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닝 콘크리트 균열 저감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라이닝 콘크리트 균열 저감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콘크리트 품질개선
2. 라이닝 콘크리트 양생방법 개선
3. 철근피복 유지용 간격재 개선
4. 터널 라이닝 기초의 여굴발생에 따른 안정성 검토

본문내용

m 이고 전부 쇄석으로 채울 경우 1.1m/m 이다.
본 검토에서는 하부지반의 반력계수를 암반(경암) 및 쇄석재의 대표적인 값을 적용하여 각 CASE에 대한 변위나 응력의 정략적인 값은 하부지반의 실제적인 경향의 관찰이 의미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X축과 Y축의 응력에 있어서 각 Case별 X축 응력은 압축응력, 인장응력이 모두 기초부의 콘크리트 채움 면적이 여굴부 전체면적에 비해 줄어들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Y축 응력은 기초지반의 조건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여굴을 쇄석으로 채웠을 경우에 대한 상대적인 변위량은 여굴부위 전체 면적중 콘크리트 채움부가 60% 이하로 줄어들 경우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Abut 하부 전체여굴 중에서 약 60% 이상을 측부에서부터 콘크리트로 타설 한다면 Abut 콘크리트의 안정성에 큰 영향이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본 검토단면(Abut 하부 1.73m)에서의 경우 여굴부의 1.2m 정도를 콘크리트로 채우고 나머지를 쇄석층으로 다짐해서 채운다면 공동구 Abut부의 안정성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터널시공시 유의사항
○ 착공전 측량 철저히 실시(장대터널인 경우 감독 입회하에 필히 확인측량 실시)
○ 시공 중에도 막장 검측시 수시 확인측량 실시할 것
○ 굴착시 TYPE별 암판정은 정해진 기준에 의거 실시하되 점보조정원이나 기능공의 의견도 참고한다.
○ 뇌관은 비전기식 뇌관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여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암질에 따라 시험발파를 실시하고 외측 천공간격을 줄인다.
○ 부석정리는 철저히 하고 뜬돌은 필히 제거한다.
○ 용수지점은 연성의 파이프를 설치 하부로 유도하다.
○ 강섬유는 가능한 일자형보다
형을, 넓적한 것보다 원형(봉)을, 굵은 것보다 가는 것을 사용토록 한다.
○ 강섬유가 얽히지 않도록 별도 교반시설이 필요
○ 공동구 모서리는 가능한 면기 사용금지, 선형에 맞게 하기 위해서 별도 대책 수립 시행
○ 라이닝 줄눈(9m)과 공동구 줄눈이 가능한 일치되게 한다.
○ 라이닝 콘크리트가 철근구간(단 두께 40cm 이하)은 골재규격 축소 사용
(32m/m→19m/m)
○ 터널구간의 포장은 양측 공동구보다 약 5m/m 정도 높게 시공한다.
○ 터널 양측에 설치되는 맹암거는 선형, 구배를 철저히 확인 물고임 없도록 할 것
○ 터널 천장부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후 그랑우팅 필히 실시
○ 강재 거푸집 수시 샌딩하여 면관리 할 것(20~25회 이내 사용)
○ 암질이 불량할 경우 가능한 록볼트 길이 증가
○ 암질이 경암으로 절리가 거의 없는 경우는 록볼트 시공 검토하여 생략
○ 록볼트 삽입시 레진이 밖으로 흘러나오도록 충진량 조정(레진이 큰 것 사용하던지 충진제를 추가하던지)
○ 지보 사용시 지보 받침부 부석이나 숏크리트 잔재 제거 철저
○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시 처짐 방지하기 위해 강재거푸집 양측과 중앙부에 각각 3~4개 지지대 추가설치(매우 효과 큼)
○ 공동구 시공시 포장면에 접하는 부분은 요철이 없도록 측량을 철저히 할 것(5m 간격 검측)
  • 가격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11.28
  • 저작시기201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84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