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과 글쓰기 )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장단점(프로듀스101)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말과 글쓰기 )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장단점(프로듀스10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회의 이데올로기가 생성되기도 한다. 권력에 의한 가치관 확립에 미디어가 사용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대상을 극적으로 격하하거나 미화시키는 행위는 자제해야하며 미디어의 권력으로 사람들의 생각이 좌지우지된다는 사실도 반드시 인지하여야 겠다. 또한 생산자의 의도에 대해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도 필요하다.
<프로듀스101> 프로그램은 국민의 참여를 유도하여 모든 경쟁의 순위가 매겨지고 다음 프로그램 형성 때도 시청자의 의견이 반영되어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평가방식은 뉴미디어 기술의 실행과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한 시스템인 것이다. 시청자가 프로그램 제작과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프로듀서가 된 것이다.
이런 긍정적인 면이 더욱 콘텐츠에 적용되도록 성의의 경쟁이 강조되며, 협조와 공존의 분위기가 형성이 되고, 성공을 위한 노력의 과정이 악의 편집 없이 진실 되게 표현하는 과정이 제작자에게는 필요할 것이다.
또한 출연진들의 성적인 요소들 보다 노력과 감성적인 부분이 중요시되어 화제성이 높고 파급력이 높은 콘텐츠가 부정적인 영향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많이 미쳐야 되겠다. 실제로 이 프로그램을 통해 성공적인 아이돌 데뷔를 한 참가자들이 있다. 대중이 불편함 없이 프로그램과 참여자들을 대하도록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겠다.
참고문헌*
김지민(2017). 서바이벌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경쟁구도 포맷에 대한 사회기호론적 연구 : <프로듀스 101>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http://www.riss.kr/link?id=T14447271
YU LULU(2018). <프로듀스 101> 시즌2의 서사연구 : 경쟁과 육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http://www.riss.kr/link?id=T14899430
유문정(2018). 육성형 프로그램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 〈Idol M@ster〉와 〈프로듀스 101 시즌2〉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http://www.riss.kr/link?id=T14729711
이대원(2019). 담화와 정동의 공동체로서의 아이돌 팬덤에 대한 연구 : <프로듀스101 시즌2> 팬덤의 ‘팬 행동성’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http://www.riss.kr/link?id=T15073227
장해라, 조소연(2018).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관점에서 바라본<프로듀스 101 시즌2> 분석. 인문콘텐츠학회
http://www.riss.kr/link?id=A105446337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6.24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17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