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는 자세를 지니고 있다. 중요한 것은 수동적 여가활동이 중독성으로 변해갈 때 나타나는 결과에 대해서 크게 우려한 점이다. 수동적 여가의 특징으로는 능동적 여가와는 달리 시작을 하는데 있어서 정신적, 육체적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것이 있다. 그러므로 여가를 단순히 ‘쉬는 것’, ‘재충전하는 것’, ‘즐거운 것’으로 받아들이는 많은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능동적 여가활동은 ‘하기 꺼려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과연 TV나 라디오 같은 여가 활동의 중독이나 습관화가 사회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칠지는 의문을 가진다. 내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바쁜 일상으로 인해서 ‘드라마 시청’은 내 주된 여가이자 스트레스 해소법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수행하는 데 큰 능력이나 실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결과적으로 큰 만족감을 느낄 순 없지만, 그 순간 만큼은 여유로부터 나오는 나만의 행복감을 충분히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몰입이라는 개념과 자세는 삶을 앞으로 나아가는 데 굉장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하지만 개인의 성향이나, 때에 따라서는 자기 개발이 없는 수동적 여가라 할 지 라도(설령 습관이나 중독화의 경우라도) 자신만의 여유와 행복을 느낀다면 굳이 배척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 이 책을 읽은 후, 다시 한 번 삶에 대한 목표의식과 의지를 짚어볼 수 있었다. 나와 같은 현대인들은 일이든 여가든 무언가를 해야 하는 상황에 자주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나의 경우에 현재에는 ‘하고 싶은 것’보다는 ‘해야만 하는 것’이 압도적으로 많다고 생각하였고, 이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려고 노력하던 시점이었다.바로 처음 그것을 바라보는 시점에 ‘하고 싶은 것’과 ‘해야만 하는 것’의 차이를 좁히는 것부터 중요한 것 같다. 그리고 나만의 목표의식과 집중력을 발휘하여 진정한 ‘몰입’의 경험을 하는 것은 나 자신의 존재 이유를 강하게 재발견 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것들이 쌓이고 쌓이면 삶 자체는 적극적, 능동적 행동과 결과들로 가득찰 것이며 자신의 삶에 대해서 큰 만족과 충만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몰입을 단순히 개인적 부분에만 쏟는 것을 떠나서, 공동체(가족, 친구 등)와 같은 인간관계에도 적용해야 한다는 점이 매우 감명깊었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말이 맞듯이, 큰 행복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곳은 바로 인간관계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주어진 모든 일을 스스로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앞으로의 인생에서 매우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바로 진정한 마음의 여유와 어떤 일에 대해서도 직접적으로 마주할 용기, 그리고 그것을 극복하는 자세인 것이다. 책에서 언급된 ‘몰입’, ‘자기목적성’, ‘운명애’등과 같이 삶을 변화시킬 힘을 지니고 있는 개념들을 통해 다시 한 번 나와 내 주변에 대해서 재 고찰을 할 수 있었다. 이 책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굉장히 많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한 사람들(즉, 잠재 독자들)에게 삶에 대한 재 희망이자 에너지가 될 수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이 책을 권장하고 싶다.
● 이 책을 읽은 후, 다시 한 번 삶에 대한 목표의식과 의지를 짚어볼 수 있었다. 나와 같은 현대인들은 일이든 여가든 무언가를 해야 하는 상황에 자주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나의 경우에 현재에는 ‘하고 싶은 것’보다는 ‘해야만 하는 것’이 압도적으로 많다고 생각하였고, 이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려고 노력하던 시점이었다.바로 처음 그것을 바라보는 시점에 ‘하고 싶은 것’과 ‘해야만 하는 것’의 차이를 좁히는 것부터 중요한 것 같다. 그리고 나만의 목표의식과 집중력을 발휘하여 진정한 ‘몰입’의 경험을 하는 것은 나 자신의 존재 이유를 강하게 재발견 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것들이 쌓이고 쌓이면 삶 자체는 적극적, 능동적 행동과 결과들로 가득찰 것이며 자신의 삶에 대해서 큰 만족과 충만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몰입을 단순히 개인적 부분에만 쏟는 것을 떠나서, 공동체(가족, 친구 등)와 같은 인간관계에도 적용해야 한다는 점이 매우 감명깊었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말이 맞듯이, 큰 행복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곳은 바로 인간관계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주어진 모든 일을 스스로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앞으로의 인생에서 매우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바로 진정한 마음의 여유와 어떤 일에 대해서도 직접적으로 마주할 용기, 그리고 그것을 극복하는 자세인 것이다. 책에서 언급된 ‘몰입’, ‘자기목적성’, ‘운명애’등과 같이 삶을 변화시킬 힘을 지니고 있는 개념들을 통해 다시 한 번 나와 내 주변에 대해서 재 고찰을 할 수 있었다. 이 책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굉장히 많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한 사람들(즉, 잠재 독자들)에게 삶에 대한 재 희망이자 에너지가 될 수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이 책을 권장하고 싶다.
추천자료
[독서감상문] 칙센트미하이 '몰입의 즐거움(Finding Flow)' 을 읽고
[독서감상문] 칙센트미하이 '몰입의 즐거움(Finding Flow)' 을 읽고
[독서감상문] 칙센트미하이 '몰입의 즐거움(Finding Flow)' 을 읽고
[독서감상문] 칙센트미하이 '몰입의 즐거움(Finding Flow)' 을 읽고
[독서감상문] 칙센트미하이 '몰입의 즐거움(Finding Flow)' 을 읽고
[독서감상문] 칙센트미하이 '몰입의 즐거움(Finding Flow)' 을 읽고
[독서감상문] 칙센트미하이 '몰입의 즐거움(Finding Flow)' 을 읽고
[독서감상문] 칙센트미하이 '몰입의 즐거움(Finding Flow)' 을 읽고
[독서감상문] 칙센트미하이 '몰입의 즐거움(Finding Flow)' 을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