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한·EU의 외교 관계
Ⅲ. EU의 중요성 - 한·EU FTA
1. 한·EU FTA 추진 배경 및 과정
2. 한·EU FTA 체결을 통한 경제적 효과
Ⅳ. 결론
참고문헌
Ⅱ. 한·EU의 외교 관계
Ⅲ. EU의 중요성 - 한·EU FTA
1. 한·EU FTA 추진 배경 및 과정
2. 한·EU FTA 체결을 통한 경제적 효과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프로그램·ERASMUS MUNDUS 프로그램 등의 문화적 측면,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견제할 수 있는 파트너로서 EU의 역할 등 정치적 측면도 존재하며 이를 통해 비경제적 부분에서도 한국 대외 관계에 있어 EU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EU는 한반도 문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표명하고 있으며 인도적 원조·개발지원·남북간 대화를 적극 지지하는 등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또한, EU는 민주주의·인권 등의 가치를 한국과 공유하고 있으며, 한국과의 관계 확대를 원하고 있다. 계속해서 변화하는 세계 질서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가 한국에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테러·기후변화·국제범죄 등 글로벌 이슈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EU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야한다.
《참 고 문 헌》
김득갑, “한·EU FTA의 주요 쟁점과 협상전략” , 『삼성경제연구소』 2007
김시홍, “한EU 관계의 발전과 전망” , 『유럽연구』 제 27권 3호, 1-22, 2009,
명진호정재화, “한 EU FTA의 대EU 수출 확대 효과 분석” , 『국제지역연구』 제 16권 제 3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123-146, 2012
박순찬 외, “FTA 득과 실: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2001
방청록, 마민호, “EU의 대 남북한 관계에 나타난 대외정책의 특징과 이론적 함의 : 시민적 권력
과 규범적 권력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유럽연구』 제 32권 1호, 161-183,
2014
브뤼셀·EU 제 11회 세계한민족포럼 논문집, “EU통합의 대변혁과 한반도 통합 패러다임” , 2010
송병준, “유럽연합 공동통상정책(CCP)의 변화와 한-EU FTA 체결배경” , 『EU연구』 제 43호, 99-
131, 2016
윤성욱, “자유무역협정FTA)의 정치경제학적 분석:한-EU FTA를 통해 본 한국의 전략적 중요성” ,
『유라시아연구』 제 5권 제 1호, 아시아유럽미래학회, 51-65, 2008
윤성욱, “EU의 법률서비스시장 통합과 한-EU FTA 법률서비스 협상과의 관계 분석” , 『유럽연
구』 제27권 3호, 225-257, 2009
윤성욱, “한국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파트너 선택의 정치경제학적 분석” , 『국제정치논총』
제 49집 4호, 한국국제정치학회, 107-137, 2009
이영기, “한EU FTA의 대응 과제와 전망 , 『한독사회과학논총』 제 16권 제 2호, 한독사회과학회,
345-369, 2006
이종규, “한·EU FTA의 주요 타결 내용과 시사점” , 『삼성경제연구소』 2009
장현정, “유럽연합(EU)의 아시아 통상정책에 관한 연구:한국과의 경제협력을 중심으로”, 1999
조미진, 김태황, “한EU FTA 발효에 따른 경제적 성과 분석”, 2012
최진우, “EU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구축 현황과 한·EU 관계” , 『유럽연구』 제 28권 3호, 55-78,
2010
현대경제연구원, “한·EU, 한·미 FTA의 성과 비교 분석” , 15-17호, 2015
EU는 한반도 문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표명하고 있으며 인도적 원조·개발지원·남북간 대화를 적극 지지하는 등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또한, EU는 민주주의·인권 등의 가치를 한국과 공유하고 있으며, 한국과의 관계 확대를 원하고 있다. 계속해서 변화하는 세계 질서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가 한국에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테러·기후변화·국제범죄 등 글로벌 이슈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EU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야한다.
《참 고 문 헌》
김득갑, “한·EU FTA의 주요 쟁점과 협상전략” , 『삼성경제연구소』 2007
김시홍, “한EU 관계의 발전과 전망” , 『유럽연구』 제 27권 3호, 1-22, 2009,
명진호정재화, “한 EU FTA의 대EU 수출 확대 효과 분석” , 『국제지역연구』 제 16권 제 3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123-146, 2012
박순찬 외, “FTA 득과 실: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2001
방청록, 마민호, “EU의 대 남북한 관계에 나타난 대외정책의 특징과 이론적 함의 : 시민적 권력
과 규범적 권력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유럽연구』 제 32권 1호, 161-183,
2014
브뤼셀·EU 제 11회 세계한민족포럼 논문집, “EU통합의 대변혁과 한반도 통합 패러다임” , 2010
송병준, “유럽연합 공동통상정책(CCP)의 변화와 한-EU FTA 체결배경” , 『EU연구』 제 43호, 99-
131, 2016
윤성욱, “자유무역협정FTA)의 정치경제학적 분석:한-EU FTA를 통해 본 한국의 전략적 중요성” ,
『유라시아연구』 제 5권 제 1호, 아시아유럽미래학회, 51-65, 2008
윤성욱, “EU의 법률서비스시장 통합과 한-EU FTA 법률서비스 협상과의 관계 분석” , 『유럽연
구』 제27권 3호, 225-257, 2009
윤성욱, “한국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파트너 선택의 정치경제학적 분석” , 『국제정치논총』
제 49집 4호, 한국국제정치학회, 107-137, 2009
이영기, “한EU FTA의 대응 과제와 전망 , 『한독사회과학논총』 제 16권 제 2호, 한독사회과학회,
345-369, 2006
이종규, “한·EU FTA의 주요 타결 내용과 시사점” , 『삼성경제연구소』 2009
장현정, “유럽연합(EU)의 아시아 통상정책에 관한 연구:한국과의 경제협력을 중심으로”, 1999
조미진, 김태황, “한EU FTA 발효에 따른 경제적 성과 분석”, 2012
최진우, “EU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구축 현황과 한·EU 관계” , 『유럽연구』 제 28권 3호, 55-78,
2010
현대경제연구원, “한·EU, 한·미 FTA의 성과 비교 분석” , 15-17호, 2015
추천자료
유럽연합(EU)의 탄생과 발전, 그리고 우리나라와의 관계에 관한 고찰
동북아 경제통합에 대한 전망(한중일을 중심으로)
일본경제의 현황 및 통상 정책 분석
한칠레 FTA(자유무역협정) 의의,효과, 한칠레 FTA(자유무역협상) 추진경과, 한칠레 FTA(자유...
[방통대 불어불문과 프랑스어와유럽]유럽연합(EU)의 형성과정과 유럽연합을 바라보는 여러 나...
무역관계법 보고서
한,중 수교 이전과 이후에 한반도 국제정치 조사분석
[기업 경제][기업 경제주권][기업 경제발전][기업 경제불안][기업 경제환경][기업 경제문제][...
유럽연합의 형성과정과 현황
,브렉시트의 의미와 배경 경제적 관점에서 Brexit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