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사티어 모델
(2) 사티어 모델을 활용한 애도 작업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사티어 모델
(2) 사티어 모델을 활용한 애도 작업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 여기서 중요한 것은 시간을 죽이면서 의미 없는 삶 즉, 죽음의 시간을 살아가는 것과 죽음의 시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지의 여부이다. 최소한의 의지만 있다면 그로부터 파생되는 참담한 삶으로 부터 조금이라도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자신의 문제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 없이 막연히 어둠 속에서 삶의 목적을 잃은 채 방황하며 삶을 살게 된다면 더 이상 자신의 삶을 되찾을 수 없게 될 뿐더러 죽은 당사자에게 또 다른 죽음을 부여 하는 것과도 같다. 상대방의 죽음으로 나 자신까지 파멸하고 죽음의 문턱에 다다르지 않도록 자신의 삶에 끊임없이 동기 부여 해 나가야 하며 자신의 삶의 이유였던 죽음의 당사자를 위해서라도 의지를 가지고 살아 나가야만 하는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정문자, 정혜정, 이선혜, 전영주. 가족치료의 이해(학지사). 2007
김세련, 사티어 성장 모델의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10 http://www.riss.kr/link?id=T11986057
박은초, 사티어의 성장 의사소통이론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2005
http://www.riss.kr/link?id=T10014306
4. 출처 및 참고문헌
정문자, 정혜정, 이선혜, 전영주. 가족치료의 이해(학지사). 2007
김세련, 사티어 성장 모델의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10 http://www.riss.kr/link?id=T11986057
박은초, 사티어의 성장 의사소통이론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2005
http://www.riss.kr/link?id=T10014306
키워드
추천자료
독거노인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
[사티어(Satir)의 경험적 가족치료] Satir의 경험적 가족치료 접근법의 배경, 사티어 경험적 ...
실제 사례에 다음의 세 가지 이론, 보웬(Bowen) 세대간 가족치료, 미누친(Minuchin) 구조적 ...
(경험적 가족치료이론) 우리나라 가정의 형태, 특성에 맞는 가족치료이론 선정 및 실천과정...
가족항상성에 대한 작성하고, 가족항상성에 긍정적일 때와 부정적일 때를 각각 사례를 들어 ...
사티어 모델을 활용한 애도작업과 그에 대한 치료
데모 관찰 및 동영상 시청 보고서) 사티어 모델을 적용한 상담 사례 동영상 시청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