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조 및 공동 실험자
2. 실험 날짜
3. 실험 목적. 여러 전이금속 착화합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얻고 분석하여, 착화합물에 대한 결정장 이론과 분광화학적 계열을 이해한다.
2. 실험 날짜
3. 실험 목적. 여러 전이금속 착화합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얻고 분석하여, 착화합물에 대한 결정장 이론과 분광화학적 계열을 이해한다.
본문내용
너지는 3.654 * 10 J로 [Cr(HO)]가 더 크기 때문에 HO가 Cl보다 분광화학적 계열이 더 크다.
고찰.
[Cu(HO)]와 [Ni(HO)]에 대하여 빛을 흡수하기 전과 후의 전자 배치를 나타내라.
우선 빛을 흡수하기 전, Cu 이온의 바닥 상태 전자 배치는 1s(2)2s(2)2p(6)3s(2)3p(6)3d(9)이고, Ni 이온의 바닥 상태 전자 배치는 1s(2)2s(2)2p(6)3s(2)3p(6)3d(8)이다.
Cu 이온을 보게 되면, 낮은 에너지의 d 오비탈에 해당하는 오비탈에 6개의 전자가 가득 차 있고, 높은 에너지의 d 오비탈인 오비탈에는 3개의 전자가 들어 있다. 따라서 빛을 흡수하게 되면 오비탈에 있던 1개의 전자가 오비탈로 전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빛을 흡수한 다음의 Cu 이온의 전자 배치는 1s(2)2s(2)2p(6)3s(2)3p(6)(5)(4)가 된다.
Ni 이온을 보게 되면, 낮은 에너지의 d 오비탈에 해당하는 오비탈에 6개의 전자가 가득 차 있고, 높은 에너지의 d 오비탈인 오비탈에는 2개의 전자가 들어 있다. 따라서 빛을 흡수하게 되면 오비탈에 있던 1개의 전자가 오비탈로 전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빛을 흡수한 다음의 Ni 이온의 전자 배치는 1s(2)2s(2)2p(6)3s(2)3p(6)(5)(3)가 된다.
각 수용액에서 관측된 최대 흡수 파장에 따른 빛의 색을 조사하고, 실험에서 관측한 용액의 색을 비교하여라.
[Cr(HO)]
[Cr(HO)Cl]
최대 흡수 파장
576 nm
587 nm
빛의 색
황록색
노란색
용액의 색
청색
녹색
3) Base line을 찍은 다음에 sample 측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흡광도를 측정할 경우에는 blank sample을 이용하여 base line을 잡아야 한다. Base line은 액체 sample 안에 있는 공기에 의한 noise effect를 상쇄시키기 위해 찍게 된다.
또한 base line은 base line을 기준으로 하여, 각 sample의 흡수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다.
참고문헌
Merck, Acetone formula, 2019.10.10., https://www.sigmaaldrich.com/catalog/product/sigma/a3511?lang=ko®ion=KR
Sisco Research Laboratories, Chromium(III) Nitrate Nonahydrate/Chrominum(III) chloride hexahydrate formula, 2019.10.10., http://www.srlchem.com/products/compound/ChromiumIIINitrate-Nonahydrate-pure--96-98-/74767
김은정/박옥련, (2007), color : 색, 형설출판사
안전보건공단, Distilled Water(D.W.)/Acetone/Chromium(III) Nitrate Nonahydrate/Chrominum(III) chloride hexahydrate, 2019.10.10., https://msds.kosha.or.kr/kcic/msdsdetailGet.do
화학용어사전편찬회, (2017), 화학용어사전, 일진사
대한화학회, 결정장 이론, 2019.10.08., http://new.kcsnet.or.kr/
이홍인, (2016), 일반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박면용/허황, (2008), 무기화학, 녹문당
사이언스올, 결정장 이론, 2019.10.09., https://www.scienceall.com/%EA%B2%B0%EC%A0%95%EC%9E%A5%EC%9D%B4%EB%A1%A0crystal-field-theory/
고찰.
[Cu(HO)]와 [Ni(HO)]에 대하여 빛을 흡수하기 전과 후의 전자 배치를 나타내라.
우선 빛을 흡수하기 전, Cu 이온의 바닥 상태 전자 배치는 1s(2)2s(2)2p(6)3s(2)3p(6)3d(9)이고, Ni 이온의 바닥 상태 전자 배치는 1s(2)2s(2)2p(6)3s(2)3p(6)3d(8)이다.
Cu 이온을 보게 되면, 낮은 에너지의 d 오비탈에 해당하는 오비탈에 6개의 전자가 가득 차 있고, 높은 에너지의 d 오비탈인 오비탈에는 3개의 전자가 들어 있다. 따라서 빛을 흡수하게 되면 오비탈에 있던 1개의 전자가 오비탈로 전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빛을 흡수한 다음의 Cu 이온의 전자 배치는 1s(2)2s(2)2p(6)3s(2)3p(6)(5)(4)가 된다.
Ni 이온을 보게 되면, 낮은 에너지의 d 오비탈에 해당하는 오비탈에 6개의 전자가 가득 차 있고, 높은 에너지의 d 오비탈인 오비탈에는 2개의 전자가 들어 있다. 따라서 빛을 흡수하게 되면 오비탈에 있던 1개의 전자가 오비탈로 전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빛을 흡수한 다음의 Ni 이온의 전자 배치는 1s(2)2s(2)2p(6)3s(2)3p(6)(5)(3)가 된다.
각 수용액에서 관측된 최대 흡수 파장에 따른 빛의 색을 조사하고, 실험에서 관측한 용액의 색을 비교하여라.
[Cr(HO)]
[Cr(HO)Cl]
최대 흡수 파장
576 nm
587 nm
빛의 색
황록색
노란색
용액의 색
청색
녹색
3) Base line을 찍은 다음에 sample 측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흡광도를 측정할 경우에는 blank sample을 이용하여 base line을 잡아야 한다. Base line은 액체 sample 안에 있는 공기에 의한 noise effect를 상쇄시키기 위해 찍게 된다.
또한 base line은 base line을 기준으로 하여, 각 sample의 흡수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다.
참고문헌
Merck, Acetone formula, 2019.10.10., https://www.sigmaaldrich.com/catalog/product/sigma/a3511?lang=ko®ion=KR
Sisco Research Laboratories, Chromium(III) Nitrate Nonahydrate/Chrominum(III) chloride hexahydrate formula, 2019.10.10., http://www.srlchem.com/products/compound/ChromiumIIINitrate-Nonahydrate-pure--96-98-/74767
김은정/박옥련, (2007), color : 색, 형설출판사
안전보건공단, Distilled Water(D.W.)/Acetone/Chromium(III) Nitrate Nonahydrate/Chrominum(III) chloride hexahydrate, 2019.10.10., https://msds.kosha.or.kr/kcic/msdsdetailGet.do
화학용어사전편찬회, (2017), 화학용어사전, 일진사
대한화학회, 결정장 이론, 2019.10.08., http://new.kcsnet.or.kr/
이홍인, (2016), 일반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박면용/허황, (2008), 무기화학, 녹문당
사이언스올, 결정장 이론, 2019.10.09., https://www.scienceall.com/%EA%B2%B0%EC%A0%95%EC%9E%A5%EC%9D%B4%EB%A1%A0crystal-field-theor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