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제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면, 공부를 해도 소용이 없기 때문에 학교에 남지 않고 집에 가도 된다는 의미가 된다. 하지만 전제 자체의 신뢰성이 부족하므로 사진속의 증명을 비판적 사고 없이 믿으면 안 된다.
또한 사진 속의 첫 명제는 공부를 하면 (인생이) 망하지 않는 다는 것은 대체적으로 공부를 한 사람들이 성공한 인생을 산다는 다양한 사례들을 일반화 시킨 것으로써 귀납법으로 출발한다. 따라서 연역법의 출발은 귀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연역법을 적용하기 전에 귀납법으로 확실성을 가진 귀납법을 사용한다. 또한 가설이 입증하게 되는 검증 절차 자체가 귀납적 과정이다.
귀납법이 현실을 더 잘 반영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현실 속의 상황들로 예시를 들겠다.
먼저 왼쪽 사진은 2012년 11월 23일 촬영한 것이고 오른쪽 사진은 2013년 5월 10일 촬영한 것이다. 5월 10일, 친구와 점심식사를 하기 위해 연역법을 사용해서 메뉴를 골랐다.
전제 : 아웃백 런치 메뉴 중 왈할라 파스타가 9900원이었고, 다른 런치 메뉴 구성도 다양했다.
전제2 : 아웃백은 프랜차이즈 기업이고 아직도 런치메뉴를 시행하므로 아웃백에 가면 생각했던 가격대에서 메뉴를 즐길 것이다.
결론 : 아웃백에서 일인당 10000원 안에서 점심식사를 해결하자.
하지만 막상 메뉴판을 받았을 때 예상은 빗나갔다. 가격대가 전부 올랐으며 과거의 메뉴 구성으로는 이익이 되지 않았는지, 메뉴가 빈약해져 있었다. 또한 왈할라 파스타도 사라진 메뉴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비슷한 맛이지만 가격은 2배 이상 차이나는 투움바 파스타를 주문함으로써 일인당 20000으로 점심식사 비용을 지출하게 되었다. 이번 사례 역시 연역법이 실용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회가 급변함에 따라 예외가 많이 등장하고, 과거에는 적용되었지만 현재에는 적용되지 않는 사례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현재 완벽한 논리성을 가진 연역논증이라 하더라도 불확실한 미래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는 알 수 없다. 반면에 귀납법은 신뢰성을 구축할 수 있는 수 이상의 표본 집단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현실의 변화를 더 잘 반영한다. 또한 예외가 발생해서 주장이 원천 봉쇄되는 경우도 현실을 즉시 반영함으로써 잘못된 주장이라는 것을 인식하기 편리하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귀납법이 현실을 반영하기 용이하다는 근거로써, 일상생활을 들 수 있다. 맛있는 빙수를 먹기 위해서 근처 카페들을 다 가보며 가장 맛있는 빙수를 파는 가게를 찾을 수 있지만, 학생 신분에서 용돈이 한정 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친구들끼리 ‘단체 카카오톡방(단톡방)’을 이용해 자신이 먹은 빙수 사진과 가격, 맛을 공유한다. 서로의 사례들을 이용하는 귀납법을 사용해서 가격대비 맛좋은 빙수를 찾아내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점은 빙수뿐이 아니라 분위기 좋은 카페, 놀러가기 좋은 곳 등을 알아 볼 때 등 귀납법이 연역법보다 일상생활에서 폭넓게 사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근거들로 보았을 때 귀납법이 연역법보다 현실을 더 잘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사진 속의 첫 명제는 공부를 하면 (인생이) 망하지 않는 다는 것은 대체적으로 공부를 한 사람들이 성공한 인생을 산다는 다양한 사례들을 일반화 시킨 것으로써 귀납법으로 출발한다. 따라서 연역법의 출발은 귀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연역법을 적용하기 전에 귀납법으로 확실성을 가진 귀납법을 사용한다. 또한 가설이 입증하게 되는 검증 절차 자체가 귀납적 과정이다.
귀납법이 현실을 더 잘 반영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현실 속의 상황들로 예시를 들겠다.
먼저 왼쪽 사진은 2012년 11월 23일 촬영한 것이고 오른쪽 사진은 2013년 5월 10일 촬영한 것이다. 5월 10일, 친구와 점심식사를 하기 위해 연역법을 사용해서 메뉴를 골랐다.
전제 : 아웃백 런치 메뉴 중 왈할라 파스타가 9900원이었고, 다른 런치 메뉴 구성도 다양했다.
전제2 : 아웃백은 프랜차이즈 기업이고 아직도 런치메뉴를 시행하므로 아웃백에 가면 생각했던 가격대에서 메뉴를 즐길 것이다.
결론 : 아웃백에서 일인당 10000원 안에서 점심식사를 해결하자.
하지만 막상 메뉴판을 받았을 때 예상은 빗나갔다. 가격대가 전부 올랐으며 과거의 메뉴 구성으로는 이익이 되지 않았는지, 메뉴가 빈약해져 있었다. 또한 왈할라 파스타도 사라진 메뉴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비슷한 맛이지만 가격은 2배 이상 차이나는 투움바 파스타를 주문함으로써 일인당 20000으로 점심식사 비용을 지출하게 되었다. 이번 사례 역시 연역법이 실용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회가 급변함에 따라 예외가 많이 등장하고, 과거에는 적용되었지만 현재에는 적용되지 않는 사례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현재 완벽한 논리성을 가진 연역논증이라 하더라도 불확실한 미래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는 알 수 없다. 반면에 귀납법은 신뢰성을 구축할 수 있는 수 이상의 표본 집단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현실의 변화를 더 잘 반영한다. 또한 예외가 발생해서 주장이 원천 봉쇄되는 경우도 현실을 즉시 반영함으로써 잘못된 주장이라는 것을 인식하기 편리하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귀납법이 현실을 반영하기 용이하다는 근거로써, 일상생활을 들 수 있다. 맛있는 빙수를 먹기 위해서 근처 카페들을 다 가보며 가장 맛있는 빙수를 파는 가게를 찾을 수 있지만, 학생 신분에서 용돈이 한정 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친구들끼리 ‘단체 카카오톡방(단톡방)’을 이용해 자신이 먹은 빙수 사진과 가격, 맛을 공유한다. 서로의 사례들을 이용하는 귀납법을 사용해서 가격대비 맛좋은 빙수를 찾아내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점은 빙수뿐이 아니라 분위기 좋은 카페, 놀러가기 좋은 곳 등을 알아 볼 때 등 귀납법이 연역법보다 일상생활에서 폭넓게 사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근거들로 보았을 때 귀납법이 연역법보다 현실을 더 잘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