.
→ 장에 자극을 줄 경우 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
④ 수분의 지나친 섭취를 피하도록 한다.
→ 대장절제 후 수분 흡수의 능력이 저하기 때문이다.
교육적
계획
① 책자를 이용하여 장 절제식이에 대해 교육한다.
→ 대상자의 장 절제식이와 관련된 지식을 충족시켜줄 수 있다.
② 장 절제 환자 영양교육에 참여시킨다.
→ 교육에 참여함으로써 대상자에게 필요한 지식을 충족시켜 줄 수 있다.
#3 장 절제식이와 관련된 지식부족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9.08.21
  • 저작시기201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9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