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약물의 분류
2. 형태에 따른 분류
3. 목적에 따른 분류
4. 투여경로에 따른 분류
5. 질병치료에 따른 약물 분류
참고문헌
2. 형태에 따른 분류
3. 목적에 따른 분류
4. 투여경로에 따른 분류
5. 질병치료에 따른 약물 분류
참고문헌
본문내용
근경색, 뇌졸중, 근경련 불면증이 생길수 있으며 불쾌함이 생길수 있다. 녹내장이나 콩팥장애있는 환자에게 사용금지
esitalopram oxalate(Lexapro)
우울 장애 공황장애에 효능
1일 1회 10mg을 투여 환자에 따라 1일 최대20mg까지 증량(최소1주의 간격을 두고 증량해야함)
구역 식욕증가 불안 사정장애 구토 발한 근육통 피로 등이 나타날 수 있고
금단현상이 나타날 수가 있고 졸음이나 어지러움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자리에서
일어날때와 걸을 때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5.2 신경계 퇴행 질환 치료 약물
levodopa(L-Dopa, Larodopa)
파긴슨병에 효과가 있으며 1일 500mg 경구투여를 한다.
3일마다 100~750mg씩 늘릴수 있으며 환각 망상 우울 불안 보행장애 정신착란 마비감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약물을 갑자기 중단하면 NMS(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로 이어질수 있고 흑색종 히스토리나 색소병변의심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diphenhydramine(Benadryl)
파킨스증에 사용되는 항콜린성 약물이며 일시적인 불면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발진 발적 가려움 두통 오심 위통 어지러움 권태감 배뇨곤란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카라멜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카라멜 알레르기가 있으면 신중하게 투여해야 한다.
1일 1회 50mg을 취침전 경구로 투여하고 50mg복용시 진정작용이 나타날 경우 25mg을 경구투여한다.
5.3 심부전 치료약물
digoxin(Digitek, Lanosin, Lanoxicaps)
울혈성 심부전 심방세동 심부전 빈백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
디지털리스 중독증 식욕부진 구토 부정맥 서맥 착란 호산구증가 혈소판 감소등의 부작용이 있다. 0.5~1mg 투여 이후 0.5mg을 6~8시간 마다 경구투여 한다.
Hydralazine with isosorbide dinitrate(BiDil)
직접 혈관 확장제이며 경구투여가 불가능한 고혈압에 효과가 있다.
심계항진 빈맥 오심 구토 설사 두통 등의 부작용으며 신질환환자 심질환 심부전환자에게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1일 20mg을 서서히 주입한다.
5.4 혈액응고 치료제
warfarin(Counadin): 정맥 혈전증의 예방 치료 폐동맥 색전증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한다.
1일 2~5mg을 투여하며 유지용량은 1일2~10mg이다.
위장관 및 요도관 출혈 장폐색 내장장애 출혈성괴사 등의 부작용있으며
출혈성환자에게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aspirin(Acetylsalicylic acid, ASA)
혈소판 응집 방지제이며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치통 두통 월경통 등에도 효과가 있다.
다량 복용시 불쾌감과 출혈을 야기 할수 있으며 수술1주일전에는 복용을 중단해야 하며 헤파린 와파린 같은 항응고 요법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적용하지 말아야 한다
참고문헌
기본간호학2-현문사
약리학-메디컬사이언스
간호사를 위한 임상 약리학
SALLY S ROACH, SUSAN M FORD 지음 | 김수경 옮김
.
esitalopram oxalate(Lexapro)
우울 장애 공황장애에 효능
1일 1회 10mg을 투여 환자에 따라 1일 최대20mg까지 증량(최소1주의 간격을 두고 증량해야함)
구역 식욕증가 불안 사정장애 구토 발한 근육통 피로 등이 나타날 수 있고
금단현상이 나타날 수가 있고 졸음이나 어지러움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자리에서
일어날때와 걸을 때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5.2 신경계 퇴행 질환 치료 약물
levodopa(L-Dopa, Larodopa)
파긴슨병에 효과가 있으며 1일 500mg 경구투여를 한다.
3일마다 100~750mg씩 늘릴수 있으며 환각 망상 우울 불안 보행장애 정신착란 마비감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약물을 갑자기 중단하면 NMS(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로 이어질수 있고 흑색종 히스토리나 색소병변의심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diphenhydramine(Benadryl)
파킨스증에 사용되는 항콜린성 약물이며 일시적인 불면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발진 발적 가려움 두통 오심 위통 어지러움 권태감 배뇨곤란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카라멜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카라멜 알레르기가 있으면 신중하게 투여해야 한다.
1일 1회 50mg을 취침전 경구로 투여하고 50mg복용시 진정작용이 나타날 경우 25mg을 경구투여한다.
5.3 심부전 치료약물
digoxin(Digitek, Lanosin, Lanoxicaps)
울혈성 심부전 심방세동 심부전 빈백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
디지털리스 중독증 식욕부진 구토 부정맥 서맥 착란 호산구증가 혈소판 감소등의 부작용이 있다. 0.5~1mg 투여 이후 0.5mg을 6~8시간 마다 경구투여 한다.
Hydralazine with isosorbide dinitrate(BiDil)
직접 혈관 확장제이며 경구투여가 불가능한 고혈압에 효과가 있다.
심계항진 빈맥 오심 구토 설사 두통 등의 부작용으며 신질환환자 심질환 심부전환자에게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1일 20mg을 서서히 주입한다.
5.4 혈액응고 치료제
warfarin(Counadin): 정맥 혈전증의 예방 치료 폐동맥 색전증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한다.
1일 2~5mg을 투여하며 유지용량은 1일2~10mg이다.
위장관 및 요도관 출혈 장폐색 내장장애 출혈성괴사 등의 부작용있으며
출혈성환자에게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aspirin(Acetylsalicylic acid, ASA)
혈소판 응집 방지제이며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치통 두통 월경통 등에도 효과가 있다.
다량 복용시 불쾌감과 출혈을 야기 할수 있으며 수술1주일전에는 복용을 중단해야 하며 헤파린 와파린 같은 항응고 요법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적용하지 말아야 한다
참고문헌
기본간호학2-현문사
약리학-메디컬사이언스
간호사를 위한 임상 약리학
SALLY S ROACH, SUSAN M FORD 지음 | 김수경 옮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