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다큐멘터리 내용 요약(인간의 두얼굴 II : 착각의 진실)
2. 관찰 시 나타날 수 있는 착각에 대한 정리
1) 관찰단계에서 발생하는 지각 오류
2) 원인 귀속단계에서 발생하는 오류
3) 해석 과정단계에서 발생하는 오류
4) 문화차이에 의한 지각 오류
3. 관찰 시 나타날 수 있는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안
1) 던함(R.B Dunham)의 방법
2) 란돌프(Randolph)의 방법
Ⅲ 결 론
IV 참고 URL
Ⅱ 본 론
1. 다큐멘터리 내용 요약(인간의 두얼굴 II : 착각의 진실)
2. 관찰 시 나타날 수 있는 착각에 대한 정리
1) 관찰단계에서 발생하는 지각 오류
2) 원인 귀속단계에서 발생하는 오류
3) 해석 과정단계에서 발생하는 오류
4) 문화차이에 의한 지각 오류
3. 관찰 시 나타날 수 있는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안
1) 던함(R.B Dunham)의 방법
2) 란돌프(Randolph)의 방법
Ⅲ 결 론
IV 참고 URL
본문내용
더 많은데 그 이유는 서로 문화와 가치관, 경험과 습관 등의 차이이다.
(1) 선택지각의 문제 : 문화 속에서 경험하고 학습한대로 몇 가지 정보만 선택하여 이해한다. 이 때 우리의 관심, 가치관, 문화가 여과기 역할을 하는 것이다.
(2) 범주화와 고정관념의 문제
(3) 해석상의 차이
(4) 고배경·저배경 문화 : 고배경 문화는 타인과 대화하고 인간관계를 가질 때 상대방에 제시한 내용보다 그 배경 즉, 그의신분, 직책 등에 더 큰 비중을 둔다. 그에 반해 실질을 중시하는 저배경 문화의 사람들은 기록된 정보나 상대방이 말한 내용에 비중을 많이 둔다.
3. 관찰 시 나타날 수 있는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안
지각 오류를 완벽히 제거할 수는 없지만 지각의 작동하는 원리를 살펴봄으로써 오류를 줄일 수는 있다.
1) 던함(R.B Dunham)의 방법
(1) 자기이해 : 지각 오류를 자신도 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2) 자기수용 : 자신이 완벽하지 않음을 이해하고 받아들인다.
(3) 의식적 정보과정 : 지각의 세부과정인 정보의 선택, 조직화, 해석 등에 대한 세부 작동 원리를 주의깊에 지켜보고 오류를 줄인다.
2) 란돌프(Randolph)의 방법
(1) 지각의 과정에 대한 주의 : 지각 과정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잘 살펴보고 오류가 어디서 일어나는지를 파악한다.
(2) 자신의 지각과 타인의 지각의 비교 : 타인과 의사소통을 통해 자신과 타인의 지각을 비교하고 자신의 지각을 정확하게 한다.
(3) 타인의 관점을 이해 : 자신의 관점을 고집하는 대신 타인의 관점으로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4) 자신의 지각을 유연함 : 지각 대상에 대해 충분히 정보를 수집하고 필요하다면 자신의 지각도 변경하는 유연한 태도를 가진다.
(5) 동태적 관점 : 현재의 지각이 항상 옳은 것이 아님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인정한다.
그 밖에도 대상행동에 대한 분명한 정의를 내리고, 관찰자를 훈련시켜야 한다. 또한 관찰결과에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한 관찰자 내 신뢰도나 관찰자 간 신뢰도 등을 산출하여 확인 가능하고, 불일치 정도가 높은 자료는 분석에서 배제하거나 결과해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Ⅲ 결 론
관찰의 목적은 유아의 흥미를 파악하고, 각 유아의 발달수준을 상세히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관찰에 기초한 각 유아의 발달 정도에 대한 이해는 교사가 그 유아에게 필요한 적절한 교육과정의 계획에 도움을 준다. 더불어 교사 스스로의 교수 실제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주며, 그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을 개발하는 기초가 된다. 이런 관찰 과정에서 사람인지라 오류와 착각이 발생할 수 있다. 사람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다는 말은 전부터 우리들이 많이 해 오던 말이다. 하지만 이런 오류와 착각일지라도 타큐멘터리에 나오는 말처럼 ‘긍정적 착각’은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행복할 수 있는데 도움을 주고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준다. 교사들이 관찰을 통하여 우리 꿈나무 유아들에게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교사들이 항상 격려하고 칭찬을 아끼지 않음으로 ‘피그말리온 효과 피그말리온 효과 : 타인의 기대나 관심으로 인하여 능률이 오르거나 결과가 좋아지는 형상
’를 주면 좋을 것 같다.
IV 참고 URL
https;//cafe.naver.com/humanlab/1145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1upinafwind&logNo=12010319112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24647&cid=42125&categoryId=42125
(1) 선택지각의 문제 : 문화 속에서 경험하고 학습한대로 몇 가지 정보만 선택하여 이해한다. 이 때 우리의 관심, 가치관, 문화가 여과기 역할을 하는 것이다.
(2) 범주화와 고정관념의 문제
(3) 해석상의 차이
(4) 고배경·저배경 문화 : 고배경 문화는 타인과 대화하고 인간관계를 가질 때 상대방에 제시한 내용보다 그 배경 즉, 그의신분, 직책 등에 더 큰 비중을 둔다. 그에 반해 실질을 중시하는 저배경 문화의 사람들은 기록된 정보나 상대방이 말한 내용에 비중을 많이 둔다.
3. 관찰 시 나타날 수 있는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안
지각 오류를 완벽히 제거할 수는 없지만 지각의 작동하는 원리를 살펴봄으로써 오류를 줄일 수는 있다.
1) 던함(R.B Dunham)의 방법
(1) 자기이해 : 지각 오류를 자신도 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2) 자기수용 : 자신이 완벽하지 않음을 이해하고 받아들인다.
(3) 의식적 정보과정 : 지각의 세부과정인 정보의 선택, 조직화, 해석 등에 대한 세부 작동 원리를 주의깊에 지켜보고 오류를 줄인다.
2) 란돌프(Randolph)의 방법
(1) 지각의 과정에 대한 주의 : 지각 과정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잘 살펴보고 오류가 어디서 일어나는지를 파악한다.
(2) 자신의 지각과 타인의 지각의 비교 : 타인과 의사소통을 통해 자신과 타인의 지각을 비교하고 자신의 지각을 정확하게 한다.
(3) 타인의 관점을 이해 : 자신의 관점을 고집하는 대신 타인의 관점으로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4) 자신의 지각을 유연함 : 지각 대상에 대해 충분히 정보를 수집하고 필요하다면 자신의 지각도 변경하는 유연한 태도를 가진다.
(5) 동태적 관점 : 현재의 지각이 항상 옳은 것이 아님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인정한다.
그 밖에도 대상행동에 대한 분명한 정의를 내리고, 관찰자를 훈련시켜야 한다. 또한 관찰결과에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한 관찰자 내 신뢰도나 관찰자 간 신뢰도 등을 산출하여 확인 가능하고, 불일치 정도가 높은 자료는 분석에서 배제하거나 결과해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Ⅲ 결 론
관찰의 목적은 유아의 흥미를 파악하고, 각 유아의 발달수준을 상세히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관찰에 기초한 각 유아의 발달 정도에 대한 이해는 교사가 그 유아에게 필요한 적절한 교육과정의 계획에 도움을 준다. 더불어 교사 스스로의 교수 실제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주며, 그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을 개발하는 기초가 된다. 이런 관찰 과정에서 사람인지라 오류와 착각이 발생할 수 있다. 사람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다는 말은 전부터 우리들이 많이 해 오던 말이다. 하지만 이런 오류와 착각일지라도 타큐멘터리에 나오는 말처럼 ‘긍정적 착각’은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행복할 수 있는데 도움을 주고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준다. 교사들이 관찰을 통하여 우리 꿈나무 유아들에게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교사들이 항상 격려하고 칭찬을 아끼지 않음으로 ‘피그말리온 효과 피그말리온 효과 : 타인의 기대나 관심으로 인하여 능률이 오르거나 결과가 좋아지는 형상
’를 주면 좋을 것 같다.
IV 참고 URL
https;//cafe.naver.com/humanlab/1145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1upinafwind&logNo=12010319112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24647&cid=42125&categoryId=4212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