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대상기관
2. 기준(평가 내역)
3. 상황 기술 및 분석
4. 평가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대상기관
2. 기준(평가 내역)
3. 상황 기술 및 분석
4. 평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니라 지역사회에 기여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위를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동아리 명
회원수
모임주기
동아리 목적
영등포 경제와 미술놀이
15명
월4회
지역사회 어린이들을 위한 경제교육 재능기부
한국전통 악기 장구 동아리
15명
월4회
재능기부 공연, 서울시 교육청주관 평생학습축제 공연 참여
함께 사는 따뜻한 영등포
10명
월2회
지역사회 내 취약계층 여가생활 증진 활동
영등포 비콤
10명
월4회
시니어 중심의 지역사회 봉사활동
마음 다스름
20명
월1회
분노관리 학습 및 사회봉사, 재능기부 활동
보나베띠(맛있어요)
10명
월2회
소외계층 대상 자원봉사 및 재능기부, 경력단절여성 및 은퇴자 대상 취업정보 제공 및 교육
영등포문화마실
5명
월2회
지역사회 내 문화관광자원 개발
네모세상
11명
월4회
지역주민을 위한 사진전 개최
뜨개사랑
15명
월4회
지역사회 내 뜨개질 재능기부 및 봉사활동
어울림
25명
월3회
소외계층, 사회격리계층을 위한 공연 봉사활동
Ⅲ. 결론
지금까지 영등포 평생학습정보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습동아리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학습동아리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있는 바에 대해 4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상황분석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미국의 학습동아리는 지역사회와 실천과 관련된 측면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학습동아리는 민주적이고 상당히 참여지향적인 토론이 이루어지는 작은 그룹으로 그 안에서 많은 시민들이 그들의 지역사회에 당면한 문제에 대해서 토론하고 실천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정민승, 허준 저(2016), 평생교육경영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174쪽
이와 같은 미국의 학습동아리는 우리 사회의 학습동아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하고 있다. 학습동아리가 지역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학습을 넘어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을 전개할 때 비로소 지역 사회 내에서 평생학습의 중요성이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동아리의 활발한 활동 전개는 지역 사회 내에서 더 많은 지역 주민들이 학습동아리에 관심을 가지고 모임에 참여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앞으로 평생교육기관에서는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여 지역 사회 내 학습동아리가 활성화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정민승, 허준 저(2016), 평생교육경영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영등포 평생학습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lll.ydp.go.kr)
동아리 명
회원수
모임주기
동아리 목적
영등포 경제와 미술놀이
15명
월4회
지역사회 어린이들을 위한 경제교육 재능기부
한국전통 악기 장구 동아리
15명
월4회
재능기부 공연, 서울시 교육청주관 평생학습축제 공연 참여
함께 사는 따뜻한 영등포
10명
월2회
지역사회 내 취약계층 여가생활 증진 활동
영등포 비콤
10명
월4회
시니어 중심의 지역사회 봉사활동
마음 다스름
20명
월1회
분노관리 학습 및 사회봉사, 재능기부 활동
보나베띠(맛있어요)
10명
월2회
소외계층 대상 자원봉사 및 재능기부, 경력단절여성 및 은퇴자 대상 취업정보 제공 및 교육
영등포문화마실
5명
월2회
지역사회 내 문화관광자원 개발
네모세상
11명
월4회
지역주민을 위한 사진전 개최
뜨개사랑
15명
월4회
지역사회 내 뜨개질 재능기부 및 봉사활동
어울림
25명
월3회
소외계층, 사회격리계층을 위한 공연 봉사활동
Ⅲ. 결론
지금까지 영등포 평생학습정보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습동아리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학습동아리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있는 바에 대해 4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상황분석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미국의 학습동아리는 지역사회와 실천과 관련된 측면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학습동아리는 민주적이고 상당히 참여지향적인 토론이 이루어지는 작은 그룹으로 그 안에서 많은 시민들이 그들의 지역사회에 당면한 문제에 대해서 토론하고 실천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정민승, 허준 저(2016), 평생교육경영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174쪽
이와 같은 미국의 학습동아리는 우리 사회의 학습동아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하고 있다. 학습동아리가 지역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학습을 넘어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을 전개할 때 비로소 지역 사회 내에서 평생학습의 중요성이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동아리의 활발한 활동 전개는 지역 사회 내에서 더 많은 지역 주민들이 학습동아리에 관심을 가지고 모임에 참여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앞으로 평생교육기관에서는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여 지역 사회 내 학습동아리가 활성화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정민승, 허준 저(2016), 평생교육경영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영등포 평생학습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lll.ydp.go.kr)
추천자료
(평생교육경영론 공통) 평생교육기관 하나를 선정하여(개인선택) 다음 중 한 영역에 대하여 ...
[인문과학] 평생교육경영론)평생교육기관 하나를 선정하여(개인선택) 다음 중 한 영역에 대하...
평생교육경영론)평생교육기관 하나를 선정하여(개인선택) 다음 중 한 영역에 대하여 상황분석...
평생교육경영론)평생교육기관 하나를 선정하여(개인선택) 다음 중 한 영역에 대하여 상황분석...
평생교육경영론)평생교육기관 하나를 선정하여(개인선택) 다음 중 한 영역에 대하여 상황분석...
[방통대 2018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평생교육경영론] 평생교육기관 하나를 선정하여(개인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