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평가의 방법] 준실험과 진실험(준실험 및 진실험 방법의 기본논리와 장단점 및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책평가의 방법] 준실험과 진실험(준실험 및 진실험 방법의 기본논리와 장단점 및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비실험적 방법

II. 실험적 방법
1. 준실험
가. 준실험의 기본논리
나. 준실험의 약점
2. 진실험
가. 진실험의 기본논리
나. 진실험의 약점
1/ 내적 타당성
2/ 외적 타당성
3/ 실현 가능성
3. 진실험과 준실험의 비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니고 실험에 의해 불이익을 받게 됨으로써 지능개발에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실험이 통제집단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거나 또한 통제집단이 실험집단에게 압력을 가하는 것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실험대상의 \'부자연스런 반응\'이라고 부른다. \'부자연스런 반응\'이 발생할 경우에도 내적 타당성은 상실하게 된다.
2/ 외적 타당성
외적 타당성(external vy)은 특정상황에서 정책이 효과를 냈을 때 다른 상황에서도 똑같은 효과를 내는 경우를 가리킨다. 이는 특정한 사회상황에서 실시한 정책이 정책효과를 딘을 때, 다른 상황에서 그 정책을 추진한다 해도 똑같은 정책효과가 그대로 나타날 것인가와 관련된 문제이다.
다른 상황에서도 똑같은 정책효과가 발생한다면 외적 타당성을 지니는 것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외적 타당성을 상실하게 된다.
사회실험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실험대상자들이 실험의 대상이 되어 다른 사람들에 의해 자신들이 관찰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서 평소와는 다르게 행동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호손효과라 부른다. 이처럼 실험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는 호손효과로 인해 정책효과가 발생하지만, 일상적 상황에서는 동일한 정책효과가 발생하지 않음으로 외적 타당성의 문제가 제기된다.
3/ 실현가능성
진실험에는 실현가능성(feasibility)의 문제가 발생한다. 실험대상자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만 처치(정책집행)를 하고 통제집단에게는 처치를 하지 않을 경우 정치적 도덕적 문제가 제기된다. 어떤 실험이 실험집단에게 혜택을 주는 것일 경우 통제집단의 구성원들이 자기들에게도 혜택을 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이를 거절하기가 용이한 일이 아니다. 특히 새롭게 개발한 암특효약이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경우 실험집단의 암환자에게만 신약을 투여하고 통제집단에게는 약을 투여하지 않는다는 것이 도의적으로 가능하다고 볼 수 없다. 정치적 도덕적 차원에서 진실험을 진행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 실현가능성은 저하된다.
(3) 진실험과 준실험의 비교
준실험은 비교집단을 선정하기 때문에 비실험적 방법에 비해서는 강점을 가지고 있으나, 진실험에 비해서는 또한 약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진실험도 나름대로 치명적인 약점을 지니고 있다.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진실험은 내적 타당성 측면에서 준실험보다 우수하고, 준실험은 외적 타당성의 측면과 실행가능성의 측면에서 진실험보다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10.22
  • 저작시기201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57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