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사회적 사정
(2) 역학적, 행동적, 환경적 사정
(3) 교육 및 생태학적 사정
(4) 행정 및 정책적 사정, 중재배열
(5) 수행단계
3. 결론
(1) 과정평가
(2) 영향평가
(3) 결과평가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사회적 사정
(2) 역학적, 행동적, 환경적 사정
(3) 교육 및 생태학적 사정
(4) 행정 및 정책적 사정, 중재배열
(5) 수행단계
3. 결론
(1) 과정평가
(2) 영향평가
(3) 결과평가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음 회기에 대해 소개한다.
2~3회 차에서는 스트레스관리를 위한 활동을 하게 된다. 2회 차 교육에서의 치료적 요소는 과제확인 및 나누기, 명상, 알아차리고 표현하기, 당위주의, 자동적 사고이다. 먼저 긴장을 이완하기 위해 명상을 한 후에, 1회 차 교육에서 제시한 과제를 확인하고 서로 과제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 그리고 스트레스에 관한 당위주의 교육 및 워크북 활동, 자동적 사고 교육 및 워크북 활동을 한 후, 소감을 나눈 후에 과제를 제시한다. 과제는 오늘 교육을 통해 느낀 점과 배운 내용을 실천해보는 것이다.
3회 차 교육에서의 치료적 요소는 과제 확인 및 나누기, 명상, 알아차리고 표현하기, 인지적 탈융합, 장단점 스토리텔링 이다. 긴장 이완과 과제 확인 및 나누기는 2회차와 같다. 그리고 인지적 탈융합 교육 및 워크북 활동, 장단점 스토리텔링 및 워크북 활동을 실시한 후 교육에 대한 소감을 나누어본다.
3. 결론
(1) 과정평가
프로그램 실행의 정도를 평가해보면, 거의 대부분의 대상자가 총 3회의 프로그램에 참여를 하였으며, 2회 이상 불참한 경우는 없었다. 그리고 1회 불참한 경우는 24명으로 이는 총 조사대상 695명 중에 3.45%이며 5% 미만에 해당하므로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교육자를 통해 대부분의 참가자가 프로그램에 성실하게 참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영향평가
교육 프로그램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성향요인, 영향요인, 강화요인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 조직의 지지, 조직몰입도가 1회차-2회차(t=2.512, p<.10), 2회차-3회차(t=3.000, p<.10), 1회차-3회차(t=2.922, p<.10)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보건교육의 회기가 진행될수록 성향요인, 영향요인, 강화요인의 점수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REBT, ACT, 마음챙김 기법을 통해 자기효능감에 대해 인식하고, 스트레스관리 방안을 마련함에 따라 조직의 지지 수준이 높아진다고 인식하였으며, 그에 따른 조직몰입 또한 높아진 것으로 파악된다.
(3) 결과평가
참가자들은 기존에 회사에서 경험한 직원 스트레스 관련 대처 방안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하여 스트레스에 대해 직접 탐색하고 그 내용을 서로 자유롭게 주고받은 상호 피드백 등의 과정을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경험 등이 매우 좋았다고 보고하였다. 직장에서 비합리적인 사고를 하는 각자의 모습을 당위주의를 통해 알게 되었으며 앞으로 같은 상황이 되풀이 되어 스트레스가 생길 때는 인지적 탈융합을 통해 대처할 것임을 보고하는 참가자들도 있었다. 참가자 중 일부는 마음챙김에 기반한 명상을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몸과 마음이 가벼워졌다고 하였다. 몇몇 참가자는 해당 프로그램을 직장 동료에게 추천할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회사에 본 프로그램을 추천하여 모든 직원들을 대상으로 교육하고 싶다는 보고도 있었다. 그리고 단기 집중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시도하여 직장인들이 참석하기에 부담이 적은 프로그램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그램을 기업에서 장기적으로 마련한다면 감정노동 직장인의 스트레스 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PRECEDE 모형을 적용한 콜센터 감정노동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백종태, 2017
http://www.riss.kr/link?id=T14561407
단기집중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직장인 스트레스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최승경, 2015
http://www.riss.kr/link?id=T13816995
2~3회 차에서는 스트레스관리를 위한 활동을 하게 된다. 2회 차 교육에서의 치료적 요소는 과제확인 및 나누기, 명상, 알아차리고 표현하기, 당위주의, 자동적 사고이다. 먼저 긴장을 이완하기 위해 명상을 한 후에, 1회 차 교육에서 제시한 과제를 확인하고 서로 과제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 그리고 스트레스에 관한 당위주의 교육 및 워크북 활동, 자동적 사고 교육 및 워크북 활동을 한 후, 소감을 나눈 후에 과제를 제시한다. 과제는 오늘 교육을 통해 느낀 점과 배운 내용을 실천해보는 것이다.
3회 차 교육에서의 치료적 요소는 과제 확인 및 나누기, 명상, 알아차리고 표현하기, 인지적 탈융합, 장단점 스토리텔링 이다. 긴장 이완과 과제 확인 및 나누기는 2회차와 같다. 그리고 인지적 탈융합 교육 및 워크북 활동, 장단점 스토리텔링 및 워크북 활동을 실시한 후 교육에 대한 소감을 나누어본다.
3. 결론
(1) 과정평가
프로그램 실행의 정도를 평가해보면, 거의 대부분의 대상자가 총 3회의 프로그램에 참여를 하였으며, 2회 이상 불참한 경우는 없었다. 그리고 1회 불참한 경우는 24명으로 이는 총 조사대상 695명 중에 3.45%이며 5% 미만에 해당하므로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교육자를 통해 대부분의 참가자가 프로그램에 성실하게 참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영향평가
교육 프로그램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성향요인, 영향요인, 강화요인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 조직의 지지, 조직몰입도가 1회차-2회차(t=2.512, p<.10), 2회차-3회차(t=3.000, p<.10), 1회차-3회차(t=2.922, p<.10)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보건교육의 회기가 진행될수록 성향요인, 영향요인, 강화요인의 점수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REBT, ACT, 마음챙김 기법을 통해 자기효능감에 대해 인식하고, 스트레스관리 방안을 마련함에 따라 조직의 지지 수준이 높아진다고 인식하였으며, 그에 따른 조직몰입 또한 높아진 것으로 파악된다.
(3) 결과평가
참가자들은 기존에 회사에서 경험한 직원 스트레스 관련 대처 방안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하여 스트레스에 대해 직접 탐색하고 그 내용을 서로 자유롭게 주고받은 상호 피드백 등의 과정을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경험 등이 매우 좋았다고 보고하였다. 직장에서 비합리적인 사고를 하는 각자의 모습을 당위주의를 통해 알게 되었으며 앞으로 같은 상황이 되풀이 되어 스트레스가 생길 때는 인지적 탈융합을 통해 대처할 것임을 보고하는 참가자들도 있었다. 참가자 중 일부는 마음챙김에 기반한 명상을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몸과 마음이 가벼워졌다고 하였다. 몇몇 참가자는 해당 프로그램을 직장 동료에게 추천할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회사에 본 프로그램을 추천하여 모든 직원들을 대상으로 교육하고 싶다는 보고도 있었다. 그리고 단기 집중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시도하여 직장인들이 참석하기에 부담이 적은 프로그램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그램을 기업에서 장기적으로 마련한다면 감정노동 직장인의 스트레스 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PRECEDE 모형을 적용한 콜센터 감정노동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백종태, 2017
http://www.riss.kr/link?id=T14561407
단기집중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직장인 스트레스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최승경, 2015
http://www.riss.kr/link?id=T13816995
추천자료
[보건교육 A형] 감정노동 직장인의 스트레스관리에 대한 보건교육 : 감정노동
보건교육C형 2019-감정노동 직장인의 스트레스관리에 대한 보건교육 그린의 PRECEDE-PROCEED ...
보건교육C형 2019-감정노동 직장인의 스트레스관리에 대한 보건교육 그린의 PRECEDE-PROCEED ...
보건교육C형] 감정노동 직장인의 스트레스관리에 대한 보건교육 -보건교육C형 간호사 감정노동
보건교육C형 (방송통신대 2019) 감정노동직장인의 스트레스관리에 대한 보건교육 보건교육C형...
[보건교육C형] 감정노동 직장인의 스트레스관리에 대한 보건교육 보건교육 그린의 PRECEDE-PR...
2019년 방송대 보건교육C형] 감정노동 직장인의 스트레스관리에 대한 보건교육 -보건교육C형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