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족치료이론]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
I. 사이버네틱 이론
II. 가족항상성
III. 가족규칙
IV. 순환적 인과성
V. 의사소통
VI. 가족삼각관계
VII. 가족신화
VIII. 경계
IX. 개인화와 가족갈등
* 참고문헌
I. 사이버네틱 이론
II. 가족항상성
III. 가족규칙
IV. 순환적 인과성
V. 의사소통
VI. 가족삼각관계
VII. 가족신화
VIII. 경계
IX. 개인화와 가족갈등
*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는데, 가족신화가 때로는 가족의 항상성 기능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그러나 가족관계를 위협하고 파괴할 정도로 극도의 긴장을 유발시키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가족신화는 가족상호 간 관계가 변화하지 못하도록 하며 가족의 기능을 관습적인 방법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VIII. 경계
가족은 어느 정도의 침투적인 경계를 갖고 외계와 교류할 수 있고, 적절한 가족기능을 위해 하위체계들이 자신의 경계를 유지하면서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수행하고 상호 간 교류한다. 체계가 더 복잡해질수록, 가족체계를 사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들은 가족이 개방체계로써 기능할 수 있는 능력, 가족구성원의 계급질서, 역할 분담방법과 가족 내의 행동기준, 그리고 가족과 외계와의 경계를 규정짓는 규칙 등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IX. 개인화와 가족갈등
각 개인은 모든 가족체계 내에서 각자의 위치, 가치관, 인지, 욕구 등 개인적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가족 상호 간의 관계성도 달라진다.
가족구성원 각자는 유전, 기질, 과거력, 연령, 사회체계 내에서의 역할 등으로 인해 그들이 각자 지니고 있는 개인적 지각과 신념, 욕구 등이 변화를 가져 오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가족갈등을 유발시킨다.
가족 상호 간의 갈등은 분명하게 보일 수도 있고 은밀할 수도 있다. 가족체계에서 가족상호 간 내계되어 있는 갈등을 극복하는 방법은 상호 간 개방하고 각자의 강점을 강화해야 한다.
따라서 가족갈등을 극복하는 접근방법은 첫째, 협력적으로 해결하는 방법, 둘째, 공개적 갈등을 회피하는 방법, 셋째, 갈등에 대한 경쟁적 접근방법 등이 있는데 이중 가장 좋은 방법은 가족 상호 간 협력적 방법으로 이것은 상호 간 개방적이고 강화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 사랑하는 법 / 선혜연 저 / 사계절 / 2018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그러나 가족관계를 위협하고 파괴할 정도로 극도의 긴장을 유발시키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가족신화는 가족상호 간 관계가 변화하지 못하도록 하며 가족의 기능을 관습적인 방법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VIII. 경계
가족은 어느 정도의 침투적인 경계를 갖고 외계와 교류할 수 있고, 적절한 가족기능을 위해 하위체계들이 자신의 경계를 유지하면서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수행하고 상호 간 교류한다. 체계가 더 복잡해질수록, 가족체계를 사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들은 가족이 개방체계로써 기능할 수 있는 능력, 가족구성원의 계급질서, 역할 분담방법과 가족 내의 행동기준, 그리고 가족과 외계와의 경계를 규정짓는 규칙 등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IX. 개인화와 가족갈등
각 개인은 모든 가족체계 내에서 각자의 위치, 가치관, 인지, 욕구 등 개인적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가족 상호 간의 관계성도 달라진다.
가족구성원 각자는 유전, 기질, 과거력, 연령, 사회체계 내에서의 역할 등으로 인해 그들이 각자 지니고 있는 개인적 지각과 신념, 욕구 등이 변화를 가져 오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가족갈등을 유발시킨다.
가족 상호 간의 갈등은 분명하게 보일 수도 있고 은밀할 수도 있다. 가족체계에서 가족상호 간 내계되어 있는 갈등을 극복하는 방법은 상호 간 개방하고 각자의 강점을 강화해야 한다.
따라서 가족갈등을 극복하는 접근방법은 첫째, 협력적으로 해결하는 방법, 둘째, 공개적 갈등을 회피하는 방법, 셋째, 갈등에 대한 경쟁적 접근방법 등이 있는데 이중 가장 좋은 방법은 가족 상호 간 협력적 방법으로 이것은 상호 간 개방적이고 강화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 사랑하는 법 / 선혜연 저 / 사계절 / 2018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