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합리모형
II. 만족모형
III. 점증모형
IV. 공공선택모형
V. 혼합모형
VI. 쓰레기통모형
* 참고문헌
II. 만족모형
III. 점증모형
IV. 공공선택모형
V. 혼합모형
VI. 쓰레기통모형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절충한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VI. 쓰레기통 모형
쓰레기통 모형(garbage can model)은 정책결정이 합리성, 협상, 타협 등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조직화된 혼란상태 속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흐름에 따라 우연히 합쳐질 때 정책결정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정책결정은 네 가지 흐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마치 갖가지 쓰레기가 우연히 한 쓰레기통 속에 모이듯이 이러한 네 가지 흐름이 서로 다른 시각에 각각 통 안에 들어와서 우연히 동시에 합쳐질 때 정책결정이 이루어진다고 본 것이다.
쓰레기통 모형에서 네 가지 흐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결정권자가 정책결정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의 흐름이다. 둘째,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어 해결을 요하는 정책문제의 흐름이다. 셋째, 사회적 문제의 해결방안인 정책대안의 흐름이다. 넷째, 정책결정과정에서 참여하는 참여자들의 흐름이다.
따라서 쓰레기 모형은 네 가지 흐름이 상호 관련 없이 독자적으로 흐르다가 우연히 한 시점에서 결합하여 정책결정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이 쓰레기통 모형은 사회복지전문가가 사회복지문제 해결을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할 것인지에 관하여 많은 시사점을 준다. 사회복지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대안들을 틀림없이 연구하고 그 문제가 이슈화를 통해 정책의제화 되었을 때 재빨리 결합시켜 정책결정의 기회를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이 모형에서 가정하고 있는 조직화된 혼란상태는 오늘날 공공조직 교육기관 등에서 쉽게 발견될 수 있는 것인 만큼 그 실용성이 인정된다고 하겠지만 그러한 상태가 조직의 모든 결정형태에서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일부분의 조직에서 나타나는 결정형태를 설명하는 데 적합할 뿐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VI. 쓰레기통 모형
쓰레기통 모형(garbage can model)은 정책결정이 합리성, 협상, 타협 등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조직화된 혼란상태 속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흐름에 따라 우연히 합쳐질 때 정책결정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정책결정은 네 가지 흐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마치 갖가지 쓰레기가 우연히 한 쓰레기통 속에 모이듯이 이러한 네 가지 흐름이 서로 다른 시각에 각각 통 안에 들어와서 우연히 동시에 합쳐질 때 정책결정이 이루어진다고 본 것이다.
쓰레기통 모형에서 네 가지 흐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결정권자가 정책결정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의 흐름이다. 둘째,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어 해결을 요하는 정책문제의 흐름이다. 셋째, 사회적 문제의 해결방안인 정책대안의 흐름이다. 넷째, 정책결정과정에서 참여하는 참여자들의 흐름이다.
따라서 쓰레기 모형은 네 가지 흐름이 상호 관련 없이 독자적으로 흐르다가 우연히 한 시점에서 결합하여 정책결정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이 쓰레기통 모형은 사회복지전문가가 사회복지문제 해결을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할 것인지에 관하여 많은 시사점을 준다. 사회복지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대안들을 틀림없이 연구하고 그 문제가 이슈화를 통해 정책의제화 되었을 때 재빨리 결합시켜 정책결정의 기회를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이 모형에서 가정하고 있는 조직화된 혼란상태는 오늘날 공공조직 교육기관 등에서 쉽게 발견될 수 있는 것인 만큼 그 실용성이 인정된다고 하겠지만 그러한 상태가 조직의 모든 결정형태에서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일부분의 조직에서 나타나는 결정형태를 설명하는 데 적합할 뿐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