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요약
2. 독후감
2. 독후감
본문내용
흥미로웠다. 정신 건강에 있어 정상을 규정한 범위에 대해서가 특히 흥미롭다. 프로이트는 약간의 정신 문제 증상을 보이는 사람도 정상인 것이라고 규정했다. 프로이트에게는 강박증이나 편집증 이런 것을 보이는 사람도 정상이다. 그런 증상을 보이는 사람은 그저 갈등이 많이 표출될 뿐 정상인 사람과 크게 다르지 않다. 오히려 갈등이 없다는 것이 오히려 비정상이다. 인간은 모두 갈등을 하며 살아가고 갈등을 겪는 인간은 정상으로 규정되며, 모든 인간은 그저 갈등을 각자 다르게 표출하며 살아가는 것뿐이다. 그러니 완벽한 삶을 사는 인간이 정상인 것이 아니다. 우리는 모두 부족하게 살아간다. 어떻게 살아가던 틀린 인생을 사는 것이 아니다. 각자 다른 답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니 누구의 삶도 완벽하지 않고 다만 티를 내지 않아서 결핍이 없어 보이는 것이라는 생각까지 들었다. 개인적으로 성격적 결함이 많다고 생각하는 나에게 프로이트의 주장은 큰 위로가 되었다. 나의 존재만으로 충분히 행복한 그런 삶을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인 슬픔이나 상처도 보편적인 것으로 만들어 치유될 수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 또한 나는 평소에 꿈에 대해 의미부여를 많이 했다. 하지만 내 무의식이 표출되는 방식이라는 말에 꿈에 큰 의미를 두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을 했다. 읽으면서도 꿈과 무의식에 대해 공감하게 된 것이, 힘든 일을 겪을 때에는 더 힘들고 슬픈 꿈을 꾸었다. 원하는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무의식의 표현이 꿈으로 나오는 것이다. 무의식이라는 부분이 과학적으로 증명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무의식을 대상으로 연구하고 치료한다는 부분이 새롭게 느껴졌다. 하지만 반면, 이 이론에 따른다면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에게도 무의식을 적용해 정상으로 치부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범죄자들의 범죄 행위는 사람을 죽이고 싶은 욕구나, 물건을 훔치고 싶은 욕구 등이 초자아의 사회에서 배운 도덕적 억압을 이겨내고 표출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과연 이 갈등의 결과도 정상이라고 말 할 수 있을까? 또한 나에게도 사람을 죽이거나 범법을 저지르는 행동을 갈망하는 무의식이 있을지 궁금해졌다. 이렇게 생각하니 정신이라는 것은 정말 복잡하게 보인다. 내가 하는 행동이 정말 내가 하고 싶은 행동인지 의식에 의해서 하는 행동인지, 초자아의 통제를 받은 것인지 알 수 없다고도 생각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편으로는 무의식에 대해서 거부감도 생겼다. 무의식이라는 것은 온전히 주변 환경이나 어린 시절 겪은 일에서 쌓이는 것이고, 어린 시절의 인간은 큰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자라난 환경이나 교육 내용들이 한 인간 ‘나’를 이루는 본질이 되었다는 생각을 하니 과거의 내 주변에 대한 원망이 생기고 복잡한 마음이 든다. 한편으로는 내 선택이 아니라 갈등에서 나온 행동이기 때문에 잊고 살고 싶은 마음이 들다가도 다 어린 시절의 영향으로 정해진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읽으면서 삶에 대해 많은 회의감이 들게 하는 내용이었다.
추천자료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B형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 -미셸 푸코가 배운 ‘자기’의 ...
철학의 이해 D형 처음 읽는 독일 현대철학 프로이트
철학의이해)이 책들은 여러 주제로 구성된 책들입니다 이 중 한 권을 택해 처음 읽는 영미 현...
철학의 이해 = ) 이 책들은 여러 주제로 구성된 책들입니다(처음 읽는 영미 현대철학 철학아...
[독후감] 교양이란 무엇인가
도서 요약 - 교양이란 무엇인가 (동경대 교양학부의 독서론 강의)
동서양고전의이해)아래 도서들 중 한 권을 읽고 과제 작성시 지시사항에 따라 작성하십시오 ...
신화의세계 ) 아래 도서들 중 한 권을 읽고 과제 작성시 지시사항에 따라 작성하십시오 일...
동서양고전의 이해) 아래 도서들 중 한 권을 읽고 작성시 지시사항에 따라 작성하십시오 [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