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지역 연구 ) 러시아의 신동방정책 2430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외지역 연구 ) 러시아의 신동방정책 2430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러시아 신동방정책
1.신동방정책의 시작
2. 한국과의 연관성
Ⅱ.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성장가능성
1.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경제 성장 전망
2. 아시아 태평양 경제 안정화 방향
Ⅲ.남북통일의 가치 투자
1.러시아 신동방정책과 남북통일
2. 한반도 진출을 위한 러시아의 노력
Ⅳ.중국의 영향력 확산의 대한 견제
1.러시아의 아시아 태평양 진출
1)중국으로의 진출 필요성
2)중국의 영향력과 그에 따른 어려움
Ⅴ.결론
Ⅵ.참고문헌

본문내용

인 상승세를 보이는 아시아 경제와의 교류와 협력이 가져다 줄 결과를 고려했을 때 러시아의 신동방정책이 가져올 효과를 무시할 수 없다. 또한 기후의 변화로 인해 러시아가 가장 많은 점유권을 가진 북극 대륙의 개발과 개발로 인한 경제적 성장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농후한 시점인 지금 러시아의 신동방정책의 추진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어쨌든 신동방정책은 동북아시아 국가들과의 다자적인 협력을 유기적으로 이루어내야만 성공적으로 수행이 가능한 정책이다. 한국은 이러한 러시아의 신동방정책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이해관계가 맞는 부분에 대한 협력을 통하여 경제적인 발전을 이룰 방향을 계속해서 고려해야 할 것이다.
Ⅵ.참고문헌
중국 헤이룽장성과 러시아 극동지방의 협력과 갈등 : 지방 차원의 국제관계에 대한 일 고찰, 강흥량, 학위논문(석사)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e60774fa5d175f46ffe0bdc3ef48d419#redirect
러시아, 신동방정책 추진 이유는?, 극동으로 달려오는 러시아! 2, 이용권, 2월 통권 374호, 2015
http://www.ipa.re.kr/ipa2008.artyboardv15/mboard.asp?exec=view&strBoardID=UnityKorea_06&intCategory=&strSearchCategory=&strSearchWord=&intPage=&intSeq=20885&SearchYear=2015&SearchMonth=2
IMF 아시아·태평양지역 경제전망보고서 주요내용,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6
http://www.kipf.re.kr/TaxFiscalPubInfo/TaxFiscalPubTrends_InterTrends-View/IMF-%EC%95%84%EC%8B%9C%EC%95%84%C2%B7%ED%83%9C%ED%8F%89%EC%96%91%EC%A7%80%EC%97%AD-%EA%B2%BD%EC%A0%9C%EC%A0%84%EB%A7%9D%EB%B3%B4%EA%B3%A0%EC%84%9C-%EC%A3%BC%EC%9A%94%EB%82%B4%EC%9A%A9/523910
러시아를 주목하는 이유?, 극동으로 달려오는 러시아! 1, 최태강, 2015
http://www.ipa.re.kr/unitykorea/contents.asp?MboardID=UnityKorea_06&SearchYear=2015&SearchMonth=2&exec=list&strBoardID=UnityKorea_06&intCategory=0&strSearchCategory=|s_name|s_subject|&strSearchWord=&intPage=1
\"중국과 러시아, 협력과 견제의 이중주\" [전문가 진단] 푸틴 방중의 의미, 곽재훈 기자 외 1명, 프레시안, 2011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no=37246#09T0
[이슈브리프]러시아 신동방정책의 현재와 미래, 이상준, 여시재, 2017
https://www.yeosijae.org/posts/13
러시아 극동지역의 개발현황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 철도 및 항만 인프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ussian Far East and Its Implication for South Korea: Focusing on the Railroad and Port Logistics Infrastructure Development, 학위논문(석사)-- 인천대학교 대학원 : 러시아통상전공 2015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790713424b196ed8ffe0bdc3ef48d419#redirect
중국의 변화가 동북아 세력구도에 미치는 영향 = How does the change of China affect the North-East Asia’s political situation, 심명성, 경북대학교 국제대학원, 2012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3a7ac5e8f29f0bb4ffe0bdc3ef48d419#redirect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4.15
  • 저작시기201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14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