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주민자치회, 서울 은평구
(2) 시민계획단, 수원시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주민자치회, 서울 은평구
(2) 시민계획단, 수원시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책과 예산에 관련된 실질적인 권한을 가지며 주민들이 나서서 불편사항과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위원 구성의 다양성과 공정성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6시간의 주민자치학교 교육을 이수한 주민 가운데 성별과 연령별로 할당된 인원을 추첨으로 뽑아 다양한 사람들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게 제도를 개편하였다. 또한 위원이 아니더라도 주민총회를 통해 자치계획에 참여할 수 있게 하여 ‘주민이 결정하고 행정이 지원하는’ 제도를 목표로 삼는다. 정책의 효과는 예산의 크기보다는 정책의 일관성에 비례한다는 점에서 주민자치회 제도의 개편과 존속은 반가운 일이다. 또한 다양한 시민들이 동네 민주주의와 거버넌스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이용자와 정책입안자가 불일치하므로 발생하는 제도의 맹점과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피부에 와 닿는 민주주의는 주민들의 복지에 기여하는 바가 클 뿐만 아니라 참여를 통한 공동체의식과 유능감이 자아에 대한 만족감을 증가시키므로 참여자는 복지가 첫 번째로 추구하는 행복한 삶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지방자치가 우리 삶을 바꾼다, 윤석인 엮음, 도서출판 풀빛
정책·예산 겸비한 ‘서울형 주민자치회’, 3년 뒤 모든 동 확대, 서울&매거진
4. 출처 및 참고문헌
지방자치가 우리 삶을 바꾼다, 윤석인 엮음, 도서출판 풀빛
정책·예산 겸비한 ‘서울형 주민자치회’, 3년 뒤 모든 동 확대, 서울&매거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