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환경)태양광발전이 환경을 파괴한다는 여러 주장과 그것이 사실인지 여부에 대해 조사해보시오 2112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명과환경)태양광발전이 환경을 파괴한다는 여러 주장과 그것이 사실인지 여부에 대해 조사해보시오 211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전자파로 인한 환경파괴
2) 빛으로 인한 환경파괴
3) 온도에 따른 환경파괴
4) 수상태양광발전시설의 환경파괴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향상된다. 하지만 태양광발전소가 산림에 설치될 경우, 그 면적이 좁아지고 산림공간이 작은 공간으로 나누어지게 되고 산림과 산림 간의 연결이나 각 서식지간의 단절을 야기하여 산림이 고립될 가능성도 있다. 사공정의, 정옥식, 권오성, 「태양광발전시설의 문제점과 환경적 대응 전략」, 『태양에너지』 16(2), 2018, 13쪽-20쪽
이렇게 된다면 산림의 생태계는 점점 파괴되는 것이다. 산림은 탄소 흡수량이 높고 산소 배출량이 높은 환경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태양광발전시설 설치로 인해 이러한 산림이 파괴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도 안 되며 깊게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이다. 환경문제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환경문제를 만드는 격이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한 뒤 폐쇄할 경우도 미리 대비하여야 한다. 폐시설로 방치하게 된다면 그것도 환경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태양광발전시설로 인한 환경파괴문제로 인해 시설을 폐쇄하게 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시설을 모두 철거하더라도 환경문제는 남아있을 것이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투자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태양광발전과 관련한 환경문제는 끊임없이 많다. 태양광발전시설뿐만 아니라 다른 신재생에너지발전시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어떤 신재생에너지발선시설이라도 새로운 시설을 설치하여야하고 그에 따른 환경변화와 문제점들은 생길 것이다. 이것을 어떻게 예측하고 대비하고 해결하느냐의 문제이지 신재생에너지 자체의 문제점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신재생에너지가 화석에너지처럼 오래된 에너지가 아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논의가 많은 것은 당연하고 어떻게 본다면 다행스러운 일이다. 사회가 환경을 생각할 정도로 발전하였고 또 지속가능한 지구를 만들기 위해 전 세계가 노력한다는 것은 미래를 생각한다면 정말 반가운 일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1) 송기인, 「RPS에서 태양광 발전산업 현황과 전망」, 『기계저널』 52(3), 2012, 42쪽-46쪽
2) 사공정의, 정옥식, 권오성, 「태양광발전시설의 문제점과 환경적 대응 전략」, 『태양에너지』 16(2), 2018, 13쪽-20쪽
3) 전인수, 「고압선로 전자파 환경영향평가의 평가범위 설정의 필요성」, 『환경포럼』 제 8권 9호, 2004
4) 강종식, 「태양광 발전소 전자파 환경 조사 연구」, 『전자파기술』 23(1), 2012, 21쪽-36쪽
5), 10) 윤희상, 신우균 박유나, 송형준, 황혜미, 주영철, 고석환, 강기환, 「태양광발전설비 주변 환경 공해 측정」,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110쪽
6) 강기환, 신우균, 임종록, 윤희상, 김용성, 고석환, 주영철, 「태양광발전설비 주변 공해 유해성 연구」,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51쪽
7) 강기환, 고석환, 송형준, 황혜미, 주영철, 「태양광설비의 고장과 주변 환경 공해」, 『태양에너지』 15(2), 2017, 32쪽-39쪽
8) 노태호, 단호정,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현황과 정책적 고려사항」, 『환경포럼』, 2015
  • 가격2,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4.08
  • 저작시기201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1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